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지/출판 > 출판/편집
· ISBN : 9788950951979
· 쪽수 : 477쪽
· 출판일 : 2013-10-1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한국 북디자인의 역사
제1장 고서와 북디자인
1. 고서의 형태
2. 능화판과 책가위판
3. 고서의 표지 구성
제2장 한국 출판과 북디자인
1. 개화기(1883~1910)의 출판배경
2. 일제기(1910~1945)의 출판배경
3. 광복기(1945~1950)의 출판배경
4. 한국전쟁기(1950~1953)의 출판배경
5. 부흥기(1953~1977)의 출판배경
6. 산업기(1977~1983)의 출판배경
제3장 한국 출판과 북디자이너의 역할
1. 한국 북디자인의 특징
2. 한국 북디자이너의 역할
3. 한국 북디자인 100년 일람표
제2부 한국 북디자이너
제1장 개화기 1883~1910
『충효경집주합벽』 『셩교백문답』 『농정촬요』
『셩찰긔략』 『미국독립사』 『셩모셩월』 『긔해일긔』
『예수진교사패』 『천문학』 『중국혼』 『신편동물학』
『동양사교과서』 『셩샹경』 『신약전서 국한문』
『텬쥬셩교공과 뎨사권』 『만국사물기원역사』
『초등대한지리』
제2장 일제기 1910~1945
김영보 고희동 노수현 오일영 안석주 김용준
이상 임학선 임홍은 이한복 구본웅 김환기
길진섭 이인성 이주홍 정현웅 최근배 김규택
이승만 이상범
제3장 광복기 1945~1950
노수현 김용준 김환기 길진섭 이주홍 정현웅
이승만 한상진 박계주 김호현 배정국 조병덕
최재덕 김기창 정홍거 박문원 이수형 정순모
홍우백 김창섭 김용환 김호성 박성규 김영주金榮注
장환 최영수 배운성 박상진 정종여 김경린
박래현 장만영 남관 이대원 이동훈.정주상 천경자
제4장 한국전쟁기 1950~1953
김환기 이주홍 정현웅 홍우백 김용환 박성규
김영주金榮注 백영수 이순석 박거영 이준
박생광 전성보 임옥인 변종하 조동화 변영원
제5장 부흥기 1953~1977
김환기 이승만 조병덕 김기창 김영주金榮注
장환 김경린 박래현 장만영 천경자 백영수
이준 변종하 김상옥 김만형 정점식 장욱진
김창열 정규 한묵 박노수 전상범 배중호
장석수 박고석 이응로 전혁림 한무학 한봉덕
한홍택 최영훈 문학진 박치원 김의환 전영경
심재형 홍순문 박서보 김영주金永柱 권영우
장우성 김세종 장운상 이봉상 이의배 박종화
김경주 이제하 김광배 김흥수 서세옥 김화경
류경채 김천옥 이신자 이우경 윤명로 윤석태
전상수 김봉진 김영주金永周 김구용
김영태.정규동 김영태 백락종 서희환 조병화
김정 오태학 정준용 김승옥
제6장 산업기 1977~1983
이주홍 백영수 조병화 정병규 백인수
양문길 서기흔 원주연 조의환
책뒤에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
저자소개
책속에서
‘책 표지판’을 뜻하는 우리의 고유한 말은 과연 무엇일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선 책 표지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말 가운데 책의冊衣 란 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국립국어원에서 발행한 『표준국어대사전』에 ‘책의’는 “책의 맨 앞과 뒤의 겉장. 책가위”라고 설명되어 있다. 다시 ‘책가 위’는 “책의 겉장이 상하지 않게 종이, 비닐, 헝겊 따위로 덧씌우는 일. 또는 그런 물건. 가의加衣·책가의·책갑冊甲·책의”라고 설명하고 있다. 다시 말해 ‘책의’는 책 표지를 뜻하는 ‘책가위冊加衣’라고 풀이하고 있다. 이를 다시 옛 문헌에서 확인해보면 『조선왕조실록』 세종 7년 을사 (1425) 윤7월 17일 조條 등에 ‘책의’가, 『조선왕조실록』영조 원년 갑진(1724) 10월 20일 조 등에 ‘가의’가, 『일기청등록日記廳謄錄』 개수일기등록改修日記謄錄 감결질甘結秩 영조 13년 무진(1748) 8월 11일 조 등에 ‘가의假衣’란 용어가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율곡서栗谷書』의 표지에서는 ‘책가위’란 말의 용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은 율곡 이이李珥의 『격몽요결擊蒙要訣』을 1859년에 필사한 책으로, 표지에는 ‘도유협흡모춘상완가의屠維協洽暮春上浣加衣’라 쓴 글씨가 있다. ‘도유협흡’은 기미년을 이르는 고갑자古甲子이고, ‘모춘상완’은 음력 3월 초순을 가리킨다. 맨 끝의 ‘가의’는 곧 ‘책가위’를 뜻하는 말이다. 이를 다시 풀이하면 “기미년(1859) 음3월 초순에 책가위를 만들다”라는 뜻이 된다. 또 『백졸암선생문집百拙菴先生文集』의 표지에는 ‘책가위판’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단서가 숨겨져 있다. 이 책은 조선시대 중기의 학자 유직柳稷의 문집으로 1789년에 목판본 2책으로 간행되었다. 이 책의 표지는 불규칙적인 뇌문雷文 바탕에 연화를 중심으로 능화 등의 꽃문양을 장식했는데, 이곳에 ‘책가의판冊假衣板’이란 명문銘文이 박혀 있다. ‘책가의판’은 ‘책가위판’의 또다른 별칭으로 “아름다운 책 표지판”을 뜻한다. 위의 사례로 미루어볼 때 조선시대에는 ‘책의冊衣’ ‘가의加衣’ ‘가의假衣’란 말과 함께 ‘책가위판冊加衣板’ ‘책가위판冊假衣板’이란 말이 ‘책 표지’와 ‘책 표지판’을 지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책가위판’을 지칭하는 말로 잘못 알려진 ‘능화판’이나 ‘책판’ ‘책판 문양’이란 명칭은 ‘책가위판’ 또는 ‘책가의판’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무정』은 1918년 7월 신문관과 동양서원에서 초판 발행 이후 일제 강점기에 모두 8판이 발행되었다. 1920년 1월에 회동서관에서 재판이, 1922년 2월에 3판, 5월에 4판, 1924년 1월에 5판, 그해 12월에 6판이 발행 되었다. 그후 박문서관에서 1934년 8월에 7판이, 1938년 11월에 8판이 각각 발행되었다.
『무정』 발간 직전인 1918년 6월 『청춘』 14호에 실린 광고에는 “630엽頁에 정가 1원 30전으로 1,000부를 찍었다”고 되어 있다. 실제로 이 책의 면수는 판권면版權面까지 624면이다. 여기에 별도의 면수로 표시된 서문 4면과 속표지 앞뒤 2면을 합하면 630면이 된다. 판권版權에는 ‘발행 신문관과 동양서원, 저작겸 발행자 최창선崔昌善, 정가 1원 20전’으로 되어 있다.
어찌된 까닭인지 광고에 표시된 광고의 가격과 실제 책의 가격이 다르다. 한편 초판의 판권에 책의 제목과 저자 이름이 빠져 있다. 저작겸 발행자 최창선은 최남선의 형으로 신문관의 사주였다. 물론 저작겸 발행자란 실제 저자와 출판사의 대표자가 동일인임을 뜻하는 개념이 결코 아니다. 단지 판권의 실질적인 소유자가 누구인가를 명시하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무정』의 판권을 소유한 것은 저자가 아닌 신문관이요 이광수가 아닌 최창선이라는 의미다.
4판은 초판에서처럼 최남선이 ‘한샘’이란 필명으로 쓴 서문 4면이 있다. 본문은 다시 1면부터 시작해 559면에서 끝난다. 따라서 이 책은 모두 563면이 된다. 6판 역시 본문이 559면으로, 4판과 동일한 조판으로 인쇄하였다. 4판과 6판의 정가는 1원 80전이다. 4판의 판권에는 발행소가 광익서관廣益書?과 회동서관으로 되어 있고, 6판의 판권에는 발행소가 흥문당서점興文堂書店과 회동서관으로 되어 있다. 또 4판과 6판의 판권에는 저작권 소유자 겸 발행인이 모두 고경상高敬相으로, 인쇄소는 계문사인쇄소啓文社印刷所와 흥문당인쇄소로 각각 기록되어 있다. 광익서관과 흥문당서점은 회동서관 설립자인 고유상의 둘째 동생 고경상이 운영하고 계문사인쇄소는 첫째 동생 고언상高?相이 운영하던 회동서관의 자매회사다.
산업기에 해당하는 1977년부터 1983년까지의 베스트셀러를 살펴보면, 1977년 『부초』(한수산, 민음사), 1978년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조세희, 문학과지성사), 1979년 『바구니에 가득찬 행복』(임국희·최양묵, 전예원), 1980년 『만다라』(김성동, 한국문학사), 1981년 『어둠의 자식들』(황석영, 현암사), 1982년 『인간시장』(김홍신, 행림출판), 1983년 『살며 사랑하며 배우며』(버스카글리아, 김영사)이다. 이 중에 북디자이너가 알려진 책은 정병규의 『부초』와 백영수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백인수白寅洙의 『만다라』, 양문길의 『어둠의 자식들』이다.
이처럼 베스트셀러 중에 북디자인이 우수한 책들이 포함되니 이에 대한 인식이 한층 새로워졌다. 그 결과 출판사들은 북디자인을 담당하는 전문 디자이너를 고용하거나 외부의 북디자이너에게 디자인을 의뢰하는 양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도 북디자이너 이름을 밝히지 않은 예가 더러 보이는데 정병규를 비롯하여 안상수·서기흔·조의환·최만수의 작업에서도 처음에는 북디자이너의 이름이 대부분 빠져 있다. 이때까지만 해도 아직 북디자이너의 자리매김이 유동적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1970~8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출판계는 그전 시기와는 비교할 수 없는 양적인 발전을 이루게 된다. 여기에 북디자인도 유행의 한 패턴이 되어 화려하고 자극적인 디자인으로 흐르는 양상을 띠게 되었다. 그것은 정병규의 『부초』 이후에 나타난 현상에서도 잘 알 수 있다. 정병규가 지적했듯이 어느 시대나 디자인을 시작하는 사람들은 두 가지의 경우를 겪는 것 같다. 누군가의 스타일을 따라 하거나 나중에는 거기서 벗어나는 경우가 그것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