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88950999681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22-03-31
책 소개
목차
서문
01 제3의 성찰
미래에서 배우다
인연이 길을 열다
내가 만난 사람들
인상 깊은 이야기들
02 통일독일의 재발견
남독의 프린 암 킴제
북독의 농촌 중심지 랑겐호른
킬 유학생, 장관으로 돌아오다
동베를린에서 일 년을 살다
신연방주의 발견
성장 중심지들의 부침
03 독일의 경험
위대한 성취
남은 과제
유럽 속의 독일
언론에 비친 통일독일 30년
소결: 독일통일의 교훈
04 한국의 도전
공통점과 차이점
왜 통일해야 하나?
한반도와 주변 정세
위기와 기회
시공간적 문제
05 한반도 통일의 기본원칙
기본원칙과 실행원칙
자유민주통일
자주통일
평화통일
06 한반도 통일을 위한 실행원칙
대동정신
실용적 접근
정책의 일관성
적극적 통일준비
07 요약 및 결론: 자유와 통일
08 한국 청년들에게 고함
대담자 명단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여러 곳, 다양한 자리에서 일했지만, 내 모든 활동은 어떻게든 분단 및 통일과 연결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통일부 장관에 취임할 때에는 “통일은 우리 일생을 관통하고 있는 과제다. 나 자신 먼 길을 돌아 결국 와야 할 곳에 왔다. 그래서 나의 모든 것을 바칠 각오로 이 자리에 섰다”(2011년 9월 19일 취임사)고 말하기도 했다.
[서문]
그 많은 통일론에 또 한 권의 책을 보태는 것이 아니라, 내가 지금 꼭 해야 하고 잘할 수 있는 방법으로 통일을 이야기하자. 독일은 이미 30년 전에 통일되었는데 한반도는 여전히 분단되어 있다. 통일 후 한 세대가 지난 독일에서 다시 우리나라 통일의 길을 찾는 작업을 하자. 현장을 조사하고 증언을 듣고 그들의 인식을 평가하고 재해석하자. 그것을 한국에 비추어 교훈을 얻자. 그리하여 ‘성찰’이라는 방법론적 개념을 찾아내는 데에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01 제3의 성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