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칸트
· ISBN : 9788955083866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8-08-30
목차
책 머리에 6
1장 칸트의 삶
1. ‘생각하며 걷는, 걸으며 생각하는’ 칸트 17
2. 성장과정과 수업시기 26
3. 계몽과 이성의 삶 53
2장 칸트미학의 개요와 초기저술 『미와 숭고의 감정에 관한 고찰』
1. 개요 79
1.1 반성적 판단으로서의 미적 판단 79
1.2 취미와 취미판단의 네 계기 80
1.3 숭고 87
1.4 미적 기술로서의 예술과 순수예술 87
1.5 천재 88
2. 『아름다움과 숭고의 감정에 관한 고찰』에 대하여 89
3장 칸트미학에서의 자연개념
1. 들어가는 말 105
2. 자연의 목적 110
2.1. 자연의 가능성 110
2.2. 자연의 합목적성 119
2.3. 자연의 기교技巧 125
3. 또 다른 자연으로서의 천재 129
4. 맺는 말 138
4장 숭고에 대한 이해-리오타르의 칸트 숭고미 해석
1. 들어가는 말 143
2. 칸트 미학에서의 숭고 감정의 대두 148
3. 리오타르의 칸트 이해 154
3.1 미적 반성: 숭고와 취미의 비교 154
3.2 숭고에 대한 범주적 고찰: 수학적 숭고와 역학적 숭고 159
3.3 미와 숭고에 있어서의 미학과 윤리학 167
3.4 소통의 문제 170
4. 맺는 말 176
5장 뒤샹과 칸트 미학
1. 들어가는 말 185
2. 뒤샹의 예술세계 187
3. 미적 판단과 개념의 문제 194
4. 뒤샹 이후의 칸트: 모던에 대한 포스트모던적 모색 204
5. 맺는 말 216
6장 칸트의 감성적 인식과 리더십
1. 들어가는 말 221
2. 리더십의 출발로서의 자기인식과 칸트의 물음 225
3. 칸트의 감성적 인식 231
4. 맺는 말 244
7장 칸트와 건축미학
1. 건축술과 건축미 251
2. 무관심적 만족과 건축 259
3. 미 일반이 지닌 주관적 합목적성 267
4. 자연물의 크기와 숭고의 이념 274
5. 미적 기술 278
6. 맺는 말 283
8장 일상 미학에서의 공감과 소통
1. 들어가는 말 289
2. 일상 미학의 계기로서의 공감과 소통 294
3. 취미판단의 근거로서의 공통감 303
4. 일상의 소통으로서의 공통감 308
5. 맺는 말 314
참고문헌 317
1. 국내문헌 317
2. 국외 문헌 329
찾아보기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