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야기
· ISBN : 9788952112699
· 쪽수 : 406쪽
· 출판일 : 2012-06-12
책 소개
목차
Chapter 1 / 언제 박수를 쳐야 하나
01 음악회 가려면 정장을 해야 하나 16
02 음악회는 몇 시간 걸리나 19
03 프로그램은 꼭 읽어야 하나 21
04 쇼핑 다녀오느라 짐이 많은데 24
05 음악을 들으면 잠이 쏟아지는데 26
06 콘서트홀에서 좋은 자리는 28
07 정시에 도착해야 하나 31
08 늦게 도착했을 때는 어떻게 하나 34
09 기침이 나올 때는 어떻게 하나 38
10 감기에 안 걸렸는데도 왜 재채기가 나올까 42
11 휴대폰은 진동 모드로 하면 되나 45
12 유아를 동반해도 되나 50
13 옆사람과 귓속말은 해도 되나 53
14 음악회가 시작되면 자리를 옮길 수 없나 55
15 박수는 언제 쳐야 하나 57
16 기립 박수를 쳐야 하나 62
17 리듬 박수는 어떻게 생겨나는가 65
18 앙코르 곡은 어떻게 알 수 있나 67
19 음악회 감상문은 어떻게 쓰나 71
20 한국에는 왜 야외 음악회가 없나 74
Chapter 2 / 오케스트라
21 제1바이올린은 왜 지휘자 왼쪽에 앉나 82
22 악장은 어떤 역할을 하나 89
23 악기는 어떻게 조율하나 92
24 현악 파트는 왜 악보를 두 명이 함께 보나 95
25 무대 뒤에서 들려오는 나팔 소리는 뭔가 97
26 오케스트라에 아코디언도 있나 100
27 여성 단원이 없는 오케스트라도 있나 102
28 여성 단원이 많아지면 소리가 달라지나 108
29 콘트라베이스는 왜 소시민의 상징이 되었을까 111
30 지휘자가 단원을 따로 불러 세워 인사하게 하는 이유는 115
31 연주 도중 일어서는 단원은 뭔가 117
32 연주 도중 귀마개를 하는 단원도 있나 119
33 바이올린 줄이 끊어지면 어떻게 하나 122
34 악기는 어떻게 옮기나 124
35 악보는 누가 관리하나 130
36 프로그램은 누가 결정하나 133
37 뉴욕 필이 센트럴파크로 간 이유는 136
38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교향악단은 139
39 세계 최고의 교향악단은 143
40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교향악단은 146
41 모스크바 필하모닉은 왜 두 개인가 149
42 단원들이 창단한 벤처 오케스트라는 152
43 오케스트라는 왜 실황 녹음을 좋아하나 155
44 오케스트라 단원은 여름 휴가를 어떻게 보내나 157
45 연주단체는 어떻게 M&A를 하나 159
46 오케스트라의 상징은 시대에 따라 어떻게 바뀌었나 162
47 뉴욕 필하모닉은 왜 평양에 갔을까 164
48 철의 장막을 맨 처음 뚫은 서방 오케스트라는 166
49 오케스트라들은 왜 앞다투어 유엔 총회장으로 가나 174
50 연말에 ‘합창 교향곡’을 연주하는 이유는 182
Chapter 3 / 지휘자
51 지휘자는 어떤 역할을 담당하나 188
52 지휘자 없는 오케스트라도 있나 191
53 지휘자는 오케스트라의 CEO인가 195
54 차세대 지휘자 10인은 누구인가 197
55 죽어서도 매년 18억 원씩 벌어들이는 지휘자는 200
56 음악감독과 예술감독은 어떻게 다른가 210
57 여성 지휘자는 언제부터 생겨났나 212
58 단원 투표로 지휘자를 뽑는 오케스트라는 217
59 지휘봉으로 한 달에 7억 원 버는 사나이는 223
60 로린 마젤의 연봉은 얼마일까 227
61 멘델스존이 지휘자로 거쳐 간 오케스트라는 231
62 지휘봉을 꼭 써야 하나 238
Chapter 4 / 연주자
63 음악가는 내성적인가 246
64 거장의 연주는 무엇이 다른가 249
65 무대에 등장할 때부터 범상한 느낌이 드는 이유는 251
66 천재 음악가는 모두 성공하나 253
67 신동 음악가는 반드시 성공하나 257
68 피아니스트는 왜 오버액션을 하나 259
69 피아니스트는 왜 악보를 보지 않고 연주할까 262
70 협주곡의 카덴차는 즉흥 연주인가 270
71 무대에서 연미복만 입어야 하나 272
72 가죽 점퍼를 입고 연주해도 되나 275
73 연주자가 지켜야 할 무대 매너는 283
74 음악가도 직업병이 있나 289
75 악기 케이스에는 무엇이 들어 있나 292
76 무대 공포증은 어떻게 극복하나 294
77 공연 직전 술 마시는 연주자도 있나 298
78 리허설은 많이 할수록 좋은가 301
79 성공적인 앙상블이 되려면 305
80 현악 4중주단으로 성공하려면 310
81 피아노 듀오는 왜 인기인가 317
82 피아노는 많을수록 좋은 소리가 날까 319
83 공연 매니저는 언제부터 생겼을까 321
84 피아니스트는 세일즈맨인가 325
85 동성애 음악가가 많은 이유는 327
Chapter 5 / 공연장
86 로비에서도 연주회가 열리나 340
87 공장을 개조한 콘서트홀도 있나 343
88 교회당을 개조한 콘서트홀도 있나 347
89 콘서트홀에 스크린이 등장한 이유는 349
90 음악 감상도 스타일이 제각각인가 351
91 입장권 10원짜리 콘서트도 있나 358
92 무대 위의 마이크는 확성용인가 363
93 합창단 파트별 배치는 어떻게 하나 365
94 세계에서 가장 비싼 피아노는 367
95 스트라디바리 바이올린은 왜 비싼가 372
96 야외 음악회의 매력은 377
97 모차르트 초콜릿은 언제부터 만들었나 380
98 왜 젊은이들은 재즈를 좋아할까 385
99 새소리를 묘사한 음악은 388
100 음악 저작권은 언제부터 생겼을까 392
101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콘서트홀은 394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공연장에 가는 목적은 일차적으로는 공연을 보면서 예술의 향기에 취하는 것이다. 하지만 자신의 존재를 남에게 알리는 것, 남의 주목을 받고 싶은 욕망을 충족하는 것도 중요하다. 의자 색깔이 대부분 빨강색인 국내 공연장에서는 녹색 계통의 옷이 돋보인다.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리는 독창회나 독주회는 무대와 가까운 앞자리, 그중에서도 약간 왼쪽이 좋다. 연주자의 표정을 생생하게 볼 수 있는데다 소리도 풍부하고 선명하게 들린다. 1층 C블록 1열은 패션 디자이너 앙드레 김이 즐겨 앉았던 자리다.
음악회에서 평생 잊지 못할 감동을 체험하려면 연주자의 노력만으로는 모자란다. 나머지는 청중이 어떤 감상 분위기를 만드는가에 달려 있다. 그런 의미에서 청중도 ‘연주자’다. 소리를 내지 않고 침묵을 지키는 것도 훌륭한 연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