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빨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물학
· ISBN : 9788954653015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8-09-27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물학
· ISBN : 9788954653015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8-09-27
책 소개
이빨은 5억 년에 걸쳐 진화해왔다. 지구상의 다양한 생물의 진화를 추동한 것은 이빨의 진화와 그로 인한 섭식 효율의 증가였다. 저자는 최초의 이빨 가진 어류에서 인간에 이르기까지 이빨의 역사를 풀어내며 이빨의 구조와 기능을 탐구하고 이를 통해 진화와 과거의 식생을 들여다본다.
목차
1. 이빨은 중요하다
2. 이빨의 유형과 부위
3. 이빨이 하는 일
4. 포유류 이전의 이빨
5. 포유류 이빨의 진화 과정
6. 현생 포유류의 이빨
7. 인간 이빨의 역사
8. 끝없는 형태
참고문헌/ 역자 후기/ 도판 목록
책속에서
생물이 성장하고 생존하고 번식하려면 주위 생물을 잡아먹어 연료와 원료로 삼아야 한다. 이빨이 중요한 이유는 먹는 자와 먹히는 자 사이에서 둘을 중개하기 때문이다. 이빨은 다윈이 말한 자연의 ‘생존 경쟁’에서 최전선에 서 있다.
이빨을 구성하는 조직의 기본적 유형은 척추동물마다 다르지만, 대부분의 포유류는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 치수(齒髓)를 가지고 있다. 이빨의 주된 조직과 기본 골격은 상아질이고 치관은 법랑질 모자를 썼으며 치근은 얇은 백악질 층으로 덮여 있다. 상아질 안쪽은 비어 있어서 치관 내강(內腔)과 치근관(齒根管)을 연결하며 그 안에 치수, 신경, 혈관이 들어 있다.
고양이는 꿈틀거리는 먹잇감을 오랫동안 깊숙이 물어서 죽여야 하기에 송곳니가 더 크고 단단하지만 개는 먹잇감을 얕게 베어 상처를 입히고 그 밖의 먹이를 모으기 위해 앞니가 상대적으로 크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