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88965709114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9-11-20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 | 디지털 문명전환기, 성공적 비즈니스를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들어가며 | 공상인 듯 공상 아닌, 공상 같은 현실이 시작됐다
제1장 이미 혁명은 시작되었다
우리는 지금, 따로 또 같이를 즐긴다
모든 것을 더 싸게 만드는 기술 혁신
공유 경제라는 새로운 소비 형태
누구나 창업하고 누구나 투자한다
데이터가 지배하는 세상이 왔다
고립되어 소멸할 것인가 개방하여 생존할 것인가
대체 불가능한 직원은 없다
제2장 미래, 어떤 세상이 펼쳐질까
새로운 권력, 뉴파워의 등장
열린 네트워크의 힘
소셜 네트워크가 이끄는 조직 없는 조직화
한계비용과 거래 비용의 제로화
소유에서 공유로, 소비에서 경험으로
공유 가치의 생태계
4차 산업혁명에 대처하는 두 가지 시나리오
돈이 되는 데이터, 진짜 주인은 누구?
알고리즘 세상은 유토피아인가, 디스토피아인가
그들만의 성역으로 더욱 짙어지는 빛과 그림자
사람이 사라진 조직
혁신에 저항하는 사람들
제3장 조직의 미래 전략, 커넥트 파워
공생할 것인가, 공멸할 것인가
공유 경제의 두 얼굴
데이터의 사회화 VS. 데이터의 시장화
조직 자체가 플랫폼화 된다면?
유틸리티화가 가져올 조직의 미래
초연결 시대, 인간의 일
사회적 가치로 결정되는 기업의 품격
미래를 좌우할 가장 강력한 변수
진정한 사회 혁신은 시민의 힘에 기초한다
나오며 | 케넥트 파워로 혁신을 주도하라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오늘날 많은 국가들이 기술혁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대부분 경제성장과 업무 효율화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만 주목할 뿐이다. (…) 변화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좋지만 무조건적인 낙관론은 경계해야 한다. 어떤 변화든 기회와 위기를 동시에 가져온다. 더군다나 혁신이라는 수식어를 붙일 만큼의 매우 큰 변화는 큰 기회 못지않게 치명적인 위기를 품고 있을 수 있다.
한국의 강원도에서 제작되던 구식의 호미가 아마존에서 진귀한 상품으로 대박 난 것처럼 온라이프화는 개성적인 것의 수요를 창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그런가 하면 한류 아이돌 방탄소년단이 전지구적 인기를 얻는 데서 보듯 문화적 혼성과 열린 개방성, 열정적 팬덤이 합류하여 새로운 공감 문화를 창조하는 역동성을 보이기도 한다. 이처럼 온라이프화는 초연결성을 일상화함으로써 사람들을 훨씬 더 개성 넘치게 해 주고, 동시에 타인과 연대하고 협동하는 존재로 만들었다.
흐름이 없는 단절적인 기술 변화에는 예측과 대비를 통한 대응 방식이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하다. 예측이 힘드니 대비 역시 힘을 잃는다. 결국 급격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은 다양한 대안을 탐색할 수 있도록 개방성과 유연함을 높일 때 성공할 가능성이 커진다. 그로 인해 등장할 기업 구조는 한편으로 과학자들의 연구실을 닮을 수도, 첨단 기술에 기반한 스타트업 기업을 닮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