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화폐/금융/재정
· ISBN : 9788952216540
· 쪽수 : 736쪽
· 출판일 : 2011-12-0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제1장 금본위제와 영국의 국제금융패권
I. 금본위제의 형성 배경
1. 영국의 금본위제(Gold Standard)
2. 금본위제와 국제통화체제: 제도의 국제적 확산
II. 금본위제와 국제경제의 운영
1. 금본위제의 작동 원리
2. 금본위제의 실제 운영 상황
3. 금본위제의 성과
제2장 금본위제와 세계화(Globalization)
I. 세계화의 진전과 시장의 통합
1. 상품시장의 통합
2. 노동시장의 통합
II. 국제금융의 발전과 자본시장의 통합
1. 신용창출, 금융의 발전, 그리고 산업과 중앙은행
2. 국제금융의 팽창과 자본의 세계화
III. 19세기 세계화의 현대적 평가
1. 상품시장 세계화의 경우
2. 금융 및 노동시장 세계화의 경우
3. 세계화에 대한 총평
제3장 금환본위제와 경제패권의 전이
I. 금본위제의 붕괴와 혼돈
1. 힘의 전이
2. 영국의 보호주의 움직임
3. 전쟁의 충격
II. 금환본위제의 등장과 실패
1. 금본위제의 부분적 복원과 금환본위제
2. 새로운 제도의 실패
3. 미국의 고립주의, 세계경제 불균형 그리고 대공황
제4장 브레턴우즈 체제와 새로운 통화패권의 시험
I. 역사의 교훈
II. 브레턴우즈 체제의 기본 구도
1. 케인즈(Keynes)와 화이트(White)
2. 국제정치경제적 해석: 이데올로기의 공유 혹은 파워 게임
III. 국제통화기금(IMF)의 작동 원리
1. IMF의 기본 성격: 금과 달러의 역할
2. 환율과 국제유동성
IV. 브레턴우즈 체제의 붕괴
1. 국제유동성과 체제의 결함
2. 트리핀의 논쟁과 극복책의 강구
3. 특별인출권(SDR): 국제통화로서의 한계
4. 체제의 붕괴 과정
5. 파워 게임: 경제와 정치 논리의 충돌
제5장 포스트 브레턴우즈 체제, 국제금융, 그리고 미국의 통화금융패권
I. 균형의 모색
1. 환율의 재조정과 환율제도 변화의 불가피성
2. IMF의 개혁과 SDR의 활성화 노력
3. 이상의 포기와 현실의 수용
II. 기축통화의 위상
1. 체제의 재조명: 구조적 결함, 각국의 이해, 그리고 파워
2. 달러 패권의 안착 배경과 요인
III. 전후 국제금융, 국제통화체제, 그리고 통화패권
1. 영국의 사례와 초기 브레턴우즈 체제
2. 유로달러(Eurodollar)와 국제금융패권
제6장 세계경제 불균형(Global Imbalances)과 금융위기
I. 세계경제 불균형의 실체와 배경
II. 중국의 등장과 새로운 세계경제 불균형
1. 등장의 배경과 영향
2. 중국과 미국경제의 상호의존구도
III. 자금의 국제적 순환구도와 세계 금융위기
1. 미국의 적자구조와 자금 순환 메커니즘
2. 불균형과 금융위기
3. 금융위기의 국제정치경제적 이해
IV. 중국의 도전과 새로운 파워게임
인용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국제통화의 자연 발생적인 특징을 강조한 구절:
“신용, 즉 통화는 스스로 성장한 것이지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권력이 아니다(Walter Bagehot).”
국제통화금융체제에 권력이 분포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분석:
“금융구조에는 두 가지의 서로 뗄 수 없는 요소가 존재한다. 하나는 그것을 통해 신용이 창출되는 정치경제구조이고, 다른 하나는 신용에 표시된 통화들의 상대적인 가치를 결정하는 통화체제다. 여기서 신용창출 권력은 정부와 은행이 소유하게 되고, 서로 다른 통화 사이의 환율은 정부의 정책과 시장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금융구조는 신용의 이용 가능성을 통제하는 모든 수단과 환율을 결정하는 모든 조건의 총합으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Susan Strange).”
국제통화금융체제가 변화되는 과정에 대한 분석:
“체제는 당국이나, 학자 혹은 IMF가 주장하는 방향으로 긍정적인 행위를 통해 변하지 않는다. 대신 체제는 많은 경우 주요 사건들이 창출하는 압력하에서 스스로를 변화시킨다(Tom de V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