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예술사회학

예술사회학

(순수예술에서 대중예술까지)

빅토리아 D. 알렉산더 (지은이), 김은하, 한준, 최샛별 (옮긴이)
살림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예술사회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예술사회학 (순수예술에서 대중예술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52214003
· 쪽수 : 648쪽
· 출판일 : 2010-07-02

책 소개

일상생활에서 느끼고 경험하는 예술에 대해, 또 그 외에도 예술에 대해 품었던 많은 물음에 답할 수 있도록 명쾌한 논거를 제공한다. 예술의 정의에서부터 시작하여 예술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소비되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 조건, 제도, 미디어, 기술 등은 어떻게 작용하는지 또 일상생활에서의 예술 참여는 어떠한지 등의 주제를 다루면서, 다채롭고 흥미진진한 예를 풍부히 보여준다.

목차

머리말
감사의 글

제1장 서론 : 예술이란 무엇인가?
예술의 정의
사회학 이론의 개관
이 책의 얼개

제1부 예술과 사회의 관계
제2장 반영적 접근
반영적 접근의 뿌리
연구 전략
비판
결론 : 요술 거울
사례 연구 2.1 어린이 책에 반영된 인종

제3장 형성적 접근
예술과 정신적 고양
마르크스주의
문화 비평
비판
결론
사례 연구 3.1 폭력과 텔레비전

제4장 중재된 시각: 문화의 다이아몬드
보완된 문화의 다이아몬드

제2부 문화의 다이아몬드 : 문화의 생산
제5장 예술계
하워드 베커의 예술계
문화의 생산
비판
사례 연구 5.1 아카데미로부터 공매로

제6장 비즈니스와 산업
산업 체계
문화 산업 내 영역별 차이점
이윤 추구의 동기
결론
사례 연구 6.1 음악 생산에서 혁신과 다양성

제7장 네트워크와 비영리 조직
예술 네트워크
비영리 조직
정부와 예술계
결론
사례 연구 7.1 파업 행렬의 피콜로 :
어느 교향악단의 파업

제8장 예술가
예술가와 예술계
예술이라는 직업과 노동 시장
젠더, 인종, 나이
예술가와 사회적 통제
명성
창조성과 천재
결론
사례 연구 8.1 성공이 성공처럼 여겨지지 않는다:
영화 산업에서의 경력

제9장 글로벌리제이션
대중 예술의 국제적 흐름
미디어 제국주의
순수 예술의 국제적 흐름
문화 관광
결론
사례 연구 9.1 엘긴 (혹은 파르테논) 대리석의 귀환?

제3부 문화의 다이아몬드 : 문화의 소비
제10장 수용적 접근
수용적 접근의 뿌리
영국의 문화 연구
권력과 이데올로기
수용 미학
문화적 설명
비판
사례 연구 10.1 전투와 보상으로서의 로맨스 소설

제11장 수용자 연구
사적 환경에서의 예술
수용과 기대의 지평
수용 양식
수용자의 개념
수용자와 창작자, 그리고 분배자
결론
사례 연구 11.1 카우보이, 인디언, 그리고 서부 영화

제12장 예술과 사회적 경계
고급 그리고 저급 예술 형식
예술 소비와 사회 계급
고급 문화의 제도화
예술 작품과 사회적 경계
결론 : ‘예술’이라는 명예스러운 직함
사례 연구 12.1 헤비메탈과 랩 음악 틀짓기

제4부 사회 속의 예술
제13장 예술, 바로 그것
텍스트
작가
텍스트와 수용자
기호학과 구조적 분석
틀과 맥락
비판
사례 연구 13.1 르네상스의 시각

제14장 사회 속에서 예술의 구성
의미의 직조
예술과 일상생활
예술의 장
예술과 미학의 구성
결론
사례 연구 14.1 이상한 센세이션 : 예술에서의 논쟁

제5부 결론
제15장 예술을 사회학적으로 공부하기
참고문헌
옮기고 나서
찾아보기

저자소개

빅토리아 D. 알렉산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버드 대학교 조직행동학 박사과정의 조교수 및 핵심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서리 대학교(University of Surrey)의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유럽사회학회(European Sociological Association)의 예술사회학 연구네트워크 부위원장으로 활동했으며, 2005~2006년 동안 옥스퍼드 대학교 사이드 경영대학원(Sa?d Business School) 부설 스콜센터에서 교환교수로 재직했다. 예술사회학, 문화사회학, 조직사회학 등 폭넓은 주제에 관해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는 학자이며 대학에서는 예술사회학, 조직분석학, 문헌분석학 등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는 『미술관과 자본(Museums and Money: The Impact of Funding on Exhibitions, Scholarship, and Management)』(2005)이 있고, 메릴린 루시마이어(Marilyn Rueschemeyer)와 함께 『예술과 국가(Art and the State: The Visual Arts in Comparative Perspective)』(1996)를 펴냈다.
펼치기
김은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연구교수로 있다. 평소 대학에서 축적된 사회학 지식을 대학 밖 사회 현장의 경험과 소통시키는 데 힘써왔다. 사회학에서 주요 관심 분야는 예술, 문화, 아동, 여성, 가족 등이다. 대학 밖에서는 어린이책의 소개와 비평, 강연과 시민문화운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우리 아이, 책날개를 달아주자』(2000), 공역서로 『문화 이론』(2008)과 『예술사회학』(2010)이 있다.
펼치기
한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미국 스탠포드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원장, 국민경제자문회의 민간위원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삶의질학회 회장이다. 주요 논저로는 『4차 산업혁명, 일과 경영을 바꾸다』(2018), 『커넥트 파워: 초연결 세상은 비즈니스 판도를 어떻게 바꾸는가?』(2019)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Recognition in Art World as Social Process: The Case of Oscar and Daejong Film Awards(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2017)”, “사회과학에서의 복잡계 연구: 창발과 적응 지형을 중심으로”(새물리, 2017),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분석 연구”(2017), “평가 지표는 대학의 연구와 교육을 어떻게 바꾸는가: 사회학을 중심으로”(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최샛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예일 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다. 연구 관심 분야는 문화 자본과 상징적 경계, 한국 사회의 세대 문화, 예술 사회학, 문화 예술 정책이다. 『문화사회학으로 바라본 한국의 세대연대기』, 『예술의 사회학적 읽기』(공저), 『만화! 문화사회학적 읽기』(공저), 『문화사회학으로의 초대』(번역서), 『현대문화론』(번역서), 『문화분석』(번역서) 등 100여 편의 저역서 및 논문을 저술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나는 지금까지 상당히 오랫동안 예술 사회학에 대해 많은 강의를 해 왔다. 학생들은 매번 내가 수업에서 다룰 내용을 개략적으로 한 권에 담은 교재를 추천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예술의 사회학적 양상이나 대중문화, 보다 폭넓은 의미에서 문화를 다룬 탁월한 저서가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학생들의 부탁을 들어줄 수 없었다. 순수 예술과 대중 예술에 특별히 초점을 맞추는 다양한 지적 접근법을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한 권의 교재를 소개해 달라는 학생들의 끈질긴 요구는 내가 이 책을 쓰는 데 영감을 주었다.
나는 이 분야의 지적 지형도를 보여 주려고 많은 이론과 연구를 참고했다. 학문은 진리에 대한 탐구이니 만큼 각자의 서로 다른 견해를 경합하는 경쟁의 장을 세울 필요가 있다. 나는 예술사회학을 소개하면서 동료 교수들도 익히 알 만한 주요 논쟁을 둘러싼 다양한 이론과 경험적 연구에 주의를 기울였다. 그런데도 이 책은 어쩔 수 없이 이 분야에 대한 나의 개인적인 시각을 담고 있다. 내가 이 책에서 제시한 것이 이 책을 볼 동료들이 각자 원하는 방식으로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을 만큼 그들의 견해에도 충분히 근접할 수 있기를 바라며, 그들을 자극할 만한 참신한 논쟁거리를 제공하기 바란다. 이 책을 쓰게 된 내 나름의 목적은 이 분야에 입문하는 대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고, 이 분야의 연구를 시작하려는, 그래서 이 분야에서 이름 있는 학자들에게 관심 있는 대학원생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소박한 책이 이렇게 폭넓은 목적에 얼마나 성공적으로 부합할 수 있을지는 독자에게 달려 있다.
나는 조직 사회학도 강의해 왔는데, 이때 배운 한 가지는 학생들이 추상적인 이슈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도록 이끄는 사례 연구의 중요한 역할에 주목하는 것이 효과적인 교수법이라는 점이다. 사례 연구는 일이나 직업, 그리고 조직 행위를 가르치는 데 필수적이지만 사회학의 다른 하위 분야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조직 사회학 강의를 하면서 사례 연구의 유용성을 확신하여 이를 예술 사회학 수업에도 적용했는데 역시 사례 연구는 효과적이었다. 이런 이유로 나는 이 책에서 장마다 사례 연구를 덧붙였다. 사례 연구는 수업 중 토론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다. 이를 위해 예술 사회학 분야에서 가장 흥미진진한 경험 연구를 골라 제공하고자 노력했다. -머리말(pp.7~8)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