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래 주거의 대안

미래 주거의 대안

(세계의 저탄소 녹색주거를 찾아서)

김세용, 이재준 (지은이)
살림
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820원 -10% 2,500원
490원
10,8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래 주거의 대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래 주거의 대안 (세계의 저탄소 녹색주거를 찾아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52217523
· 쪽수 : 96쪽
· 출판일 : 2012-03-23

책 소개

살림지식총서 406권. <미래 주거의 대안>을 통해 녹색도시의 원리를 이해하고, 우리 주거방식 개선의 대안점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저탄소 녹색도시’ 혁명이 실현된 우리 미래의 주거 상황을 미리 예측해 볼 수 있다.

목차

새로운 녹색주거 패러다임
에너지 효율적인 단지구조
보행과 자전거,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
녹지가 함께 어우러진 생태주거단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물과 바람의 순환
녹색 에너지의 활용과 자원 순환
에너지를 절약하는 건축물과 녹색생활
녹색주거의 미래

저자소개

김세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서울시 균형발전촉진지구 마스터 건축가, 서울시 도시계획위원 국가건축정책위원, 한국도시설계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최근 서울주택도시공사 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재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시공학박사. 성균관대학교, 서울대학교에서 수학했다. 20년간 협성대학교, 아주대학교, 성균관대학교에서 학자로서 명성을 쌓았으며 경실련 도시개혁센터 정책위원장, 녹색환경연구소 소장으로서 시민운동에 참여했다. 그 후 수원시 제2부시장을 맡아 ‘시민참여 도시개혁’이란 패러다임의 변화를 선도하며 국토해양부 경관 대상, 유엔 해비타트 지속가능한 도시대상(2014) 등을 수상해 행정가로서의 실력을 검증받았다. 2016년 민주당 수원시갑(장안) 지역위원장을 맡았다. 2017년에는 문재인 후보 캠프 경기도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아 대선 승리를 이끌었다. 아울러 2018년, 2019년 수원시갑이 경기도당과 중앙당에서 3관왕을 수여받는 등 사고 지역위를 최고의 지역위원회로 일으키는 성과를 내며 정치적 존재감을 과시했다. 2020년 현재는 더불어민주당 경제 싱크탱크인 ‘국가경제자문회의’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그는 역대 민주당 정부에서 도시·환경 전문가로서 대통령의 정책설계사 역할을 해왔다. 김대중 정부 시절에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정에 참여했고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추진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인수위 격인 ‘국정기획 자문위원회’ 전문위원을 거쳐 현재 대통령 직속기구인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이외에도 현재 한국토지주택공사(LH) 이사를 역임 중이며 서울 마곡지구 및 국내 최초의 스마트 도시 수출 사업인 쿠웨이트 압둘라 신도시의 총괄계획가(MP)를 맡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위기는 최근 ‘저탄소’와 ‘녹색’에 대한 관심과 열망으로 대변된다. 1992년 브라질 리우회의에서의 기후변화협약(UNFCCC) 채택을 시작으로, 1997년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 채택, 2007년 발리로드맵(Bali Roadmap), 2009년 코펜하겐 협정(Copenhagen Accord) 등의 국제회의를 통해 탄소저감을 위한 전 세계 국가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선진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새로운 국가 성장 전략으로 다양한 녹색산업과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 저탄소 녹색성장을 내세우고 있다. 그동안 경제발전 논리에 의해 어느 정도의 환경문제는 감수해도 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나 최근에는 기후변화와 녹색성장이 생존의 문제로 확대되기 시작한 것이다.


아랍에미리트(UAE)의 수도 아부다비(Abudabi) 외곽에 새롭게 조성되는 마스다르 시티(Masdar City)는 탄소(Carbon)가 전혀 배출되지 않는 ‘탄소제로(Carbon Zero)’ 도시의 꿈을 실현하고 있다. 2016년까지 220억 달러를 투입하여 조성될 예정인 마스다르 시티가 탄소제로 도시를 실현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내세우는 이미지는 ‘차 없는 도시(The Car Free City)’이다. 마스다르 시티에서는 차량이 전혀 다닐 수 없다. 다만 화재와 재난 등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비상시에는 소방차와 같은 차량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곳에서 살게 될 주민들과 일하게 되는 근로자들은 자전거와 세그웨이 등의 개인 이동수단만을 이용할 수 있다.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가 들어오지 못하는 대신 PRT(Personal Rapid Transport)와 LRT(Light Rail Transit)를 체계적으로 도입해 사람들을 이동시키려 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IPCC의 4차 평가보고서에 의하면 주거건물이나 상업건물 등 건물 부문에서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 잠재량이 2020년까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발생량(BAU)의 약 30퍼센트를 차지할 것이라고 한다. 건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일은 신재생에너지를 도입하는 등의 다른 방법보다 비용이 저렴할 뿐 아니라 비용대비 효과도 가장 뛰어나다. 이로 인해 선진 국가들을 비롯한 전 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새로운 건물을 에너지 절약적인 건물로 조성하거나 기존 건물을 에너지 절약적인 건물로 보수하여 건물에서의 에너지 효율 제고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