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주 4·3과 의료인들

제주 4·3과 의료인들

백재중 (지은이)
건강미디어협동조합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14,400원 -10% 0원
800원
13,600원 >
14,400원 -10% 2,500원
0원
16,900원 >
11st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제주 4·3과 의료인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주 4·3과 의료인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87387473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5-08-15

책 소개

20세기 들어 1901년 제주민중항쟁부터 일제강점기, 해방, 4·3항쟁, 한국전쟁 그리고 4·3 치유 과정까지 시간의 흐름을 따라 서술하였다. 아울러 각 시기마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항과 이에 대응하는 제주 의료계의 활동 그리고 의료인들의 희생에 대해 서술하였다. 마지막에는 제주 의료인들의 피해와 희생을 표로 정리하여 알기 쉽도록 했다.
『제주 4·3과 의료인들』은 그동안 보지 못한 의료계의 시각에서 4·3을 돌아보고자 한다. 해방 후 일본 의료인들이 대거 빠져나가면서 제주에도 의료 분야에 공백이 생긴다. 의료 분야는 금방 인력을 채우기가 불가능한 전문 영역이므로 의료인 소수가 공백을 메워야 하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미 군정 아래 식량 부족과 이어서 닥친 콜레라 유행은 도민 건강에 막대한 위험으로 다가왔다. 의료인들의 헌신과 도민들의 노력으로 이 위기를 이겨내자마자 4·3이라는 광풍이 섬을 덮쳤다.
광기의 시대에 제주 의료인들은 어떤 생각을 하면서 어떻게 처신했을까? 제주 4·3항쟁 속에서 제주 의료인들의 고뇌와 대응을 살펴보는 것이 이 책의 목적 중 하나다. 의료인들은 한라산 무장대의 일원으로 참여하거나 남로당의 핵심으로 활동했다. 우파 단체인 대동청년단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한 의사도 보인다. 지역사회 엘리트 신분으로 해방 후 더 나은 사회 건설을 위해 노력하다 제주사회가 혼란한 상황으로 빨려 들어가면서 이를 수습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던 이들도 존재한다.
4·3 학살극이 자행되는 동안 제주 의료인들도 여느 도민들과 마찬가지로 희생되었다. 재판도 하지 않은 채 총살당하고, 제주 앞바다에 수장당하고, 총살 후 공항 터에 암매장되었다. 행방을 알지 못할 이들도 많다. 육지 형무소에서 징역을 살다가 학살되거나 출옥 후 행방이 확인되지 않는다. 일본으로 밀항하거나 육지로 피신하기도 하였다. 군대 입대하여 위험을 모면하기도 했다. 강제 결혼 당한 간호사도 보인다.
이 책은 20세기 들어 1901년 제주민중항쟁부터 일제강점기, 해방, 4·3항쟁, 한국전쟁 그리고 4·3 치유 과정까지 시간의 흐름을 따라 서술하였다. 아울러 각 시기마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항과 이에 대응하는 제주 의료계의 활동 그리고 의료인들의 희생에 대해 서술하였다. 마지막에는 제주 의료인들의 피해와 희생을 표로 정리하여 알기 쉽도록 했다.

목차

추천 글 기억되어야 할 인간의 얼굴 _ 강창일 04
추천 글 질문하고 주목한다 _ 이화영 07
들어가는 글 12

1장 일제강점기 제주사회와 의료계
일제강점기 제주사회 19 의료계 현황 31
항일독립운동과 제주 의료인들 41 일제강점기 재일제주인 ◌ 50

2장 해방 후 격동하는 제주사회와 의료계
해방 정국에서 제주사회의 대응 62 콜레라 유행과 방역 활동 70
해방 직후 의료계 현황 77 당시 의료기관과 의료인들 82
보건소와 적십자사 92

3장 1947년 3월 1일의 총성
민주주의민족전선(민전)의 결성 98 3·1 사건과 3·10 민관 총파업 101
도지사 유해진과 서북청년단의 횡포 111 유해진에 대한 특별감찰 117
1948년 3월 고문치사 사건 126

4장 1948년 4월 3일의 봉기
솟아오르는 첫 봉화 140 4·28 평화협상 141 박진경의 암살 146
송요찬과 경비사령부 설치 149 여수 순천 사건 154
포고문과 계엄령 선포 157 제주농업학교 천막수용소 160
초토화 작전 171 두 번의 군법회의(군사재판) 191 무장대의 의료 194

5장 한국전쟁 발발과 제주 민간인 학살
예비검속 202 제주도 유지사건 208 제주 주둔 군대와 군 병원 211
제주 청년의 군 입대 220 밀려드는 피난민 221 한라산 금족령의 해제 229
6장 끝나지 않은 4·3
육지 형무소에 수감된 제주인들 236 연좌제 250
디아스포라, 재일제주인 252 재일제주인들의 고향 지원 259
조작 간첩 사건, 끝나지 않은 비극 260 북으로 간 제주인들 264

7장 치유와 회복을 위한 여정
기나긴 침묵 270 시작되는 4·3 이야기 272
생존 희생자의 트라우마 치유 274 기억해야 할 가해자 278
제주 4·3과 의료계 279 4·3 기간 제주 의료인들의 희생과 피해 283

[표 13] 4·3 기간 제주 의료인들의 희생과 피해 286
여미는 글 진혼과 치유를 위하여 290
참고문헌 294

저자소개

백재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의사. 저서 『일본의 재택의료』 『지원주택과 의료』 『공공의료 새롭게』 『팬데믹 인권』 『여기 우리가 있다』 『자유가 치료다』 『의료협동조합을 그리다』 『삼성과 의료민영화』와 공저 『인권의학 강의』 『다른 의료는 가능하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