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토목/건축공학
· ISBN : 9788952117397
· 쪽수 : 652쪽
· 출판일 : 2018-10-15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서문
1장 현대성, 자유, 숙명
재현의 본성 변화
생산 시대의 창조성
현대 문화의 내향성
오늘날 문화의 회색 지대
2장 소통공간의 본성
인간적 상황과 경험의 숨은 조건들
연속성 원칙과 공간 구조
소통공간의 상황적 본성
소통 움직임의 역할
건축의 침묵적 언어
문화의 삶에서 건축의 위치
3장 중세 세계의 투시도적 변형
자연 투시도: 그 배경과 기원
13세기의 광학적 종합
중세 광학으로부터 인공 투시도로
회화 투시도의 형성
가시 세계의 변형
투시도: 우주로서, 그림으로서의 세계
현상과 감각 판단으로의 회귀
4장 재현 분열 시대
분열된 재현의 본성
우주 중심 세계관
전통과 새로운 과학의 화해
빛의 중재 역할
무한 기하학
소통공간의 수사학
5장 현대건축의 기반
도구적 재현의 도전
미적 재현의 새 영역
상징적 재현의 한계
힘에의 의지 및 허무주의로서 재현
6장 현대 기술의 그늘에서 창조성
의지와 역사적 숙명으로서의 기술
현대 기술의 기원
건축적 상황들과 공학 체계들
정보 및 텔레프레전스 시대의 건축
7장 파편의 회복
파편의 기원들
낭만주의와 파편의 새로운 의미
숭고와 전체성 감각
파편의 창조적 역할
8장 건축 시학을 향해
성격과 양식의 남은 의미
건축의 모방적 본성
디자인의 시학적 패러다임
건축과 잠재 세계
참고문헌
그림 출처
찾아보기
문명총서 발간사
책속에서
우리가 당면한 과제와 딜레마는 이미 자율성을 확립한 현대 기술의 발명과 성과를 인간 삶의 조건, 우리가 물려받은 문화, 자연 세계와 어떻게 조화시킬지의 문제다. 온갖 지식과 각종 제작 방식을 도구적 합리성과 기술에 모조리 종속시킴으로써 이 난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순진한 믿음에서는 답을 찾을 수 없다. 실재의 영역 전부를 이렇게 다룰 수도 없을뿐더러 계속 이렇게 믿다가는 딜레마만 깊어질 뿐이다.
이것은 가상현실을 지향하는 최근 몇몇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으로 들리는데, 가상현실은 흔히 인정되듯이 의식적으로 구조화되고 통제되는 환각의 세계다. 그러나 환각은 특정한 공간들과 매체들에서만 일어날 뿐 전체의 실재성과 같을 수가 없다. 실제로 문화에는 환각에 맞서는 구조들이 있다.
더 분절된 문화 수준과 건축 간의 의미적 연속성을 이해하기 어려운 까닭은 건축주, 성직자, 인문학자, 지식인, 예술가, 건축가 사이에 있었을 소통의 증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 소통공간에서는 프로그램, 목적, 건물, 건물군의 전체 의미가 설정되어 있었으므로 특정한 내용을 한 매체에서 다른 매체로 번역할 수 있었다. 이 소통공간은 간접적으로만 재구축될 수 있는데, 그것은 맥락적 증거에 기대어 여러 분야, 여러 문화 계층에 의해 공유되고 중재된 의미를 이해해야만 가능하다. 이 중재 현상의 핵심은 언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