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87387473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5-08-15
책 소개
미 군정 아래 식량 부족과 이어서 닥친 콜레라 유행은 도민 건강에 막대한 위험으로 다가왔다. 의료인들의 헌신과 도민들의 노력으로 이 위기를 이겨내자마자 4·3이라는 광풍이 섬을 덮쳤다.
광기의 시대에 제주 의료인들은 어떤 생각을 하면서 어떻게 처신했을까? 제주 4·3항쟁 속에서 제주 의료인들의 고뇌와 대응을 살펴보는 것이 이 책의 목적 중 하나다. 의료인들은 한라산 무장대의 일원으로 참여하거나 남로당의 핵심으로 활동했다. 우파 단체인 대동청년단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한 의사도 보인다. 지역사회 엘리트 신분으로 해방 후 더 나은 사회 건설을 위해 노력하다 제주사회가 혼란한 상황으로 빨려 들어가면서 이를 수습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던 이들도 존재한다.
4·3 학살극이 자행되는 동안 제주 의료인들도 여느 도민들과 마찬가지로 희생되었다. 재판도 하지 않은 채 총살당하고, 제주 앞바다에 수장당하고, 총살 후 공항 터에 암매장되었다. 행방을 알지 못할 이들도 많다. 육지 형무소에서 징역을 살다가 학살되거나 출옥 후 행방이 확인되지 않는다. 일본으로 밀항하거나 육지로 피신하기도 하였다. 군대 입대하여 위험을 모면하기도 했다. 강제 결혼 당한 간호사도 보인다.
이 책은 20세기 들어 1901년 제주민중항쟁부터 일제강점기, 해방, 4·3항쟁, 한국전쟁 그리고 4·3 치유 과정까지 시간의 흐름을 따라 서술하였다. 아울러 각 시기마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항과 이에 대응하는 제주 의료계의 활동 그리고 의료인들의 희생에 대해 서술하였다. 마지막에는 제주 의료인들의 피해와 희생을 표로 정리하여 알기 쉽도록 했다.
목차
추천 글 기억되어야 할 인간의 얼굴 _ 강창일 04
추천 글 질문하고 주목한다 _ 이화영 07
들어가는 글 12
1장 일제강점기 제주사회와 의료계
일제강점기 제주사회 19 의료계 현황 31
항일독립운동과 제주 의료인들 41 일제강점기 재일제주인 ◌ 50
2장 해방 후 격동하는 제주사회와 의료계
해방 정국에서 제주사회의 대응 62 콜레라 유행과 방역 활동 70
해방 직후 의료계 현황 77 당시 의료기관과 의료인들 82
보건소와 적십자사 92
3장 1947년 3월 1일의 총성
민주주의민족전선(민전)의 결성 98 3·1 사건과 3·10 민관 총파업 101
도지사 유해진과 서북청년단의 횡포 111 유해진에 대한 특별감찰 117
1948년 3월 고문치사 사건 126
4장 1948년 4월 3일의 봉기
솟아오르는 첫 봉화 140 4·28 평화협상 141 박진경의 암살 146
송요찬과 경비사령부 설치 149 여수 순천 사건 154
포고문과 계엄령 선포 157 제주농업학교 천막수용소 160
초토화 작전 171 두 번의 군법회의(군사재판) 191 무장대의 의료 194
5장 한국전쟁 발발과 제주 민간인 학살
예비검속 202 제주도 유지사건 208 제주 주둔 군대와 군 병원 211
제주 청년의 군 입대 220 밀려드는 피난민 221 한라산 금족령의 해제 229
6장 끝나지 않은 4·3
육지 형무소에 수감된 제주인들 236 연좌제 250
디아스포라, 재일제주인 252 재일제주인들의 고향 지원 259
조작 간첩 사건, 끝나지 않은 비극 260 북으로 간 제주인들 264
7장 치유와 회복을 위한 여정
기나긴 침묵 270 시작되는 4·3 이야기 272
생존 희생자의 트라우마 치유 274 기억해야 할 가해자 278
제주 4·3과 의료계 279 4·3 기간 제주 의료인들의 희생과 피해 283
[표 13] 4·3 기간 제주 의료인들의 희생과 피해 286
여미는 글 진혼과 치유를 위하여 290
참고문헌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