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8243401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5-09-0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나와 도시 그리고 사회학 - 밀즈의 사회학적 상상력
일상에서 도시 보기
도시의 연극이 끝나는 우리집 - 고프먼의 연극학적 사회학
아파트와 연결된 도시의 이웃들 - 그래노베터의 약한 연결의 힘
이동하는 도시와 도시인들 - 어리의 모빌리티
도시 일상의 국룰 - 가핑클의 에스노메소돌로지
아이들이 쑥쑥 자라는 도시 - 미드의 자아 형성 이론
인스타그래머블 시티 - 베블런의 유한계급론
프랜차이즈 도시 - 리처의 맥도날드화
학군지와 교육 상속자들 -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빛나는 도시의 피곤한 노동자들 - 마르크스의 소외론
사회에서 도시 보기
도시란 무엇인가 - 워스의 도시성
부동산 최고의 입지를 찾아서- 파크와 버지스의 도시생태학
대도시에서 살아남기 - 짐멜의 대도시와 정신적 삶
신도시의 탄생 - 르페브르의 공간의 생산
‘진짜’ 도시는 존재하는가 -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88올림픽과 도시 개발 - 그람시의 헤게모니
강남 초대형 교회의 탄생 - 로건과 몰로치의 성장기제론
도시계획의 두 시선 - 베버와 하버마스의 합리성
도시 인프라와 사회 운동 - 카스텔의 집합소비론
세상에서 도시 보기
도시에서 자살 vs 살자 - 뒤르켐의 자살론
범죄도시와 짓밟힌 꿈 - 머튼의 범죄사회학
갈등의 도시와 집회 - 코저의 갈등기능주의
도시의 빅브라더 CCTV - 푸코의 감시와 처벌
스마트시티와 도시인 - 마르쿠제의 일차원적 인간
세계화와 세계도시 -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론
세계도시와 중산층의 행방불명 - 사센의 세계도시론
위험한 도시 - 벡의 위험 사회
유동하는 시대와 불안한 도시 - 바우만의 액체 근대
우리를 만드는 도시와 우리가 만드는 도시 - 기든스의 구조화 이론
에필로그
도시로의 초대 - 버거의 사회학으로의 초대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런데 이렇게 익숙한 도시의 삶은 정말 ‘당연’한 것일까? 낮이 가면 밤이 오고, 밤이 가면 낮이 오는 하루에도 지구의 자전이라는 원리가 숨어 있듯,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의 삶에도 우리가 눈치 채지 못한 뭔가가 있지 않을까? 사회학은 맨눈으로 볼 수 없는 일상 이면의 숨겨진 구조와 원리를 관찰할 수 있는 렌즈를 제공한다. 사회학의 렌즈로 도시를 바라보면 당연했던 도시의 삶이 특별한 도시의 삶으로 바뀔 것이다.
1960년대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도시지역의 인구 비율은 대략 40%를 밑도는 수준이었다. 그런데 한 세기도 지나지 않은 지금 우리나라 도시지역의 인구 비율은 92%에 육박한다. 길거리에서 아무나 붙잡고 "어디 사세요"라고 물어보면 10명 중 9명은 도시에 산다는 것이다. 도시는 이제 우리에게는 일상의 공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