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75943201
· 쪽수 : 285쪽
· 출판일 : 1998-02-18
목차
머리말 : 세기적 변화의 흐름과 한국의 진로
제1부 문명사적 변화와 한국의 지향가치
제1장 근대 서구문명의 위기와 대응
제1절 근대 서구문명의 한계
제2절 자유민주주의 -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의 역사
제3절 개인주의의 문제
제4절 복지국가의 한계
제5절 근대문명 비판
제2장 전통과 현대의 조화
제3장 한국의 지향가치와 미래상
제1절 보편성으로서의 이념 : 세계화 이념 모형
제2절 특수성으로서의 이념 : 한국화 이념 모형
제2부 변화의 흐름과 도전의 성격
제1장 정보화
제1절 정보사회와 정보공동체의 형성
제2절 정보사회로의 변동 유인
제3절 도전과 기회의 공존
제4절 우리의 과제
재2장 세계화
제1절 세계화 현상과 그 동인(動因)
제2절 국가중심체제의 변화
제3절 국가간 경제력 판도의 변화
제4절 국가간 상호의존관계 심화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마찰 발생
제5절 국내 산업구조조정과 소득 재분배
제6절 우리의 과제
제3장 분산화
제1절 분산화의 요인
제2절 기업조직의 분산화
제3절 정부조직의 분산화
제4절 공간적 분산화
제5절 집중과 분산의 조화
제4장 다양화
제1절 전통적인 질서
제2절 다양화의 사회문화적 기초
제3절 다양화 시대의 특성
제4절 다양화 속에서의 문화정체성
제5장 친환경화
제1절 친환경화의 배경
제2절 환경 위기와 생태적 가치의 인식
제3절 환경문제의 성격과 대응 양상
제4절 친환경화의 문제와 수용 방향
제5절 향후 전망과 우리의 과제
제3부 한국의 위상과 발전목표
제1장 세계질서의 변화
제1절 새로운 세계질서의 특징
제2절 신국제경제질서의 태동
제2장 한국의 위상
제1절 21세기 한국의 모습
제2절 '후후발 국가군'의 선두주자로서의 역할
제3절 세계 속에서의 한국의 새로운 역할
제3장 선발국가의 경험을 넘어서
제1절 문제의 소재
제2절 미국
제3절 독일
제4절 일본
제4장 한국적 발전 모델의 모색
제4부 한국의 잠재력과 선택
제1장 21세기를 대비하기 위한 정치와 정부혁신
제1절 정치선진화의 방향과 과제
제2절 '작고 효율적인 정부'의 구현
제2장 세계질서에의 적극적인 참여, 그리고 민족통일
제1절 세계질서의 변화와 국가발전의 목표
제2절 동북아질서 변화와 한국의 선택
제3절 한국외교정책의 방향
제4절 한국외교의 기회와 도전
제5절 21세기와 한국 안보전략의 선택
제6절 지역주의와 한국의 선택
제7절 궁극적인 선택 : 한반도 통일
제3장 건전한 시장경제질서의 구축
제1절 한국경제의 잠재력과 문제점
제2절 한국경제의 선택
제4장 한국적 공동체질서와 가치 추구
제1절 우리 문화의 잠재력과 문제점
제2절 한국문화와 세계문화
제3절 열린 공동체를 위하여
제5장 과학기술의 진흥과 조화로운 국토관리
제1절 과학기술의 진흥
제2절 조화로운 국토관리
맺음말
저자약력
집필자 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