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백남준과 테크노아트

백남준과 테크노아트

홍성욱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000원 -0% 0원
1,300원
24,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2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6,000원 -10% 1300원 22,100원 >

책 이미지

백남준과 테크노아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백남준과 테크노아트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52138736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24-06-30

책 소개

백남준은 예술적 상상력과 과학기술의 상상력을 융합해 새로운 영역의 예술을 개척해 냈다. 백남준의 테크노아트를 과학이라는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자연과학과 인문학, 예술의 접목을 통해 독자로 하여금 진정한 지성인으로서 사고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식을 제시한다.

목차

머리말
1. 기술과 예술
2. 20세기 사이버네틱스와 전자 예술
3. 사이버화된 삶을 위한 예술
4. 비디오 합성기
5. 로봇
6. 인공위성
7. 책을 맺으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발간사

저자소개

홍성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위원.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과학기술학자. 기술재난을 분석한 『우리는 재난을 모른다』를 출간했다. 토머스 쿤과 브뤼노 라투르의 저서를 번역하고 있으며, 조만간 파놉티콘과 전자감시에 대한 논의를 21세기 빅데이터 인공지능 시기로 확대해서 다룬 『파놉티콘: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출간 예정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18~19세기에도 일부 예술가들이 과학 기술을 예술의 소재, 대상, 매체로 사용했지만, 예술과 과학 기술이 확연하게 다시 가까워진 것은 20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였다. 20세기 예술은 대상을 보이는 대로 재현하는 것에서 해방되었을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의미의 아름다움을 드러내야 한다는 제약에서도 해방되었다. 즉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예술적인 실험에 필수 요소로 도입되곤 했는데, 파블로 피카소가 입체주의를 제창할 때 4차원 시공간에 대한 논의에 기댔다거나, 마르셀 뒤샹이 화학 실험실을 차려 놓고 새로운 재료와 개념을 가지고 와서 자신의 예술과 접목한 사례는 잘 알려져 있다. 20세기 예술가들은 사진, TV, 비디오, 인터넷, 무선전화 등의 통신 기술을 예술의 매체로 사용했고, 강철, 합금, 플라스틱, 유전자 조합법 같은 과학 기술적 산물이나 방법을 예술과 접목시켰다. 지금은 첨단 기술인 인공지능도 다양한 방식으로 예술 작업에 사용되거나, 예술 작업을 대체하고 있다.
백남준도 기술을 예술의 영역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였던 예술가 중 한 명이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그는 1960년대를 거치며 TV와 비디오를 이용한 예술의 새 영역을 개척했다. 그의 비디오아트는 총천연색의 다양한 이미지들을 만들어 합성하고, 매 순간 이미지들을 변형시켜서 TV를 통해 내보내는 형태를 취한 것이 많았다. 그는 자신의 비디오아트를 위해 1970년 비디오 합성기를 개발했고, 이를 이용해 TV 방송으로 4시간짜리 비디오아트를 송출하기도 했다. 백남준은 1980년대에 위성을 사용해서 지구 반대편의 방송을 하나로 잇는 새로운 예술도 시도했다. 백남준에게 예술과 기술은 그의 활동 속에서 통합되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예술이고 기술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그 경계가 허물어져 있었다.


그의 예술 세계에 미친 가장 결정적인 영향은 1958년에 만난 미국의 전위음악가 존 케이지로부터 나왔다. 백남준은 케이지의 소리 콜라주에 매료되었고, 나중에 여러 차례에 걸쳐서 1958년에 케이지를 만난 이후 자신의 예술 세계가 새롭게 태어났음을 고백했다. 그는 케이지와 가깝게 지내면서 <존 케이지에게 보내는 경의> 같은 곡을 작곡하기도 했고, 1960년에 열린 한 공연에서는 관객석에 앉아 있던 케이지에게 다가가 그의 넥타이를 자르는 퍼포먼스를 선보임으로써 자신이 그의 예술에 빚지고 있음을 드러냈다.
백남준은 훗날 케이지의 <4’ 33”> 같은 ‘침묵 음악’이 단순히 관객의 (소음, 기침, 부스럭거리는 소리 등) 참여를 통해 음악을 구성한 것에 그치지 않고, 메시지와 소음 사이의 관계를 역전시켰다고 해석했다. 위너의 사이버네틱스와 섀넌의 정보 이론에 의하면, 인간과 기계의 정보전달에 있어서 항상 중요한 것은 부호화된 정보였다. 소음은 불필요하게 들어가는 잡음이었고, 부호의 해독 과정에서 가급적 최대로 제거해야만 하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4’ 33”>는 소음이 정보보다 중요할 수 있음을, 아니 소음이 곧 정보임을 보여 주었다는 것이다. 백남준에게 케이지의 음악에서 소음은 제거해야 하는 대상이 아니라, 불확실하고 비결정론적인 예술적 환경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가 되었는데, 이것은 예술가가 과학자와 엔지니어의 세계관을 비틀어 버린 사례였다.
행위 음악이나 전자음악이 아닌 다른 형식의 예술 작업을 모색하던 백남준은 1961년 11월에 쾰른의 라디오 방송국에 들렀다가 그곳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매료되었다. 그는 전자기기들이 무한한 피드백으로 결합되어 시청자들의 목소리를 방송국에서도 들을 수 있는 장면을 상상하면서, “무한한 ‘피드백’의 은유적인 연결들이 이렇게 발생한 구체적인 효과보다 더 흥미로울 수 있다.”라고 진단했다. 라디오 방송에 주목하면서 그는 예술적 매체로서 TV에 눈을 돌렸다. 당시 TV는 전자공학이 낳은 최첨단 기술로 보통 ‘전자 TV’라고 불리고 있었다. 이후 백남준은 몇 달에 걸쳐 TV 회로, 전자공학, 물리학 등을 집중적으로 공부했으며, 괴츠의 논문을 꼼꼼하게 읽었고, 자신의 개인전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백남준의 회고에 의하면 이 무렵에 그는 자유, 다양성, 시각적 쾌락, 인지적 관심이 지배적인 새로운 예술장으로 이주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174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