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기타 세계문학론
· ISBN : 9788953439436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08-10-31
목차
책머리에
Ⅰ 서론
1. 문제 제기
2. 논문의 구성 및 연구방법
Ⅱ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고찰
1. 헤테로토피아의 정의
2. 보르헤스 헤테로토피아의 등장 배경
1) 혼돈의 시대, 20세기
2) 인간 보르헤스
3. 보르헤스 헤테로토피아의 특징
Ⅲ 헤테로토피아의 심층적 측면
1. 코스모스적 우주관 vs 우주인식의 혼재향
1) 범신론적 관점: '월트 휘트만에 대한 소고'를 중심으로
2) 불교적 관점: '어느 전설의 형상들'을 중심으로
3) 그노시즘적 관점: '가짜 바실리데스에 대한 변론'과 '위장한 염색업자 하킴 데 메르브'를 중심으로
4) 카발라적 관점: '카발라에 대한 변론'과 '신의 글'을 중심으로
5) 쇼펜하우어적 관점: '따데오 이시드로 끄루스의 전기(1829-1874)'를 중심으로
2. 자기 동일적 자아 개념 vs 자아 인식의 혼재향 129
1) 꿈꾼 자와 꿈꾸어진 자(꿈꾼 자는 또 다른 꿈꾸어진 자라는 혼재적 자아 개념): '원형의 폐허'를 중심으로
2) 개별자와 보편자(개별자는 보편자의 반복이라는 혼재적 자아 개념): '전사와 포로에 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3) 자아와 타자(자아는 타자와 동일인이라는 혼재적 자아 개념): '신학자들'을 중심으로
3. 선형적 시간관 vs 시간의 혼재향
1) 허구라는 시간의 속성: '시간에 대한 새로운 반론'을 중심으로
2) 순환하는 시간-'배신자와 영웅에 관한 논고'를 중심으로
3) 역행하는 시간-'카프카와 그의 선구자들'을 중심으로
4) 갈라지는 시간-'끝없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길들이 있는 정원'과 '허버트 퀘인의 작품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Ⅳ 헤테로토피아의 표층적 측면: 언어의 한계를 넘어서 새로운 글쓰기로 1
1. 무한한 상징의 언어: '기억의 천재 푸네스'를 중심으로
2. 관념의 언어: '틀뢴, 우크바르, 오르비스 테르티우스'를 중심으로
3. 승화된 언어: '존 윌킨스의 분석적 언어'를 중심으로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