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88952205803
· 쪽수 : 781쪽
· 출판일 : 2006-12-0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피와 땀으로 점철된 해병대의 발자취 _신현준(초대 사령관) | 6
대한민국 해병대의 역사를 한눈에 _김명환(제24대 사령관·전우회 총재) | 8
해병대 1기생의 혼 _홍우섭(1기생회 회장) | 10
해병대의 미래는 밝다 _송관영(부사관 1기) | 12
서문 해병대, 그 독특한 역사 속으로 | 14
제1부 건국과 건군의 격랑 속에서
창설(1949. 4.~1950. 6.)
1. 상륙전 그리고 해병대 | 26
상륙전과 그 기원 | 해병대의 유래 | 한민족의 상륙전 전통
2. 혼란 속의 탄생 | 40
건국(建國)과 건군(建軍) | 공산세력의 교란 | 상륙전부대가 필요하다 | 초라한 출발
3. 초창기의 해병대 | 62
악조건과의 싸움 | 진주에서의 첫 임무 | 이번에는 제주도로
제2부 구국의 최전선에서
6·25전쟁`-`상(1950.6.~12.)
1. 악전고투(惡戰苦鬪) | 84
다가오는 침략의 마수(魔手) | 군산에서의 첫 전투 | 후퇴는 이어지고 | 함양에서 진주로
2. 반격의 시작 | 106
고사리에서의 첫 승리 | 진동리-반격은 시작되었다 | 최초의 통영상륙작전-‘귀신 잡는 해병’의 탄생
3. 총반격의 선봉으로 | 132
인천상륙의 결정 과정 | 세기의 걸작-인천상륙작전 | 서울을 따라 동쪽으로 | 서울에 다시 휘날린 태극기 | 잔당 소탕
4. 깨어진 북진통일의 꿈 | 166
북진과 원산상륙 | 기약 없는 후퇴
제3부 승리가 아니면 죽음을
6·25전쟁`-`하/전후 정비(1951.1.~1964.)
1. 재반격에 나서다 | 188
안동, 영덕전투 | 영월전투-본격적인 재반격 | 홍천전투
2. 고지쟁탈전 | 216
화천 저수지를 탈환하라 | 도솔산에 새겨진 ‘무적해병’의 전설 | 김일성, 모택동고지를 향하여
3. 전쟁 후기의 작전들 | 254
서해 연안 도서확보전 | 동해안 봉쇄작전 | 수도권을 사수하라
4. 전후 결산과 성장 | 286
6·25와 해병대 | 전후 성장과 재편성 | 5·16과 해병대
제4부 청룡은 간다
베트남전쟁(1965.10.~1972.2.)
1. 건국 이래 최초의 해외참전 | 314
베트남전쟁의 유래 | 한국군도 베트남으로 | 청룡(靑龍)부대의 탄생
2. 첫 전장(戰場), 캄란 | 334
베트남에 첫발을 딛다 | 특수한 전장에서는 특수한 전술을 | 첫 승리-백경, 번개작전
3. 투이호아를 뒤흔든 청룡의 용트림 | 354
이동 배경 | 청룡1호작전의 성공 | 재건, 해풍작전 그리고 이인호
4. 추라이라는 이름의 지옥 | 378
북극성은 빛난다 | 짜빈동의 신화 | 전투는 계속되고 | 용머리, 용화작전-추라이 평정의 마무리
5. 마지막 전장, 호이안 | 418
청룡의 세 번째 이사 | 구정공세와 괴룡작전 | 호이안의 잔당 소탕작전 | 승룡작전-호이안을 호령하라 | 고노이, 베리아를 평정하라 | 피날레-황룡, 기룡작전 | “싸웠노라, 이겼노라, 돌아왔노라”
6. 전후 결산 | 494
그후의 베트남전쟁 | 베트남전쟁이 남긴 것
제5부 불사조는 죽지 않는다, 다시 태어날 뿐이다
시련과 부활, 발전기(1973.10.~현재)
1. 날개 꺾인 불사조 | 504
해체와 통폐합 | 암흑기의 시작
2. 대간첩작전에서의 활약상 | 514
북한의 비정규전을 이용한 대남 도발 | 1960년대 | 1970년대 | 1980년대
3. 돌아온 불사조 | 540
재창설로 기사회생한 해병대 | 제2창군 시대
4. 해병대의 비전 | 554
해병대의 현주소 | 향후 과제
제6부 해병대에는 뭔가 특별한 게 있다!
해병대의 특수성과 문화
1. 해병은 이렇게 만들어진다 | 568
‘빨간 명찰’을 향한 6주의 지옥훈련 | 무엇이 그들을 해병대로 이끄는가
2.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단결력 | 584
한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 | 해병혼(魂)-해병대 정신의 결정판
3. 해병대의 주요 상징들 | 600
해병대 상징 | 팔각모 | 빨간 명찰
4. 막강조직-해병대전우회 | 606
해병대전우회의 창립 | 주요 활약상
부록
역대 주요 직위자 명단 | 618
전쟁기념관 선정 해병 출신 호국인물 | 620
주요 전적 기념물 | 633
전사자 명단 | 636
연표 | 748
해병대전우회 주소록 | 768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천상륙작전의 일자별 전투기록
9월 6일 제주도에서 모집된 신병3천여 명으로 구성된 1개 해병연대 부산에 도착.
9월 11일 김성은 부대의 제2, 제3중대 부산에 도착. 상륙작전 준비 완료.
9월 12일 오전 11시 제1, 제2, 제3대대 병력 미 상륙함 ‘피카웨이 호’에 승선. / 오후 3시 부산을 출항.
9월 13일 오전 9시 피카웨이 호 사관실에서 합동작전참모회의 개최.
9월 13~14일 제7합동상륙기동부대 소속 해군함정, 항공기가 인천 연안지대의 적 포대 및 진지를 겨냥하여 대규모 타격 실시.
9월 15일 오전 6시 손원일 해군총참모장의 장병 훈시. / 오전 7시 수송선단 인천행수로에 도착. / 오후 6시 제1, 제3, 제2대대 순서로 적색해안에 상륙. / 오후 9시 30분 해병대 전원 상륙완료. - 본문 145~14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