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국제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52219534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2-08-31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21세기 핵심 과제, 문화 공존
제1장 정보와 소통의 차이
정보 과잉
문화 충돌
정치와 문화의 보복
현대사회의 양면, 개방성과 정체성
문화적 다양성 추구
문화가 가진 의미
수신자의 지위와 역할
제안들
제2장 정체성-문화-소통, 21세기의 위험한 삼각관계
이곳의 문화, 저곳의 문화
세계주의자들의 환상
정치의 귀환
중심 개념, 집단적 문화 정체성
폭발성의 삼각관계
제안들
제3장 문화 공존, 또 다른 세계화
왜 문화 공존인가?
정치적 목적
위험들
문화 공존? 문명의 충돌?
정부, 공존, 국제 공동체
제안들
제4장 유럽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문화 간 대화의 시험장
유럽 관료주의의 위험들
포퓰리즘의 유혹
유럽의 역사적 관계
서구주의와 보편주의
제안들 : 네 가지 선결 과제
제5장 한국, 또 다른 세계화를 위한 기회인가?
왜 한국은 여전히 미지의 나라로 남아 있는가?
문화로 소통할 것인가? 기술로 소통할 것인가?
한국, 과연 소통하는가?
한국과 다언어주의
제안들 : 한국이 취해야 할 소통 전략
제6장 또 다른 세계화, 현실 문제의 시험장
생태 다양성과 문화 다양성
문화 다양성과 국제적 균형
아랍의 봄, 불통의 증거
불통과 민족주의
불통과 문화 산업
기술 이데올로기와 아랍의 봄
다르게 소통하기
결론
리뷰
책속에서
세상과 우리를 더 가깝고 친근하게 만들 것이라 여겼던 세계화의 기술적 양상은 오히려 사람들에게 타자와의 차이를 분명하게 인식시켰다.
오랫동안 소통의 장애물로 여겨진 정체성은 오늘날 정반대로 소통의 필수 조건이 되고 있다. 모든 것이 일방적으로 개방된 세상, 그리고 토대를 상실한 세상에서 정체성이 유일하고 필수적인 지표가 되었기 때문이다.
세계화가 진척될수록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이 더 필수불가결한 존재가 되리라는 것을 우리는 언제 깨닫게 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