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50993009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1-08-02
책 소개
목차
작가의 말
1. 나비효과
1920년 6월 7일, 일본군 월강추격대는 독립군의 저항을 이기지 못하고 봉오동에서 빈손으로 퇴각한다. 이것으로 모든 것이 끝난 걸까? 일본군은 만주의 군벌 장쭤린을 압박하며 새로운 작전계획을 수립한다. 봉오동에서 시작된 나비의 날갯짓은 또 다른 태풍을 예고한다.
2. 간도를 토벌하라!
일본은 조선을 안정적으로 지배하고 만주와 시베리아로 제국을 확장하기 위해 간도에 대한 토벌계획을 준비한다. 전운이 감도는 간도. 독립군은 선택의 순간에 놓인다. 정면으로 맞서야 할까, 아니면 물러나서 때를 기다려야 할까?
3. 10 대 1
전력 차이는 무려 10 대 1. 만반의 준비를 한 일본군의 포위망이 신속하게 좁혀들어온다. 독립군뿐만 아니라 간도의 한인들까지 초토화하려는 일본군. 청산리 곳곳에서 결전이 시작된다. 일본군에게 보여주자. 우리가 만주의 호랑이라는 사실을!
4. 호랑이와 사냥꾼
독립군은 청산리 일대를 누비며 매복과 기습으로 일본군을 괴롭힌다. 거친 산악 지형과 열악한 도로, 빽빽한 숲속에서 일본군의 절대 우위는 빛을 잃는다. 만주의 호랑이는 사냥꾼의 표독한 손아귀에서 벗어나 훗날을 기약하며 조국 산천을 등지고 북상한다.
5. 머나먼 길
독립군은 열세를 극복하고 일본군의 포위망을 피해 전력을 보존한다. 하지만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아직 머나먼 길을 가야 한다. 한편, 청산리 전투의 이면에서 일본군은 또 다른 잔혹한 전쟁을 수행한다.
6. 학살과 귀순, 간도참변
간도라는 토양에서 피어난 독립군. 줄기와 잎사귀가 독립군이라면 뿌리는 무엇일까? 바로 조선에서 간도와 연해주로 이주한 수십만의 한인들이다. 이들 없이 독립군은 존재할 수 없다. 뿌리까지 완전히 갈아엎어라! 일본군의 채찍과 당근이 한인들의 삶마저 철저히 파괴한다.
7. 푸트와 마틴, 그리고 장덕준
일본군은 간도의 한인들에게 가하는 만행이 국제 사회에 알려지지 않도록 정보를 철저히 통제한다. 요주의 인물 1순위는 서구의 선교사. 끈질기게 취재하는 조선인 기자도 몹시 성가시다. 진실은 목숨을 위협한다. 그러나 용기 있는 자들이 간도참변의 실상에 다가선다.
기억해야 할 인물들
독립군의 일본군 포위망 탈출
청산리 전투 타임라인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국경을 넘어서 독립군을 토벌하려던 일본의 섣부른 시도가 봉오동 전투로 실패하고 다른 군벌들과의 전쟁을 눈앞에 둔 장쭤린의 방치가 이어지면서 일본은 대규모 병력으로 간도의 독립군과 그들을 후원하는 조선인들을 몰아낼 계획을 세운다. 그렇게 봉오동 전투에서 시작된 나비효과는 결국 청산리 전투로 이어지게 된다.
- 〈제1장 나비효과〉 중에서
일본군 참모본부는 19사단의 보병 6개 대대와 기병 및 공병 부대, 산포와 비행기를 동원해서 작전구역 내의 독립군을 토벌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20사단에도 독립군을 토벌하라는 명령을 하달했다. 추가로 블라디보스토크 파견군과 북만주 파견대 일부를 동원하고 철수 중이던 28여단을 연해주의 포시예트만에 상륙시켜서 훈춘 방면으로 보내 무력 시위를 했다. 이렇게 포위망을 넓게 구축한 것은 러시아와 중국 동북지역으로 탈출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였다. 우선 간도의 북쪽에서는 시베리아 파견부대가, 동쪽에서는 포시예트만에 상륙한 28여단이 진군하고, 관동군에서 차출된 부대가 동쪽을 포위해 러시아로 탈출하는 루트를 차단한다. 그리고 19시단이 간도의 남쪽에서 북상해 독립군을 소탕한다는 계획이었다.
- 〈제2장 간도를 토벌하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