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098874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0-07-15
책 소개
목차
PROLOGUE 에고를 넘어 나에게로 가는 길
01 여행자: 헤세, 사랑의 길 위에 서다
02 방랑자: 끝없이 떠날 수 있는 자유
03 안내자: 문득 길이 보이지 않을 때 간절해지는 것들
04 탐구자: 『데미안』의 탄생
05 예술가: 그 끝이 비극인 줄 알면서도 달려가다
06 아웃사이더: 소시민적 삶을 향한 저항
07 구도자: 마침내 깨달음을 향하여 한 걸음
EPILOGUE 부디 내게도 그런 순간이 오기를
헤세 문학의 키워드
헤세 생애의 결정적 장면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헤세에 대한 강연과 책을 쓰다 보니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이 바로 이것이었다. “선생님은 헤세를 왜 좋아하세요?” “수많은 작가 중에 헤세를 선택하신 이유가 뭔가요?” 그런데 이상하게도 그 당연하고 필수적인 질문에 가슴이 아려왔다. ‘왜 하필 헤세인가요?’라는 질문이 마치 ‘당신은 왜 하필 당신인가요?’라는 질문처럼 다가왔기 때문이다. 당신은 왜 당신으로 태어났는지, 당신은 왜 당신으로 살아가는지를 묻는 것 같아 가슴이 아파왔다.
- 〈1장 여행자: 헤세, 사랑의 길 위에 서다〉 중
자기 자신의 진짜 모습과 만나는 순간에 느끼는 고통은 누군가가 자신을 공격했을 때보다 더 크고 깊을 때가 있다. 자기와의 대면이 너무도 고통스러웠기 때문에, 진정으로 다시 태어나고 싶었기 때문에 헤르만 헤세라는 본명을 숨기고 에밀 싱클레어라는 이름으로 출간했던 것은 아닐까. 그는 당시 융 학파의 치료를 받으면서 자기와 대면하는 일이 너무도 고통스러웠음을 여러 글에서 고백한다. 그러나 그 ‘대면’의 고통이 낳은 작품들은 너무도 아름답고 성공적이었다.
- 〈2장 방랑자: 끝없이 떠날 수 있는 자유〉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