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52111968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11-04-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의미장 ‘-는’의 이해
1. 어미와 문장 / 1
2. 두 개의 시 / 6
3. 의미장에 대한 기본적 이해 / 12
4. ‘내가’와 ‘나는’의 차이 / 14
5. 형용사의 경우 / 16
제2장 어미와 위상공간
1. 위상의 이해 / 19
2. 단어와 어미의 집합 / 20
3. 상위의 T집합 / 27
4. ‘-는, -도, -만’ / 30
5. 의미장의 정의 / 35
6. 종결어미 이전의 어미 / 43
7. ‘-는’과 ‘-를’의 비교 / 45
제3장 시의 의미장(1)
1. 시조 / 47
2. 김소월 / 50
3. 윤동주 / 54
4. 김영랑 / 58
5. 한용운 / 60
6. 유치환 / 64
제4장 시의 의미장(2)
1. 서정주 / 71
2. 이상 / 77
3. 김춘수 / 83
4. 김수영 / 87
5. 대중가요의 경우 / 91
제5장 산문의 의미장
1. ‘-는’의 적절한 사용 / 103
2. 한 문장에 하나의 의미장 / 110
3. 의미장의 고른 분포 / 116
4. 의미장의 편협한 분포 / 125
제6장 옛글의 의미장
1.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 129
2.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 134
3. 두시언해(杜詩諺解) / 140
4. 춘향전의 한 구절 / 148
맺음말 / 153
참고문헌 / 165
찾아보기 / 167
Abstract / 171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에서 ‘어미’는 조사와 어미를 포괄적으로 칭한다. 조사의 개념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조사에서 떠올리는 여러 분류(주격, 처격, 여격, 목적격 등)의 개념을 전제로 하지 않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159쪽 주석 1)
선생님이 약을 먹여는 준다. 이렇게 되면 ‘먹여 주는 일’까지는 선생님이 하지만 그 뒤의 일, 예를 들어 ‘삼키는 일’은 내 몫이라는 의미장의 구체화가 일어난다. 그러나 ‘준다’ 다음에는 ‘-는’을 넣을 수 없다. ‘주다’에 ‘ㄴ’이 추가되어 ‘준다’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이 책에서는 ‘준다’의 ‘ㄴ’도 의미장을 결정하는 ‘-는’과 같은 성격의 것으로 보고자 한다. ‘준다’의 ‘ㄴ’을 의미장을 정해 주는 ‘-는’과 같은 것으로 보면 두 개의 ‘-는’이 한 문장 안에 나타나는 셈이다. 한 문장 안에 ‘-는’이 두 번 출현하면 의미장의 기본 형태를 갖추게 된다.(3쪽)
한 문장에 ‘-는’이 세 개 이상 나오면 의미장은 불명확하게 된다. 전부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하나에도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즉 동사를 제외한 다섯 개의 단어 중 하나를 강조해야 효과가 크지, 다섯 개 모두를 강조하면 하나도 강조하지 않은 것과 같은 결과가 되는 것이다.(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