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e-비즈니스
· ISBN : 9788955333657
· 쪽수 : 206쪽
· 출판일 : 2011-02-28
책 소개
목차
감수의 글
머리말
1장 클라우드란 무엇인가
01. 클라우드는 IT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02. 클라우드의 무엇이 새로운 것인가
03. 클라우드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04. 클라우드는 누가 만들었을까
2장 클라우드를 뒷받침하는 기술
01. 클라우드를 뒷받침하는 2가지 기술
02. 클라우드형 소프트웨어 기술
03. 무엇이 클라우드화되는 것인가
04. 클라우드와 단말기의 관계
3장 클라우드의 업계지도
01. 개인대상에서 기업대상으로
02. 클라우드 기업에는 무엇이 요구되는가
03. 구글의 클라우드 전략
04. 아마존의 클라우드 전략
05. 세일즈포스닷컴의 클라우드 전략
06.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전략
07. 일본 기업의 클라우드 전략
08. 한국 기업의 클라우드 전략
09. 클라우드를 통해 변화하는 IT 업계의 전략
4장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법
01. 클라우드가 개인사용자에게 가져다주는 이익
02. 개인이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①
03. 개인이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②
04. 클라우드가 기업에 가져다주는 이익
05. 기업이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5장 클라우드의 미래
01. 클라우드는 어떤 리스크를 안고 있는가
02. 클라우드는 어디에서부터 확산되고 있는가
03. 어떤 비즈니스 기회가 탄생할 것인가
6장 클라우드가 일으키는 변화
01. 컴퓨터가 변화한다
02. IT 비즈니스가 변화한다
03. 기업경영이 변화한다
04. 업무방식이 변화한다
05. 사회 인프라가 변화한다
06. 지식과 인류가 변화한다
07. 클라우드 자체가 변화한다
후기
책속에서
지금까지 사용자는 OS나 애플리케이션의 셋업과 버전업에 시간을 소모해야 했고,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등이 고장 나면 작업이 중단되어 버리는 일이 종종 있었다. 그러나 클라우드 시대에는 이 같은 초보적인 요인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질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그런 환경이 갖추어지면 ‘어떻게 하면 컴퓨터를 잘 사용할 수 있을까?’보다 ‘컴퓨터를 이용해 무엇을 하고 싶은가?’로 관점이 바뀔 것이다. 다시 말해 결과물이나 실제 현상에 초점을 맞춘 발상과 사용법이 미래 컴퓨터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뛰어난 점은 인터넷 접속환경과 브라우저만 있으면 사용자가 단말기 종류에 상관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회사의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자신의 컴퓨터에서 접속할 수 있는 파일, 휴대전화로 접속할 수 있는 사이트같이 서비스의 활용이 단말기의 제한을 받아왔다. 그러나 클라우드 시대의 다중 단말기 환경에서는 다른 기기, 다른 장소에서 접속하더라도 같은 서비스와 같은 정보를 받아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클라우드형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게임기나 스마트폰, 울트라 모바일 PC, 넷북,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같은 단말기는 물론, 앞으로 등장할 각종 단말기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2장 <클라우와 단말기의 관계> 중에서
클라우드는 국내 IT 서비스업체와 통신사, 포털, 휴대전화 제조사, 자동차업계 등 전 산업부문에서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가상화된 저렴한 인프라 공급은 이미 4년 전부터 스마일서브나 카페24 같은 서버 호스팅 업체들이 제공해 왔다. 리눅스와 윈도우 서버에 대한 이런 가상 서버 호스팅을 제공하던 업체들은 수천대에 이르는 서버에 대한 관리 차원에서 클라우드에 주목해 왔다.
이후 주력 사업자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통신사들과 각 그룹사의 IT 서비스를 지원하는 삼성SDS, LGCNS, SK C&C를 비롯한 IT 서비스업체들이다. NHN이나 다음커뮤니케이션, KTH, 나우콤 같은 포털 업체들도 사용자 대상 서비스나 내부 로그 분석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도입·적용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주목받은 이유는 기업과 개인시장이 약간은 다르다. 개인시장의 경우 언제 어디서나 어떤 디바이스에 상관없이 원하는 콘텐츠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수준의 서비스를 항상 받을 수 있다는 ‘동질 경험의 제대로 된 유지’가 중요한 경쟁요소다. 반면 기업시장은 기존 IT 투자의 투명성 확보와 현업부서가 원하는 시점에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즉시성과 유연성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3장 <한국 기업의 클라우드 전략>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