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초등 입학 준비
· ISBN : 9788950979935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9-03-1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공부 역량의 시작점, 하브루타
1장 초등 1학년, 공부 역량부터 키워라
01 자기효능감을 키우는 시기
ㆍ 할 수 없다고 믿는 아이들
ㆍ 할 수 있다고 믿는 아이들
ㆍ 초등 1학년, 단단한 자기효능감을 키우려면
02 공부 정서를 다듬는 시기
ㆍ 공부를 싫어하는 아이들
ㆍ 공부를 좋아하는 아이들
ㆍ 초등 1학년, 긍정적인 공부 정서를 다듬으려면
03 공부 습관을 세우는 시기
ㆍ 나쁜 습관을 가진 아이들
ㆍ 좋은 습관을 가진 아이들
ㆍ 초등 1학년, 올바른 공부 습관을 세우려면
04 공부 기본기를 쌓는 시기
ㆍ 열을 배우면 하나를 아는 아이들
ㆍ 하나를 배우면 열을 아는 아이들
ㆍ 초등 1학년, 탄탄한 공부 기본기를 쌓으려면
2장 초등 1학년, 하브루타로 공부 역량을 키워라
01 단단한 자기효능감을 키우는 하브루타
ㆍ 실패하는 공부에서 성공하는 공부로
ㆍ 잘못된 칭찬에서 올바른 칭찬으로
ㆍ 듣는 공부에서 의사소통하는 공부로
02 긍정적인 공부 정서를 다듬는 하브루타
ㆍ 스스로 하는 공부가 가장 재미있다
ㆍ 이해의 재미, 외우는 공부에서 이해하는 공부로
ㆍ 참여의 재미, 수동적 공부에서 능동적 공부로
ㆍ 성장의 재미, 제자리 공부에서 성장하는 공부로
03 올바른 공부 습관을 세우는 하브루타
ㆍ 얕고 빠른 공부에서 깊고 느린 공부로
ㆍ 선행 학습에서 예습과 복습으로
04 탄탄한 공부 기본기를 쌓는 하브루타
ㆍ 공부 기본기 ① 집중력
ㆍ 공부 기본기 ② 읽기 능력
ㆍ 공부 기본기 ③ 사고력
3장 초등 1학년 공부, 하브루타로 시작하라
01 대화를 시작하라
ㆍ 우리가 나눈 것이 정말 대화일까?
ㆍ ‘부모’라는 계급장을 뗀다
ㆍ 일단 가볍게 시작한다
ㆍ 설득력이 있는 부분을 찾는다
02 질문으로 확장하라
ㆍ 질문은 공부의 핵심이다
ㆍ 질문을 사랑하게 한다
ㆍ 사실 질문을 먼저 한다
ㆍ 확장 질문으로 생각을 자극한다
03 생각으로 완성하라
ㆍ 명령을 듣고 자란 아이는 명령을 듣는 어른이 된다
ㆍ 교육의 목적은 생각에 있다
ㆍ 생각하는 부모가 생각하는 아이를 키운다
ㆍ 소리 내어 생각한다
4장 초등 1학년 공부, 하브루타로 실천하라
01 하브루타로 공부하는 초등 1학년 국어
ㆍ 듣기와 말하기
ㆍ 읽기와 쓰기
02 하브루타로 공부하는 초등 1학년 수학
ㆍ 9까지의 수
ㆍ 여러 가지 모양
ㆍ 덧셈과 뺄셈
03 하브루타와 함께하는 초등 1학년 생활
ㆍ 하브루타로 하는 놀이
ㆍ 하브루타로 하는 인성 교육
ㆍ 하브루타로 하는 예습과 복습
ㆍ 하브루타가 있는 일상생활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공부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초등 1학년이 가장 중요하다. 초등 1학년 아이의 공부 역량은 순백의 첫눈과 같다. 낮은 자기효능감도, 부정적인 공부 정서도, 나쁜 공부 습관도, 부실한 공부 기본기도 아직은 형성되지 않았다. 하지만 새하얗고 깨끗한 눈도 내린 후 시간이 지나면 오염되기 마련이다. 공부 역량은 초등 1학년 시기를 놓치면 돌이키기가 힘들다. 아이는 스스로 불가능하다고 여겨 공부를 끔찍하게 생각할 수 있다. 나쁜 공부 습관에 물들고 부실한 공부 기본기로 아무리 공부하려고 해도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이처럼 공부에 대해 나쁜 편견과 습관을 한번 잔뜩 갖게 되면 거의 되돌리기가 쉽지 않다. 초등 교사로서 수많은 아이들이 이와 같은 상태에 직면해 더 이상 공부로는 기대하기 힘든 모습을 매일매일 보고 있다. 교사로서 아이 개개인의 공부 역량을 길러주기 위해 최선을 다하지만, 아이도 부모도 그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교사 혼자서만 그렇게 하기란 무척이나 어려운 일이다. 공부 역량은 늦어도 초등 고학년이 되기 전에 부모의 도움 아래 가정에서 직접 길러야만 한다. 그래서 초등1학년이 중요하다. 처음 공부를 시작할 때부터 부모가 공부 역량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기르는 방향으로 가정에서 공부를 진행해야 한다. 그래야만 앞으로 다가올 공부를 무리 없이 소화해낼 수 있다.
- <프롤로그 - 공부 역량의 시작점, 하브루타> 중에서
공부는 다 똑같아 보이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 지금 당장 눈앞의 성적을 올리는 데 급급한 단기적 시각의 공부가 있고, 길게 내다보고 앞으로 계속 실력을 키우는 장기적 시각의 공부가 있다. 눈앞의 성적에만 관심이 있다면 점수 잘 받는 요령만을 공부하면 된다. 하지만 이렇게 공부하면 단기적으로는 좋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큰 손해이다. 사실 그 누구도 초등학교 저학년 때 좋은 성적을 받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하지 않는다. 누구나 먼 미래에 좋은 결과를 얻길 원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좋은 공부 습관을 가져야 한다. 좋은 공부 습관으로 얻은 100점은 유지가 가능하지만, 나쁜 공부 습관으로 얻은 100점은 유지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아이가 긴 안목으로 원하는 곳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좋은 공부 습관을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
- <1장 - 03 공부 습관을 세우는 시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