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교.전통.변용

유교.전통.변용

(미국의 역사 학자들이 보는 한국사의 흐름)

정두희 (지은이)
국학자료원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교.전통.변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교.전통.변용 (미국의 역사 학자들이 보는 한국사의 흐름)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54102872
· 쪽수 : 311쪽
· 출판일 : 2005-05-12

책 소개

지난 30 여년 간 미국에서 출판된 한국사 연구 단행본 15권을 주제별로 묶은 책이다. 단순한 단행본의 소개가 아니라 미국 학계의 경향이 좀 더 체계적으로 드러나도록 책 전체의 체제를 새롭게 마련하였다.

목차

머리말

미국학계의 한국사 연구 경향
- 민족주의와 내재적 발전론과 관련하여 -

조선왕조 건국의 역사적 의미와 초기 정치사의 흐름
조선초기 정치사의 새로운 해석
Edward W. Wagner,
The Literati Purges: Political Conflict in Early Yi Korea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조선의 건국을 어떻게 볼 것인가?
John B. Duncan,
The Origins of the Choson Dynasty
(Seattle and Lond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0)

조선의 건국: 유교적 문인관료사회의 출현
Edward J. Shultz,
Generals and Scholars: Military Rule in Medieval Korea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0)

성리학의 수용과정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변모시켜 나갔는가?
Martina Deuchler,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 A Study of Society and Ideolog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조선시대의 양자제와 상속제
Mark Peterson,
Korean Adoption and Inheritance: Case Studies in the Creation of a Classic Confucian Society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1996)

문화사로 본 조선후기의 새로운 역사
새롭게 발견한 조선후기 사회의 역동성과 다양성:
JaHyun Kim Haboush and Martina Deuchler ed.,
Culture and the State in Late Choson Korea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1999)

동아시아의 유교적 전통과 실학사상
반계 유형원 (磻溪 柳馨遠) 사상의 새로운 해석
James B. Palais,
Confucian Statecraft and Korean Institution: Yu Hyongwon and the Late Choson Dynasty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6)

東아시아의 지성사에서 본 정약용(丁若鏞)의 성리학 비판
Mark Setton,
CHONG YAGYONG: Korea's Challenge to Orthodox Neo-Confucianism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7)

개항과 개화
대원군의 개혁을 어떻게 볼 것인가?
James B. Palais,
Politics and Policy in Traditional Korea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5)

독립협회 활동의 현대사적 의미
Vipan Chandra,
Imperialism, Resistance, and Reform in Late Nineteenth-Century Korea: Enlightenment and the Independence Club (Berkeley, CA: The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1988)

현대 한국사회에 남긴 일제 식민지배의 유산
1920년대 문화적 민족주의 운동의 의미와 한계
Michael E. Robinson,
Cultural Nationalism in Colonial Korea, 1920-1925
(Seattle and Lond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88)

한국적 자본주의의 일제시대 기원론
Carter J. Eckert,
Offspring of Empire: The Koch'ang Kims and the Colonial Origins of Korean Capitalism, 1876-1945
(Seattle and Lond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88)

해방 후 한국 분단의 사회경제적 배경
Bruce Cummings,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Liberation and the Emergence of Separate Regimes, 1945-1947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1)

일제의 식민지배시대를 보는 또 다른 접근
일제의 토지조사사업에 대한 새로운 해석
Edwin H. Gragert
Landownership under Colonial Rule: Korea's Experience, 1900-1935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4)

해방과 해원(解寃)으로서의 역사
Hildi Kang,
Under the Black Umbrella: Voices from Colonial Korea, 1910-1945
(Ithaca &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2001)

부록: 구미 한국학 연구 논저 목록

저자소개

정두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북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거쳐 서강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1981년 방문학자visiting scholar 자격으로 하버드 옌칭연구소Harvard-Yenching Institute에 머물며 한국사의 ‘글로벌’화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1983년에는 《조선 초기 정치지배세력 연구》(1983)로 제6회 두계학술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왕조의 얼굴: 조선 왕조의 건국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2010), 《하나의 역사, 두 개의 역사학》(2001), 《조광조: 실천적 지식인의 삶,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2000), 《미국에서의 한국사 연구》(1999), 《조선시대 인물의 재발견》(1997), 《조선시대의 대간 연구》(1994) 등이 있다. 편저로는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2007), 《유교, 전통, 변용》(2005), 《장희빈: 사극의 배반》(2004), 《한국사에 있어서 중앙과 지방》(2003) 등이 있다. 역사 에세이집으로는 《내 안에 살아 숨 쉬는 역사》(2004)를 남겼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