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일평 1934년

문일평 1934년

(식민지 시대 한 지식인의 일기)

문일평 (지은이), 이한수 (옮긴이)
살림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1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문일평 1934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일평 1934년 (식민지 시대 한 지식인의 일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52209412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08-07-07

책 소개

문일평이 조선일보 편집고문으로 재직하던 1934년, 「조선일보」 제호가 인쇄된 탁상용 달력에 한문으로 쓴 일기 1년분을 발굴하여 완역했다. 일기에는 이광수와 홍명희는 물론 김성수.안재홍.정인보.한용운.백낙준.이병도 등 언론계.학계를 비롯한 당대 최고 지식인들이 등장한다.

목차

역자 서문
제1장 1934년 일기
제2장 1934년 사설
부록 1934년 일기 원문
색인

저자소개

문일평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암(湖巖) 문일평(文一平, 1888~1939)은 평북 의주 출생으로, 한국 근대기의 대표적 사학자이다. 1910년 일본 메이지학원(明治學院) 중등부를 졸업했고, 1912년 와세다대학에서 정치학을, 1925년 동경제국대학에서 동양사학을 잠시 공부하면서 역사와 정치에 눈뜨기 시작했다. 1912년말 중국 상해로 건너가 동제사(同濟社)에 가담하고, 1919년 삼일운동 때 자신이 작성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는 등 독립운동에 적극 참여했다. 이후 한국사에 대한 글을 발표하기 시작했고, 신간회(新幹會)와 조선물산장려회(朝鮮物産奬勵會) 등의 발기인이나 임원으로서 정치에 참여했다. 1920년대 후반부터 역사학의 대중화에 집중했으며, 1933년 조선일보사의 편집고문으로 취임하여 수많은 사화와 사론을 지속적으로 발표했다. <호암전집>(전3권, 1939) <호암사화집(湖岩史話集)>(1939) <소년역사독본(少年歷史讀本)>(1940) <한미오십년사(韓美五十年史)>(1945) 등이 그의 사후에 발간되었다.
펼치기
이한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정치학과 대학원에서 석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일보 기자(현 여론독자부장)로 24년간 일하고 있다. 2008년 일본 와세다대학에서 외국인연구원으로 1년간 연수했다. 지은책으로 『세종시대 가와 국가』 『고려에 시집온 칭기즈칸의 딸들』, 옮긴 책으로 『문일평 1934년: 식민지시대 한 지식인의 일기』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사료로서 문자의 기록에 유의하야 공사의 문헌을 수집하는 것은 가장 필요한 일이다. 그러나 현대사 같은 것은 그 사변에 직접 관계했던 이나 혹은 그것을 목도한 이 아직까지 생존하여 있은즉 그네에게 나가 물을진대 기록에 나타나지 않은 숨은 사실을 얻어들을 수도 있나니 이것은 문자의 부족한 점을 구비(口碑)로써 보충하는 역사 연구의 일 방편이다. 현대사료는 될 수 있는 대로 문헌과 아울러 이 유로(遺老)의 구비에 기대하는 바 적지 아니하다. 그야 현대이니만치 얼마큼 발표하기 기탄(忌憚)하는 바도 있겠으나 오늘날까지 역사 연구를 보면 흔히 이 구비에는 관심하지 아니한 것 같다. (230쪽, '사료수집(史料蒐集)의 필요(必要)_10월 29일'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