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국제난민 이야기

국제난민 이야기

(동유럽 난민을 중심으로)

김철민 (지은이)
살림
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820원 -10% 2,500원
490원
10,8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1,7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4,800원 -10% 240원 4,080원 >

책 이미지

국제난민 이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제난민 이야기 (동유럽 난민을 중심으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88952222312
· 쪽수 : 96쪽
· 출판일 : 2012-11-28

책 소개

살림 지식총서 443권.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연방 붕괴와 보스니아 내전, 코소보 전쟁 등으로 발생한 동유럽 난민 문제의 전개 과정, 그리고 국제사회의 대응 등을 다루고 있다. 내부 재정위기와 일자리 부족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목차

들어가며
동유럽 난민 문제의 발생 배경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법적 정당성과 적용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대응과 전략
시사점과 의미

저자소개

김철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유고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동구지역학과에서 동유럽국제정치로 석사 학위를,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국립대학교 동유럽역사학과에서 동유럽국제관계사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지금은 한국외국어대학교 국가전략언어대학 세르비아크로아티아과 교수로 있습니다. 〈벌거벗은 세계사〉 ‘유고 내전’ 편에 출연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현재 마케도니아에 거주하는 마케도니아인들은 6세기를 전후해 이곳에 정착한 슬라브계 마케도니아인으로, 고대 그리스어와 그리스 문화를 받아들인 알렉산더 대왕 시절의 마케도니아인들과 전혀 관련이 없다. 하지만 고대 마케도니아의 정통성을 계승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내보이고 있는 현 마케도니아 정부는 국가 수립 초기부터 국명을 비롯한 여러 역사적 상징물 사용에 있어 그리스와 갈등을 빚어왔고, 1994년에는 군사적 대치 상태에까지 이르기도 했다. 이후 미국과 유럽 각 국가들이 마케도니아 문제에 개입했고, 1995년 9월 마침내 양국은 국명을 ‘구(舊)유고의 마케도니아 공화국(FYROM: 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으로 하라는 1993년 UN 중재안을 받아들이는 데 합의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이를 둘러싼 양국 간의 논쟁과 분쟁은 지속되고 있다.


20세기 말에 들어와 UNHCR의 임무는 과거 단순한 형태의 난민 규정과 구호에서 벗어나, 다양한 이유로 발생한 이들 실향민에 대한 물질적?경제적 제공은 물론 본국에 돌아간 난민 귀환자의 원조와 보호까지 포함하게 됨으로써 보다 포괄적 범위로 확대되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책의 주요 사례인 보스니아와 이후 코소보, 마케도니아에서 발생한 대규모 난민 문제의 경우처럼 UN의 요청과 결의에 따라 UNHCR은 국경선을 넘지 않았지만 국내에서 난민과 유사한 상황에 처하게 된(in a refugee-like situation) 국내실향민(internally displaced people)의 특정 집단을 보호하고, 이들을 경제?사회적으로 원조하는 임무까지 그 범위를 확대했으며, 현재 이러한 임무의 폭 또한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라 하겠다.


1999년 3월 일어난 코소보 전쟁을 통해 약 120여 만 명의 추가 난민이 발생한 후, 아무 대책 없이 이들이 유럽 내로 유입될 기세를 보이자 EU 내에선 난민임시보호 정책에 관한 논의가 다시 재개된다. 이후 유럽 국가들은 1999년 ‘템페레(Tampere) 회의’를 통해 난민보호 정책을 보다 구체화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1999년 10월 핀란드 템페레에서 열린 유럽정상회의에서는 EU 공동 차원의 망명 및 이민 정책을 수립할 것 등이 결의되었고, 이를 통해 2003년 유럽 내 난민들의 신원 파악을 위한 공동 정보 체계를 구축할 목적으로 ‘유럽난민정보센터(Eurodac)’가 설립되었다. 이어 난민 신청 조사를 책임질 국가 결정 및 절차를 제정하기 위한 ‘더블린 1차 조약(1990)’과 ‘2차 조약(2003)’이 제정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222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