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개항도시를 걷다

중국 개항도시를 걷다

(소통과 충돌의 공간, 광주에서 상해까지)

김능우, 김월회, 김주관, 김수연, 정재훈, 김민정, 서정일 (지은이)
현암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 개항도시를 걷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개항도시를 걷다 (소통과 충돌의 공간, 광주에서 상해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사
· ISBN : 9788932316550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13-05-24

책 소개

중국학 전공자뿐만 아니라 한국사, 건축학, 인류학, 문학 등을 전공한 연구자들이 중국 고대에서 현대를, 역사.문화.사상을 넘나들며 이들 개항도시로 대표되는 현대 중국의 도시문화를 입체적으로 조망한다.

목차

서문: 개항의 역사 - 문명의 중층적 경계를 넘어서

Ⅰ 광주
개항도시 공간의 전형, 외탄_ 김주관
인도양을 건너 중국에 온 아랍 상인_ 김능우
광주에서 서원의 사회성을 묻다_ 정재훈
기루와 리농: 현대 중국 도시주거의 탄생과 소멸_ 서정일

Ⅱ 하문
아편과 은 그리고 전쟁_ 김월회
바다의 시선으로 본 정성공_ 김월회
화교의 도시 하문과 '애국 화교'진가경_ 김민정
중국 속의 작은 서양: 광주 사면과 하문 고랑서_ 서정일

Ⅲ 천주
이슬람 문화가 꽃을 피웠던 도시, 천주_ 김능우
공자의 중국을 뒤흔든 대자유인, 이탁오_ 정재훈
바닷길의 수호신, 마조_ 김주관

Ⅳ 영파
바다의 항구, 영파_ 김월회
영파의 고려사관을 찾아서_ 정재훈
재테크의 달인 영파방의 근대 상해 공략기_ 김민정

Ⅴ 상해
프랑스 조계 지역의 소리 문화를 찾아서_ 김수연
중국 근대 광고의 발원지를 가다_ 김수연
조계와의 경계 지역 화계, 출판사를 찾다_ 김수연
유대인, 상해를 접수하다_ 김주관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능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와 같은 대학교 대학원 아랍어문과를 졸업하였다. 수단의 국제 카르툼 아랍어연구소에서 아랍어교육학 석사학위를, 요르단대학교(University of Jordan)에서 중세 동부지역 아랍인의 전쟁시(戰爭詩)에 관한 연구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아랍시(詩)의 세계』, 『아랍인의 희로애락』, 『한국어-아랍어 사전』(공저), 『무알라까트』(주해), 옮긴 책으로 『야쿠비얀 빌딩』, 『시카고』, 『너의 낯섦은 나의 낯섦』, 『중세 아랍시로 본 이슬람 진영의 대(對)십자군 전쟁』(역주), 『성찰(省察)의 서(書)』(역주) 등이 있으며, 「알무타납비의 카푸르 풍자시 “축일(祝日)이여, 어쨌든 너는 돌아왔느냐?” 고찰」, 「캄리야트(酒詩)의 시성(詩聖) 아부 누와스 고찰」, 「십자군 전쟁 당시 아랍 시인들의 이슬람 진영에 대한 비판」, 「중세 아랍시에 나타난 ‘몽골과 이슬람 세계와의 충돌’에 관한 연구」 등을 비롯한 여러 편의 논문이 있다. 중세 아랍시를 중심으로, 아랍 문학 작품에 나타난 문화와 사회 현상에 관심을 갖고 연구해오고 있다. 2020년 카타르 셰이크 하마드 번역상(Sheikh Hamad Award for Translation and International Understanding)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월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20세기 전환기 중국의 문화민족주의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로 고대 중국의 지성사와 중국문학사, 중국문학이론을 입체적으로 재구성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인문적 시민사회’ 구현을 위한 교양교육과 인문교육에 대한 연구와 교육도 병행하고 있다. 『깊음에서 비롯되는 것들』, 『춘추좌전–중국문화의 원형이 담긴 타임캡슐』을 지었고, 서양고전학자와 함께 『무엇이 좋은 삶인가』, 『인문정신이란 무엇인가–동서양 고전과 문명의 본질』, 『고전의 힘, 그 역사를 읽다』 등을 공동 저술하였다.
펼치기
김주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인류학을 공부했으며, 이어서 미국 애리조나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데이비스 소재 캘리포니아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했으며, 지금은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파라미타칼리지 조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근대민중생활사 읽기>가 있으며, 언어인류학과 한국문화교육 및 문화자료 아카이브 등과 관련한 논문을 다수 발표했다.
펼치기
정재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인문학연구원을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조선전기 유교 정치사상 연구》, 《조선시대의 학파와 사상》, 《조선의 국왕과 의례》, 《조선 국왕의 상징》 등이 있고, 역서로 《동사(東史)》, 《용헌집(容軒集)》, 《동호문답(東湖問答)》, 《대학연의(大學衍義)》 등이 있다. 그외 논문 40여 편이 있다.
펼치기
김민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7년 중국 상하이 화둥사범대학에서 《‘유럽전쟁’ 담론과 ‘1910년대’ 한중 지식인의 사상 지형도(“歐戰”論述與“1910年代”中韓知識分子的思想狀況)》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종현학술원 중국학술팀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고전 매트릭스 연구단’ 소속이다. 《왜 동아시아인가 ― 상황 속의 정치와 역사》(2018)를 번역했고, 《청소년을 위한 고전 매트릭스》(2022) 등을 함께 썼다.
펼치기
서정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공과대학 건축학과에서 건축학 전공 학사,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와 뉴욕대의 방문학자 역임.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연구교수로 인문학과 건축의 상호 이해와 융합에 천착했고 태재연구재단에서 근무했다. 주요 저서로 『소통의 도시: 루이스 칸과 미국 현대 도시 건축』(심원건축학술상), 『뉴욕 런던 서울의 도시 재생 이야기』(공저, 2010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그림일기: 정기용의 건축 드로잉』(공저), 『동서양의 접점: 이스탄불과 아나톨리아』(공저, 2018 세종도서) 등이 있고, 역서로 『루이스 멈퍼드 건축비평선』,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의 ‘건축론’』(2019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재현 분열 시대의 건축』(2019 세종도서)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