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회적 뇌 인류 성공의 비밀

사회적 뇌 인류 성공의 비밀

매튜 D. 리버먼 (지은이), 최호영 (옮긴이)
시공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2개 8,28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회적 뇌 인류 성공의 비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회적 뇌 인류 성공의 비밀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뇌과학 > 뇌과학 일반
· ISBN : 9788952772459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15-01-20

책 소개

저자는 우리 인간의 뇌는 생각을 위해서만 설계된 것이 아니라, ‘사회적 연결’을 위해서도 설계되었다고 주장한다. 다른 사람들과 접촉하고 연결되고자 하는 욕구는 삶의 모든 측면에서 우리의 행동을 좌우하는 가장 기본적인 힘들 가운데 하나라는 것이다.

저자소개

매튜 D. 리버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ersity에서 공부한 뒤,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에서 심리학 · 정신의학 · 생물행동과학과 교수로 있다. 학술지 <사회적 인지 및 정서 신경과학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을 창간해 편집 주간을 맡고 있다. 2007년 미국심리학회가 수여하는 ‘신진학자 우수과학업적상Distinguished Scientific Award for an Early Career Contribution to Psychology’을 수상했으며, 사회신경과학social neuroscience 분야의 가장 권위 있는 연구자 중의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다.
펼치기
최호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베를린 자유대학교에서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며 다수의 책을 번역했다. 옮긴 책으로 《불안에 관하여》 《클리어 씽킹》 《클루지》 《우리는 모든 것의 주인이기를 원한다》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사회심리학자 스티브 페인Steve Fein은 이 토론회(1984년 10월 21일에 있었던, 레이건과 먼데일의 두 번째 텔레비전 대통령 후보 토론회)를 보지 않은 사람들에게 두 가지 방식으로 녹화방송을 보여주었다. 몇몇 사람들은 토론 과정을 텔레비전 생중계 때와 똑같은 방식으로 시청한 반면에, 다른 사람들은 청중의 반응을 들을 수 없는 상태에서 토론 과정을 시청했다. 이 두 경우에 사람들은 모두 레이건이 똑같은 재담을 늘어놓는 장면을 보았다. 청중의 웃음소리를 들은 사람들은 레이건이 먼데일보다 토론을 더 잘했다고 평가한 반면에, 청중의 웃음소리를 듣지 못한 사람들은 아주 다른 평가를 내놓았다. 즉 그들은 부통령 먼데일이 확실한 승리를 거두었다고 평가했다. 이렇게 볼 때 미국인들이 레이건이 익살맞다고 생각한 것은 그가 정말 익살맞기 때문이 아니었다. 청중 속의 몇몇 낯선 사람들이 그가 익살맞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결국 미국인들은 별 의도 없이 생성된 ‘사회적 단서social cue’의 영향을 크게 받은 셈이었다. - 1장 우리는 누구인가


신체적 고통 연구에서 고통의 괴로움을 더 많이 경험한 사람들은 배측 전대상피질의 활동이 더 활발했다. 마찬가지로 사회적 고통연구에서도 사회적 거부의 형태로 사회적 괴로움을 더 많이 경험한 사람들은 배측 전대상피질의 활동이 더 활발했다. 그런가 하면 신체적 고통 연구에서 우반구 복외측 전전두피질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VLPFC이 활성화되었던 사람들은 신체적 고통을 덜 경험했다. 마찬가지로 사회적 고통 연구에서 우반구의 복외측 전전두피질이 활성화되었던 사람들은 사회적 고통을 덜 경험했다. 끝으로 두 연구 모두에서 전전두 영역이 더 활성화되었던 사람들은 배측 전대상피질이 덜 활성화되었다. 이 두 연구가 말하는 바는 같다. 즉 우리가 고통을 더 많이 경험할수록 배측 전대상피질의 활동은 증가한다는 것이다. (…) 만약 어느 것이 신체적 고통에 대한 데이터이고 어느 것이 사회적 고통에 대한 데이터인지를 모르는 상태에서 컴퓨터 화면만 본다면 그 차이를 말하길 어려울 정도로 두 데이터는 비슷했다. (…) 신체적 고통이든 사회적 고통이든 모든 고통체계가 하는 일은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바로 우리의 어떤 근본적인 욕구가 위험에 직면했을 때 그것을 우리에게 알려주는 일이다. - 3장 마음의 고통과 몸의 고통


공정함은 우리 인간이 사회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많은 단서들 가운데 하나이다. 공정한 대우란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존중함을 의미하며, 나아가 장래에 서로 나눌 자원이 생기면 우리의 몫을 공정하게 챙길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공정함은 우리가 사회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꽤 추상적인 단서인데, 우리 뇌의 보상체계가 이런 단서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우리의 뇌에서 초콜릿의 달콤한 맛이나 그 밖의 신체적 쾌락과 관련이 있는 부위들은, 공정한 대우를 받는 것에 대해서도 똑같이 반응한다. 다시 말해 우리에게 공정함은 초콜릿처럼 달콤하게 느껴지는 셈이다. - 4장 공정함과 사회적 보상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