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55867077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1-10-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일연과 『삼국유사』
2장 『삼국유사』의 편찬 배경과 간행 시기
3장 『삼국유사』의 구성과 내용
1. 권1 「왕력」편, 「기이」편 제1
2. 권2 「기이」편 제2
3. 권3 「흥법」편, 「탑상」편
4. 권4 「의해」편
5. 권5 「신주」편, 「감통」편, 「피은」편, 「효선」편
4장 『삼국유사』의 역사적 성격
1. 역사의 유구성
2. 영역의 광범위성
3. 주제의 다양성과 내용의 융합성
4. 호국적 성격
5장 『삼국유사』의 문화적 가치와 의미
1. 신화적 가치와 의미
2. 불교문화적 가치와 의미
3. 고전 문학적 가치와 의미
4. 민속문화적 가치와 의미
6장 『삼국유사』의 문화사적 의의와 영향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삼국유사』는 일연이 구상을 하고, 제자들과 함께 자료들을 모아 완성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삼국사기』도 김부식이 모두 다 저술한 것이 아니라 김부식이 체제와 내용을 구성하는 것을 총괄하고, 31개의 사론을 쓰고 완성된 것을 감수한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삼국사기』를 통하여 김부식의 역사인식을 살펴볼 수 있으며, 『삼국사기』의 편찬자를 김부식이라고 보고 있다. 따라서 『삼국유사』를 통하여 일연의 역사인식을 살펴볼 수 있으며, 『삼국유사』의 편찬자를 일연이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모두 신라사 중심으로 되어 있으나 『삼국유사』는 『삼국사기』에 비해 고구려와 백제 이외의 고대 여러 국가의 역사를 망라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 역사 시간의 유구함과 영역의 광범위함을 축소하지 않고 그대로 보여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신라사 중심으로 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역사인식의 문제가 없지는 않겠으나 당대 잔존한 자료에도 기인한 것이다.
크리스트교는 기원 전후한 시기에 시작하여 로마에서 많은 탄압을 받고 순교자가 속출하였으나 313년 밀라노 칙령에 의해 공인이 되어 비로소 종교의 자유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일연은 불교의 전래와 수용 및 공인의 과정을 뚜렷하게 구분하여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아직도 일부 학자들은 불교의 수용과 법제적 조치인 공인을 혼동하여 전래와 수용 및공인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