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 ISBN : 9788958622123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07-11-27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
1.16세기 최대 전쟁, 임진왜란
1.15세기 조선의 세계 인식
2.국가사에 갇힌 전쟁 내러티브
3.임진왜란과 동아시아 세계
2.우리는 왜 임진왜란을 연구합니까?
1.개념화 문제
2.민족 개념의 형성
3.전쟁과 역사: 한국의 시각
4.임진왜란을 연구하는 이유
3.'임진왜란'과 '기생'의 기억
1.살아 있는 논개:기억의 계보
2.전쟁과 기생
1)임진왜란과 한국전쟁
2)기생에서 낭자군으로
3)유혹과 위안
3.전쟁과 사랑 이야기: 논개와 김시민
1)김시민이라는 남성: 지도자의 초상
2)논개의 짝사랑: 자발적 동원
4.순결한 몸의 영웅, 논개의 헌신: 여성 주체의 탄생
5.사랑, 순결 그리고 죽음: '충'의 완성
4.사로잡힌 조선인들
1.사로잡힌 사람들
2.조선 피로인의 본국 귀한
3.피로인 모집을 위한 도구
4.피로인의 모집 실태
5.귀환 피로인이 받는 처우
6.조선의 차가운 시선
5.화왕산성의 기억
1.역사적 지식, 역사적 사실
2.화왕산성의 수비: 사실
3.<화왕입성동고록>
4.실기와 각종 회맹록
5.역사적 기억, 사회적 기억
6.임진왜란의 기억과 민족의식 형성
1.역사에서 기억 문제
2.민족에 대한 인식과 민간전승
3.조선시대의 국가과 평민
4.외침의 영향
5.민중의 기억
7.근대 일본의 히데요시 영웅 만들기
1.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
2.메이지 유신기의 공싱, 도요토미 히데요시
3.기념제 시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4.제국과 도요토미 히데요시
5.조선 병합과 히데요시 현창
8.이순신에 대한 기억의 역사와 역사화
1.기억의 역사
2.조선왕조 시대의 이순신론
1)임진왜란 직후 논공행상 과정과 <선조실록>의 이순신론
2)<선조실록> 수정 작업과 이후의 이순신 추모사업
3)정조대 <이충무공전서>의 편찬
3.식민지 시대의 이순신론
1)신채호의 이순신전
2)1920년대의 이순신론
3)1930년대의 이순신론
4.이은상의 <국역주해 이충무공전서>와 '민족의 태양 이순신'
5.1980년대 이후의 새로운 논의들
6.이순신론과 한국인의 일본관
9.조선정벌기속의 임진왜란
1.히스토리오그라피
2.호리 교안의 <조선정벌기>
3.책 이름에 담긴 의미
4.범접하기 어려운 위엄과 권위
5.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근신
6.베이징에서 벌어진 논쟁
7.현대의 해석
10.임진왜란의 국제적 환경
1.16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
2.명대의 랴오둥
3.명의 해금
4.일본의 류큐와 타이완 경략
5.책봉-조공 체제의 파탄
6.임진왜란의 국제적 환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11.순망치한
1.만력제의 리더십
2.명나라 말기의 군사력
3.서북 변경의 반락
4.조선에 대한 명의 의무
5.입술과 이처럼 친밀한 관계
6.만력제의 공격 명령
7.선조에세 보낸 칙서
12.임진왜란과 누르하치
1.7년간 멈춘 군사력 팽장
2.누르하치의 성장
3.누르하치의 대 조선 정책
4.누르하치와 히데요시
13.고지도 속에 담긴 일본
1.지도의 상상 세계
2.교키식 일본지도
3.<해동제국기>의 일본지도
4.강항의 <왜국지도>
5.김세렴의 일본지도
6.<천하여지도>
7.윤두서의 <일본여도>
8.조선 속의 일본
미주
리뷰
책속에서
순결할 수 없는 기생에게 순결을 덧씌우고, 더러움을 씻고 국가를 헌신하기 위해 죽음을 선택하게 만드는 것은 아름다운 스토리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 속에는 국민을 나누는 다양한 위계, 곧 남성과 여성의 위계, 깨끗한 여성과 더러운 여성의 위계, 순수한 혈통과 오염된 혈통의 위계, 여염집 여성과 성매매 여성 사이의 위계를 뚜렷이 나누는 배제의 논리가 숨어 있다.-p82 중에서
...만력제는 정력적이고 과단성 있는 군주였다. 그는 히데요시의 도전을 물리쳤으며, 전략적 이유에서뿐만 아니라 조선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인적,물적 자원을 제공하였던 것이다. 결국 입술과 이는 현실적으로 분리될 수 없었던 것이다.-p353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