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54102445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04-09-15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정이형은 누구인가?
1장 식민지시대 만주지역의 민족운동가 정이형
1. 서언
2. 1897년 평안북도 지주집안에서의 출생과 민족의식의 형성
1) 출생
2) 독립운동가 김평식으로부터 유학공부와 계삼중학교 졸업
3) 형 정원익으로부터 민족의식 형성
4) 정원익의 손자 정기엽
3. 전라도 장성에서의 구국활동
1) 부인의 죽음과 장성에서의 3.1운동 참여
2) 새로운 반려자 강탄탄
3) 장성에서의 교육계몽운동
4. 만주로의 망명
1) 만주로의 망명
2) 오동진, 대한통의부 본부
3) 전덕원등에 의한 김창의 사살사건
4) 대한통의부 군사활동과 다물당 참여
5. 정의부에서의 무장활동과 군민대표회 참가
1) 정의부에서의 무장활동
2) 군민대표회 참가
6. 고려혁명당의 조직과 활동
1) 새로운 방법론과 새로운 이념의 지향
2) 최동희와의 만남과 고려혁명당의 조직준비 전개
3) 고려혁명당의 조직과정
4) 고려혁명당에서의 활동과 세포조직을 위한 노력
5) 정이형 등의 체포와 고려혁명당의 와해
7. 투옥생활과 옥중 편지
1) 강탄탄의 남편 정이형과의 면회와 편지내왕
2) 딸 정문경의 부친과의 면회
3) 정이형이 딸, 종손, 족형에게 보낸 편지
결어
2장 해방 이후 해방후 정이형의 좌우합작운동과 친일파 척결운동
1. 8.15출옥혁명동지회 결성: 중도파 민족주의자
1) 중도파 민족주의자
2) 8.15출옥혁명동지회의 결성
2. 미군정에 대한 인식
3. 친일파처리 특별법 제정추진
1) 남조선 과도입법의원 관선의원으로 선출
2) 남조선과도입법의회의 개최
3) 친일파처리 특별법의 제정위원장으로 참여
4) 친일파 처리 특별법 초안
5) 친일파처리 특별법에 관한 설명과 토의
6) 친일파법 제정 수정안에 관한 논의
4. 해방정국에서의 좌우합작운동
1) 좌우합작위원회, 민주주의독립전선, 시국대책협의회, 민주독립당에서의 활동
2) 민족자주연맹과 남북협상참여
3장 정이형 회고록과 해제
1. 정이형 회고록
1) 나의 망명 추억기
2) 차자간 고우를 만나서
3) 국내정세의 보고
4) 통의부 본부를 찾아서
5) 처음으로 독립군의 정규무장부대를 만나다.
6) 지방대표자대회를 보고
7) 전덕원 씨의 반통의부 이유와 그 사실
8) 대회 후의 통의부는 무엇을 하였는가
2. 정이형 회고록 해제
1) 서언
2) 구성과 내용
3) 사료적 가치
4) 결어
4장 증언록
나의 아버지 정이형
1) 정이형의 출생과 성장
2) 전남 장성으로의 이주와 계몽운동
3) 정이형의 체포와 평북에서의 생활
4) 정이형가족의 만주 안동에서의 생활
5) 아버지 정이형과의 면회
6) 해방과 출옥
5장 고려혁명당사건 재판기록
1. 신의주지방법원 판결문(1928년 4월 20일)
1) 판결
2) 주 문
3) 이 유
2. 평양복심법원 판결문(1928년 10월 18일)
1) 판결
2) 주 문
3) 이 유
6장 정이형이 딸, 종손, 족형에게 보낸 옥중 서신
1. 정이형이 딸 정문경에게 보낸 편지
2. 정이형이 종손 정기엽에게 보낸 편지
3. 정이형이 족형 정지강에게 보낸 편지
7장 해방 이후 정이형 관련 문헌
1. 8.15출옥혁명동지회
1) 8.15출옥동지회 경과보고
2) 8.15출옥혁명동지회 강령, 선언, 규약
3) 8.15출옥혁명동지형견!!(八一五出獄革命同志會兄見)
4) 8.15출옥혁명동지회
2. 정이형, 민족조직화운동에 대하여
3. 정이형이 하지 중장에게 보낸 편지(1947년)
1) 영문
2) 번역문
4. 하지 중장이 정이형에게 보낸 편지
1) 남조선과도입법의원 개원 통지(1946.12.7)
2. 정이형이 하지중장에게 보낸 편지에 대한 답신(1947.9.2)
5. 정이형의 이력
1) G-2보고서(1947.3.13)
2) 김종범, 김동운, '해방전후사의 조선진상'(1946)
6. 친일파 처벌법 관련
1) 남조선과도입법의원에서의 정이형의 발언록
2) 정이형이 부일협력자, 전쟁범죄자, 간상배에 대한 특별법제정 기초위원장으로서 제정한 특별법률초안
3) 특별조례 (1947.7.2)
친일청산 주역 정이형선생 옥중서신 전문
독립투사의 인간적 내면세계 담은 사료
정이형 독립운동 연보
찾아보기
정이형은 누구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