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서남아시아사
· ISBN : 9788952203649
· 출판일 : 2005-05-20
책 소개
목차
유대인의 역사 1 - 성경 속의 유대인들
감사의 글
머리말
1부 이스라엘 사람들
막벨라 동굴이 지닌 상징성|“나는 떠돌아 다니는 나그네요”|인격적인 신의 등장|히브리 민족의 등장|아브라함, 새로운 역사의 탄생|아들, 이삭을 바치라!|선택받은 백성|야곱 혹은 이스라엘|지파와 부족동맹체제|요셉, 최초의 배후세력|최초의 멍에와 그 종말, 출애굽|영적 전체주의자, 모세|율법과 십계명: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존엄성|민주적 신정정치|여호수아의 정복과 고고학적 기록|사사: 카리스마를 지닌 인물들|사무엘과 예언자들|최초의 왕, 사울|다윗, 성직을 중히 여긴 왕|솔로몬, 왕정 절대주의와 성전-국가|엘리야의 고요하고 작은 목소리|아모스와 북이스라엘의 멸망|호세아와 마음의 종교|엄격주의의 발흥|이사야, 민족에서 개인으로|예레미야, 최초의 유대인
2부: 유대교
에스겔의 마른 뼈 골짜기|느헤미야의 제2성전|서기관들과 구약성경의 정경화|유대인과 성경|정경화와 성전 정통주의|그리스인 대 유대인|마카비 가문이 순교를 창안하다.|제2성전시대: 정결에서 타락까지|바리새파 유대교의 융성|헤롯 대왕의 박애주의적인 전제정치|헤롯 성전|에세네파와 세례 요한|메시아|예수: 고난의 종인가 반역의 장로인가?|바울과 기독교의 탄생|최초의 반-유대주의|요세푸스와 대반란|코크바의 냉혹한 작은 왕국|기독교인 대 유대인|랍비들의 유대교|미쉬나와 탈무드|“한 사람의 생명을 구했다면 인류를 구한 것이다”|“자신의 지혜를 사회에 기여하라!”|전사에서 학자로|바빌론 포로기의 지도자|초기 기독교의 반-유대주의|이슬람적인 이단
유대인의 역사 2 -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3부: 교권통치체제
베냐민의 여행기|최초의 합리주의자|고리대금과 유대인|이슬람 세계의 유대인들: 디미|학자들에 의한 통치|마이모니데스|중세 유대의 합리주의|반대세력으로서의 비-합리주의|신비주의와 카발라|하레비와 나흐마니데스|?조하르?|유대인과 의학|중세 유대인들의 가족|“가난한 자를 도와야 하나, 그를 부자로 만들어 줄 의무는 없다”|기독교 세계 속의 유대인들|반-유대적인 악마론|십자군 계획|최초의 피비린내 나는 모독|고리대금업자이며 세금 징수원으로서의 유대인|수도원, 흑사병, 반-유대주의|스페인에서의 유대교와 기독교의 논쟁|저주와 처벌|반-유대적인 폭동과 개종|종교재판|스페인의 유대인 사회 붕괴|이주와 추방
4부: 유대인 강제거주지구-게토
방랑자, 이븐 베르가|베니스에서의 최초의 게토|논쟁가와 노예로서의 유대인|종교개혁|반-종교개혁의 충격|방랑의 민족, 유대인|돈의 합리주의|동유럽에서 유대인 공동체가 회복되다|30년 전쟁 속에서의 번영|궁정 유대인의 발흥과 퇴락|농부들의 봉기와 희생양|루리안의 카발라와 신비주의의 유행|메시아와 신비주의의 결합|샤베타이 즈비, 그리고 그를 메시아로 만든 나탄|“어떠한 종교에서도 메시아사상을 추구할 수 있다”|므낫세 벤 이스라엘과 유대인의 영국 귀환|미국 내의 유대인 사회|자본주의의 씨앗을 만든 유대인들|합리주의와 비합리주의의 오묘한 동거|스피노자, 범신론과 무신론|유대인의 18세기 경건주의: 바알 셈 토브와 하시딤|가온과 하스칼라|멘델스존과 유대 계몽주의|유대인 개혁과 현대 반-유대주의의 탄생
5부: 해방
유럽 사화에 들어가기 위한 입장권: 세례|로트실트 가(家)|영국, 친 유대적인 사회|드이스라엘리와 유대적인 기독교|준즈와 허쉬, 계몽주의와 신-정통주의|크로크말, 그레츠의 유대 역사서술|개혁주의 유대교|히브리어의 부활과 루자토|이디시어라는 대안|세속적인 유대 지성의 출현: 하이네|마르크스와 유대인의 반-유대주의|아슈케나지의 인구폭발|차르의 유대인 학대|동유럽에서 미국으로: 핍박에서 번영으로|유대인의 미국|라자루스와 뉴욕의 유대인: 바닥에서 정상까지|세속적인 시온주의의 등장|다니엘 드론다를 기다리며|현대의 인종차별, 드레퓌스 사건|드레퓌스 측이 승리함과 동시에 찾아온 반-유대주의의 제도화|헤르즐과 독일의 반-유대주의|유대인 국가를 바라보는 판이한 입장, 엘리트와 대중|시온주의, 닻을 올리다|유대교에서 환영받지 못한 시온주의|독일 내에서의 짧은 자유|말러와 쇤베르크의 음악|박스트와 샤갈|프로이트: 유대 신비주의의 현대화|아인슈타인과 유대인의 합리주의|카프카와 상실된 영혼들
유대인의 역사 3 - 홀로코스트와 시오니즘
6부: 유대인 대학살-홀로코스트
1차세계대전과 유대인|바이츠만을 통해 영국이 후원자가 되다|벨포어 선언|유대인의 팔레스타인 정착|유대인, 자신들의 군대를 가지다|아랍 민족주의의 발흥|단 하나의 실수로 유대인과 아랍인들은 루비콘 강을 건너다|유대인 이주문제|벤 구리온과 사회주의적인 시온주의|동상이몽을 꿈꾼 유대인 지도자들|룩셈부르크, 계급 속에 유대인을 흡수시키다|트로츠키와 소련 내에서의 유대인들|이삭 바벨의 비극|시온 의정서의 탄생|시온 의정서가 낳은 효과: 영국, 프랑스, 미국에서|브로드웨이와 할리우드의 유대인들|미국 내의 유대인 범죄조직|“좋은 미국인이 되기 위해서 시온주의자가 되어야 한다”|눈에 잘 띄지 않는 유대인|어떻게 문명화된 국가에서 대량학살이 일어날 수 있는가?|히틀러와 나치|대학이 나치를 후원하다|언론의 폭력과 바이마르|발터 벤야민|히틀러의 이중 정책: 국가기구와 사적인 폭력의 앙상블|죽음에 이르는 강제노동|말살정책의 기원들|대량학살|죽음의 수용소|유럽인들의 태도: 방조, 협조, 저항|영국과 미국의 역할|왜 유대인들은 저항하지 않았을까?|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은 반-유대주의|전범재판|피해보상
7부: 시온
고난을 통한 구속|영국의 애매한 태도|유대인의 테러리즘|기회의 창문|이스라엘의 탄생 그리고 전쟁|타협에 대한 상이한 관점, 유대인과 아랍인|이스라엘의 국경|중동 전쟁: 시나이 반도 전쟁, 6일 전쟁, 대속죄일 전쟁|이집트와의 평화|누가 유대인인가?|이주의 물결|히브리어의 부활|이스라엘의 정치체제|세속과 신앙 사이|안식일, 교육, 결혼|성전산|아이히만의 재판|동양 속의 유대인|유럽의 디아스포라|미국인이 된 유대인들|해방되지 못한 소련 내 유대인들|남아프리카공화국과 ‘시온주의적인 제국주의’|현대 소련의 반-유대주의|아랍의 반-유대주의 전쟁|테러리즘|오늘날의 세속적인 시온의 역할
맺음말
역자 후기
미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