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종과 재상 그들의 리더십

세종과 재상 그들의 리더십

김종명, 박현모, 정윤재, 배병삼, 이한수, 윤대식 (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종국가경영연구소 (엮은이)
서해문집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0개 4,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종과 재상 그들의 리더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종과 재상 그들의 리더십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전기(개국~임진왜란 이전)
· ISBN : 9788974834357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0-06-20

책 소개

훌륭한 군주 세종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이 책은 조선 최고의 군주, 세종이 보여준 리더십의 배경과 실제를 재조명함과 동시에 그를 보좌했던 재상들이 보여준 정치리더십도 함께 살핀다. 세종의 수성 치세를 가능케 했던 부왕 태종의 배려를 새롭게 조명하고, 훈민정음 창제와 보급과정에서 발휘된 세종의 리더십 특징들을 규명한다.

목차

왕을 만든, 왕이 만든 리더십

태종의 ‘세종을 만든’ 리더십
_세자 교체에서 전위까지 / 박현모

“왕위를 헌신짝 버리듯이 버리고”
수성의 시대를 열기 위한 태종의 진단
전위 선언과 외척 제거
세자 교체와 전위까지 60일간의 기록
정치는 ‘사람의 일’이다

세종의 ‘보살핌’ 리더십
_훈민정음 창제와 보급과정에서 보여준 / 정윤재

소통교화를 통한 여민동락與民同樂에의 꿈
신중한 연구를 계속하고 반대론을 극복하다
단호하게, 그러나 비밀리에 추진하다
반포 이후 일상적 활용을 위한 노력들
보살핌의 정치리더십, 그 현대적 함의

세종의 ‘강한 군주’ 리더십
_불교 정책이 유교 정치에 미친 영향 / 김종명

한글책의 대부분은 불교 서적이었다
세종의 불교관 형성에 영향을 준 사람들
인과설을 바탕으로 공덕 쌓기
불교 정책은 정치적 행위였다
세종의 불사가 지닌 공공성
세종과 신하 간 불교를 둘러싼 논쟁
강력한 왕권으로 불사를 추진하다


왕을 위한 재상의 리더십

이천의 ‘문무文武 겸전’ 리더십
_완성자 군주에게 필요한 신하 / 윤대식

세종과 신민, 정치적 완성을 이루다
신臣으로서 순응하다
무武의 리더십
의정부와 육조, 세종에 도전하다
이천, 세종의 정치적 자산이 되다
완성자 군주에게 필요했던 관료

변계량의 ‘일의 정치’ 리더십
_정치의 중심은 군주다 / 배병삼

‘정치가’ 변계량
변계량의 ‘정치 언어’
변계량이 요구한 군주의 리더십
리더십을 위한 세 가지 덕목
지금 이 땅의 문제를 해결하는 ‘일의 정치’

황희의 ‘반대론’ 리더십
_수성 시대에 걸맞은 조정의 달인 / 이한수

황희는 ‘청백리’에 ‘사람 좋은 재상’이었다?
세제개혁을 위한 대논쟁
여진정벌 논쟁
세종의 강한 신뢰를 받은 ‘반대론’ 재상

저자소개

김종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유가공학 전공으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에서 한국학으로 석사과정을 수료한 후, 미국 UCLA에서 한국학·불교학 전공으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불교의례를 포함한 불교문화, 불교와 국가, 선사상 중심의 한국 불교학과 해외 한국학을 연구해오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한국연구재단 학술지평가위원,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부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외한국학연구소 창립소장직, 고전학연구소 소장직을 역임하고 청호불교복지대상(학술 부문), 불이상(학술 부문)을 수상했으며,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에 수차례 등재되었다. 저서로 『국왕의 불교관과 치국책』(한국학술정보, 2013), 『한국의 세계불교유산』(집문당, 2008), 『한국 중세의 불교의례』(문학과지성사, 2001), Korean Religions in Relation(공저, SUNY Press, 2016), Zen Buddhist Rhetoric in China, Korea, and Japan(공저, Brill, 2012), Makers of Modern Korean Buddhism(공저, SUNY Press, 2010), Buddhism: Introducing the Buddhist Experience(공저,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Traditions and Traditional Theories(공저, LIT Verlag, 2006), Korea and Globalization(공저, RoutledgeCurzon, 2002) 등이 있고, Korean Studies, Korea Journal을 비롯한 다수의 국내외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다. 역서로는 『북종과 초기 선불교의 형성』(민족사, 2018), 『중국과 한국의 선사상 형성』(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파란 눈 스님의 한국선 수행기』(예문서원, 1999)가 있다.
펼치기
박현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정조正祖의 정치사상’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2001년부터 25년간 한국학중앙연구원과 여주대학교에 재직하며 정조와 세종, 정도전, 최명길 등 왕과 재상의 리더십을 연구해 왔다. 미국 조지메이슨대학교와 일본 ‘교토포럼’ 등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리더십’을 강의했으며, 시민강좌 ‘실록학교’를 20여 년째 운영하고 있다(3,600여 명 수료). 현재는 세종국가경영연구원 원장으로서, 전 세계에 세종의 리더십을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저서로는 《정치가 정조》, 《세종처럼》, 《세종의 적솔력》, 《정조평전》, 《태종평전》, 《정조 사후 63년》 등이 있으며, 《몸의 정치》와 《휴머니즘과 폭력》을 우리말로 옮겼다. 〈경국대전의 정치〉, 〈정약용의 군주론: 정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등 90여 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정윤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정치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미국 하와이대 정치학과 졸업(정치학박사) 충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영국 케임브리지대 퀸스칼리지 방문학자 역임 현대사상연구회 회장,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회장, 한국정치학회 회장 역임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처장, 국제협력처장, 세종국가경영연구소 초대소장, 한국학진흥사업단 단장 역임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사회과학부 교수 주요 저서 《한국현대정치사》(공저), 《미래한국의 정치적 리더십》(공저), 《남북한의 최고지도자》(공저), 《장면ㆍ윤보선ㆍ박정희》(공저), 《유교리더십과 한국정치》(공저), 《한국정치사상의 비교연구》(공저), 《세종의 국가경영》(공저), 《세종리더십의 형성과 전개》(공저), 《세종과 재상, 그들의 리더십》(공저), 《청소년을 위한 세종리더십 이야기》(공저), 《비폭력과 한국정치》(공역), 《리더십강의》(공역), 《영혼의 리더십: 간디의 생애와 유산》(공역), 《다사리공동체를 향하여: 민세 안재홍 평전》, 《다사리 국가론》, 《정치리더십과 한국민주주의》, 《비살생 정치학》(단독 번역) 등
펼치기
배병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다산 정약용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유도회儒道會 부설 한문연수원에서 수학했고, 한국사상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했다. 영산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유교 사상을 오늘날의 시각에서 번역하고 해설하는 일을 과업으로 삼고 있다. 지은 책으로 『논어, 사람의 길을 열다』, 『한글세대가 본 논어』(전2권), 『우리에게 유교란 무엇인가』, 『공자, 경영을 論하다』, 『풀숲을 쳐 뱀을 놀라게 하다』 등이 있고, 공저로 『고전 강연』, 『예술과 삶에 대한 물음』, 『고전의 향연』, 『글쓰기의 최소원칙』, 『유학, 시대와 通하다』 등이 있다.
펼치기
이한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정치학과 대학원에서 석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일보 기자(현 여론독자부장)로 24년간 일하고 있다. 2008년 일본 와세다대학에서 외국인연구원으로 1년간 연수했다. 지은책으로 『세종시대 가와 국가』 『고려에 시집온 칭기즈칸의 딸들』, 옮긴 책으로 『문일평 1934년: 식민지시대 한 지식인의 일기』가 있다.
펼치기
윤대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고대 중국의 유 ? 법가, 조선 후기 실학, 한국 정치사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고대 법가 철학과 조선 왕조의 정치리더십, 한국 근현대 정치지성사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충남대학교 아시아지역연구소 전임연구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교양대학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역서로는 『상앙, 이목지신을 지킨 아이언 맨』(신서원, 2020), 『일지록』(지만지, 2019, 역서), 『건국을 위한 변명: 안재홍, 전통과 근대 그리고 민족과 이념의 경계인』(신서원, 2018), 『상군서』(지만지, 2018, 역서), 『민의와 의론』(이학사, 2012, 공저), 『안재홍과 신간회의 민족 운동』(선인, 2012, 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순자의 새로운 군주: 선왕의 재현으로서 후왕의 창조」(2020), 「『순자』 속 성인(聖人)에서 성왕(聖王)으로」(2020), 「순자를 위한 변명」(2019), 「『사기』, 제국(帝國)의 정의로움을 위한 변명」(2019), 「유가적 가치체계에 내재한 원초적 여성성과 이념적 여성성 사이」(2018), 「1924~25년 식민지 정치지성의 대외인식에 드러난 자주와 사대의 교차」(2018), 「관중(管仲)의 국가 책무 기획 : 온정과 통제의 경계 짓기」(2017), 「연산군(燕山君), 권력과 폭력 간 불안한 경계 짓기의 실패자?」(2017), 「경세가 관중(管仲)과 텍스트 『관자』(管子) 사이」(2016) 등이 있다.
펼치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종국가경영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세종과 재상 그들의 리더십>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