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88955569070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1-04-08
책 소개
목차
● 책 머리에
Ⅰ부 판소리문화에 다가서기
판소리의 문화적 얼개-판소리의 겉모습과 역사 | 13
1. 판을 벌여 즐기는 문화 13
2. 판소리가 걸어 온 길 16
3. 예술로 보기와 문화로 보기 21
예술문화로 보는 판소리-판소리의 종합예술적 구조 | 27
1. 언어문화인 판소리 27
2. 음악문화인 판소리 33
3. 공연문화인 판소리 37
생활문화로 보는 판소리-판소리와 우리 삶의 방식 | 45
1. ‘삶의 방식’인 판소리 45
2. 꿈을 표상하는 판소리문화 49
3. 판소리문화와 함께하기 53
Ⅱ부 판소리문화의 속살
정보와 놀이를 섞어 엮는 판짜기
-판의 구조화 원리와 이중주적 문화 | 61
1. 양면성 또는 이중성 61
2. 후반부 이야기의 놀이 지향 원리 65
3. 후반부 음악의 다양화 원리 70
4. 놀이적 재미의 가변성 74
5. 이중주 문화가 뜻하는 것 81
하나되기와 거리두기의 두 시각-판소리의 세상 보기와 태도의 문화 | 87
1. 두 가지 말투의 모습 87
2. 태도를 드러내는 말하기의 방법 92
3. 하나되기와 거리두기의 두 태도 96
4. 두 가지 시각의 의의 99
5. 판소리문화가 오늘에 주는 계시 105
주고받기의 개방성과 정체성
-장르 교섭에서 보는 동화와 이화의 문화 | 109
1. 넘나들기를 생각하는 전제 109
2. 판소리 사설이 넘나든 모습 113
3. 장르 교섭의 문화적 동향 120
4. 장르 교섭과 문화 변동의 기제 125
Ⅲ부 신재효 사설의 문화론적 음미
신재효 사설과의 만남-개인의 재미와 만인의 재미 | 131
1. 웃음을 좇는 사설 131
2. 삶을 지키는 웃음 135
3. 웃음을 위한 말놀이 138
4. 신재효를 만나서 143
신재효의 웃음을 푸는 열쇠-터무니없음과 판소리문화의 성격 | 147
1. 신재효 웃음의 특색 147
2. 신재효 사설의 터무니없음 151
3. 터무니없음의 본질 155
4. 터무니없음의 문화론적 의미 159
신재효를 보는 연구자의 시각-신재효 연구사의 회고와 전망 | 165
1. 신재효 연구의 동향 165
2. 역할 논의의 시말 172
3. 신재효에 대한 평가의 동향 176
4. 사설 논의의 전개 양상 179
5. 남은 문제들 184
Ⅳ부 창극의 문화적 자리매김
창극문화의 정체와 향방-창극의 판소리문화적 정체성을 위하여 | 189
1. 창극의 본질과 기반 189
2. 창극문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 198
3. 창극의 미래를 위한 제언 203
4. 창극 세계화의 한 길 206
창극문화의 초점-창극 무대에 거는 기대 | 211
1. '박씨전'의 변신과 창극의 변신 211
2. 심청 이야기와 우리 삶의 모습 216
3. 춘향의 참모습 찾기 220
4. 창극 '수궁가'를 위한 제언 227
창극과 판소리의 화해를 위하여-창극문화의 미래를 위한 구상 | 237
1. 창극과 판소리의 관계 재인식 237
2. 창극 사설이 갖추어야 할 조건 244
3. 공연문화로서 창극다운 판짜기 247
4. 창극 공연의 조건 252
5. 창극의 미래에 거는 기대 257
Ⅴ부 21세기의 판소리문화를 위하여
창과 방패 시대의 민속예술-보편과 특수의 모순을 아우르기 | 263
1. 이 시대 삶의 이중성 263
2. 민속예술이 가야 할 길 267
3. 교육의 역할과 문화의 역할 270
만인을 위한 판소리 사설-판소리문화를 위한 사설 창작론 | 275
1. 사설 논의를 위한 몇 가지 전제 275
2. 화제 선택의 조건 278
3. 이야기 전개 방식의 조건 280
4. 고급문화적 시각의 탈피 284
판소리문화가 가야 할 길-21세기 사회 변화와 판소리의 사명 | 289
1. 21세기를 말하는 까닭 289
2. 세계시장과 인류적 표상 창조 296
3. 정보화시대의 판소리 문법 302
4. 판소리문화의 변화와 연구자의 몫 307
● 찾아보기-용어 | 309
● 찾아보기-인명 | 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