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 / 미디어 / 문화

디지털 / 미디어 / 문화

(한나래 언론 문화 총서 46)

전경란, 박동숙 (지은이)
한나래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지털 / 미디어 / 문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 / 미디어 / 문화 (한나래 언론 문화 총서 46)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55660401
· 쪽수 : 301쪽
· 출판일 : 2005-07-28

책 소개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영역의 고찰이라는 주제하에 관련 이론적 틀은 물론 현상적 이해를 위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아울러 특정 영역의 디지털 미디어를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던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에 대해 보다 총체적으로 보여준다.

목차

머리말

1부 디지털과 표현 양식
1장 미디어와 문화
2장 디지털화와 디지털 미디어의 특징
3장 디지털화와 새로운 표현 양식의 등장

2부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4장 디지털 미디어와 재매개
5장 인터넷
6장 블로그
7장 아바타
8장 디지털 방송
9장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10장 모바일 미디어
11장 디지털 영화
12장 컴퓨터 게임
13장 다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14장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수용

참고문헌

저자소개

전경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의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전공 부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디지털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상호작용성과 서사성의 충돌과 타협”으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 연구원, 문화방송 전문연구위원, 게임물등급위원회 등급위원, 지역발전위원회 전문위원, 교육부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2017년 현재 게임문화재단 이사로 활동 중이다. 디지털로 변화하는 인간의 소통 방식과 사회관계 그리고 문화 의식 등에 관심이 있다. 인터랙티브 미디어와 디지털 콘텐츠, 다양한 디지털 문화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미디어 리터러시의 이해>(2015), <디지털 게임이란 무엇인가>(2014), <ICT 생태계>(2014), <콘텐츠>(2013) 등이 있으며,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 다큐멘터리의 진화”(2016), “디지털 시대의 네트워크 지식과 지식생산의 의미에 대한 고찰”(2014), “디지털 만화에 대한 학술연구의 동향과 함의”(2013) 등의 연구논문을 저술했다.
펼치기
박동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을 전공하고 신문방송학을 부전공했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에서 석사학위를, 텍사스대학에서 1990년에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미국에서 교수로 일했고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을 지냈다. 저서로는 『디지털/미디어/문화』(공저, 2005)와 『디지털 수용자』(공저, 2003) 등이 있고, 최근 논문으로는 “5월 19일 여성들은 혜화역에 어떻게 모였나?”(공저, 2018), “내가 좋아하는 먹방 BJ는요: 먹방시청 경험에 대한 해석적 연구”(공저, 2017), “소셜 네트워크 저널리즘 시대의 뉴스 리터러시 재개념화: 뉴스 큐레이션 능력을 중심으로”(공저, 2016), “끝나지 않는 기억전쟁(mnemonic battle): 제주 4.3을 둘러싼 뉴스미디어의 기억지형을 중심으로”(공저, 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디지털 기술의 등장은 단순히 새로운 미디어를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미디어 환경의 양적, 질적 변화를 초래하였다. 우선 새로운 미디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양적인 차원에서 미디어의 수를 확대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기존 미디어들을 수렴 혹은 변형함으로써 미디어 환경의 구조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 본문 104-105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