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고전 이야기

중국 고전 이야기

문승용 (지은이)
살림
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820원 -10% 2,500원
490원
10,8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2,4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4,800원 -10% 240원 4,080원 >

책 이미지

중국 고전 이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고전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52229045
· 쪽수 : 120쪽
· 출판일 : 2014-07-31

책 소개

살림 지식총서 491권. 춘추전국 시대라는 전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학술과 사상의 자유를 구가하며 나타난 여러 사상가들의 온갖 학술 사상인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사상 가운데에서 유가(儒家), 도가(道家), 묵가(墨家) 및 법가(法家)와 같은 사상서 방면의 고전들을 엄선하였다.

목차

들어가며
논어(論語), 공자의 말씀
주역(周易), 해가 뜨고 달이 지듯이
맹자(孟子), 왕다운 정치를 위하여
도덕경(道德經), 하늘의 길과 사람이 갈 길
장자(莊子), 절대자유를 찾아서
묵자(墨子), 모두 다 사랑하라
순자(荀子), 인간을 말하다
명가(名家), 이름을 탐구하다
관자(管子), 먹고 입을 것이 풍족해야
한비자(韓非子), 오로지 법대로

저자소개

문승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했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건안풍골론의 형성과 발전 연구〉 논문으로 중문학과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고전번역교육원을 수료했고,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연수 과정을 수료했다. 한국외국어대, 한신대, 평택대에서 강사로 지내고 있다. 저서 및 역서로는 《건안문학론 연구(建安文學論硏究)》(도서출판 다운샘, 2004), 《중국고전의 이해》(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4), 《인간적인 1분 문법책 중국어》(김영사, 2005), 《중국어 급 표현백서》(김영사, 2007), 《장자》(공역 : 한국외대 출판부, 2008), 《유가사상과 현대사회》(한국학술정보, 2009), 《中國語のクッキ-タイム》(편저 : 일본 아사히출판사, 2009) 등이 있다. 발표 논문으로는 〈유협(劉?)의 건안문학론(建安文學論)〉, 〈왕찬(王粲)의 문수질리(文秀質羸)·기질위체고(氣質爲體考)〉, 〈조비(曹丕) 문기론(文氣論) 연변(演變) 고(考)〉, 〈문심조룡(文心雕龍)의 조식(曹植) 평에 관한 고찰〉, 〈육조(六朝) 문론(文論)에 나타난 감응론(感應論)의 양상 고찰〉, 〈건안칠자(建安七子) 시(詩)에 나타난 변화(變化) 양상(樣相) 고(考)〉, 〈종영(鍾嶸) 시품(詩品)에 나타난 건안칠자(建安七子) 시평(詩評) 고(考)〉, 〈육조(六朝) 문론(文論)에 나타난 풍(風) 개념 고찰〉, 〈회사후소(繪事後素) 고(考)〉, 〈이규보(李奎報) 의기론(意氣論)의 조비(曹丕) 문기론(文氣論) 수용 양상 고찰〉, 〈남조(南朝) 문론(文論)에 나타난 비흥(比興) 수사법 연변(演變) 고(考)〉, 〈공자(孔子)의 시예악론(詩禮樂論)〉, 〈문부(文賦)에 나타난 구상[意], 대상[物], 표현[文]의 상관관계 고찰〉, 〈선진(先秦) 유가(儒家)의 말하기와 글쓰기 그리고 ‘天’ 개념의 상관관계 고찰〉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공자 사상의 핵심은 인(仁)과 예(禮)이다. 인이란 부모에 대한 효도(孝道)와 형제에 대한 우애를 중심으로 이웃들에게까지 사랑을 두루 미친다는 뜻이고, 예란 인간사회에서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두루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한 사회규범이라고 할 수 있다.
인(仁)은 ‘사람[?]이 둘[二]’이라는 뜻으로 매우 단순하다. 흔히 사람이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에 서로 의지하며 사는 존재라는 뜻에서 ‘사람 인(人)’자가 작대기 두 개를 서로 기대어 놓은 형상이라고 풀이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때 ‘사람 인(?)’자의 원래 모습은 사람이 팔을 오므리고 서 있는 모양을 곁에서 보고 그린 상형문자이며, ‘두 이(二)’자와 합한 인(仁)자는 두 사람이 서로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하는가를 규정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맹자는 군자삼락(君子三樂), 즉 군자가 된 이의 세 가지 즐거움을 자주 말하였다. 세 가지 즐거움이란, 부모님이 모두 살아 계시고, 형제들이 아무 탈이 없는 것이 첫째 즐거움이고,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럽지 않고 세상 사람들에게도 역시 부끄럽지 않은 것이 둘째 즐거움이고, 세상의 인재를 거두어서 잘 가르치는 것이 셋째 즐거움이라고 하였다.
물론 맹자가 실제로 갈망하였던 것은 현실정치에 참여해서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맹자가 다만 부모형제가 별 탈 없이 편안하고, 교육사업에 열중하는 것이 자신의 꿈인 것처럼 말한 이유도 어린 시절부터 단란한 가정을 꾸며 보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장자』의 첫째 편인 「소요유(逍遙遊)」는 장자 사상을 이해하는 실마리라고 할 수 있다. 소요는 본디 ‘어슬렁 걷는다’는 뜻으로 장자는 이것을 통해서 세상의 모든 제한을 초월한 완전한 자유로움을 누리고자 하였다. 그 이야기는 대체로 다음과 같다.
북쪽 바다에 곤(鯤)이라는 물고기가 있었는데, 그것은 크기가 몇 천 리나 되는지 알 수가 없다고 한다. 어느 날 이 물고기가 문득 변해서 붕(鵬)이라는 새가 되었다. 붕의 등 넓이가 몇 천 리나 되는데, 붕이 힘차게 날갯짓을 하며 날면 그 날개는 하늘을 가득 덮은 구름과 같고, 붕이 바다 기운을 타고 남쪽 바다로 날아가는데, 한 번 날갯짓에 9만 리를 난다. 붕은 이렇게 6개월 동안 날다가 잠깐 쉬었다가 다시 날아간다고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2229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