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안전 한국 3 : 당신의 직장은 안전합니까?

안전 한국 3 : 당신의 직장은 안전합니까?

(활력 있는 직장을 위한 안전 지침서)

후루사와 노보루 (지은이), 조병탁, 이면헌 (옮긴이)
인재NO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안전 한국 3 : 당신의 직장은 안전합니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안전 한국 3 : 당신의 직장은 안전합니까? (활력 있는 직장을 위한 안전 지침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55967210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5-07-01

책 소개

우리나라는 안전에 관한 사회적 인식이나 시스템이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아쉬운 수준이다. 특히 산업현장에는 많은 위험 요소가 도사리고 있어 더욱 안전에 만전을 기해야 하지만, 안전방호장치나 보호구 점검 등의 기본적 안전점검도 이루어지지 않아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사고가 빈발하는 것이 현실이다.

목차

추천사 …5
머리말 …9

제 1 장 사람·조직·기업을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 안전보건활동
1. 안전보건활동의 접근 방법
(1) 안전과 안심이 21세기의 키워드다 _안전·품질·환경은 기업의 생명선 …23
(2) 건강을 잃으면 안전도 인생도 없다 …25
(3) SQC의 각오와 최고경영층의 정책이 중요하다 …26
(4) 안전보건활동이 기업 체질을 강화한다 _도요타 생산시스템(TPS)의 개념 …27
(5) 문제도 해답도 현장에 있다 _안전보건은 모든 분야로 접근하는 출발점 …31
(6) 현장의 과제를 하나씩 제거하자 …33

2. 안전풍토를 만들고 기업을 성장시키는 사람 만들기
(1) 안전보건활동은 사람 만들기에 효과적이다 …35
(2) 개인의 성장 없이는 조직의 성장도 없다 …37
(3) 서로 배려할 수 있는 현장을 만들어라 …40
(4) 활기차고 밝은 직장에는 재해가 없다 …43
(5) 물건 만들기는 곧 사람 만들기다 …45
(6) '현장력'이 곧 회사의 경쟁력이다 …46
(7) 조례 시간, 회의 시간도 중요하다 …47
(8) 최악의 사태를 대비하라 _'깨달음'과 '궁금증'을 느끼는 사람 만들기 …48

3. 안전보건담당자의 각오와 사고방식
(1) 안전보건활동에는 굳건한 마음과 태도가 필요하다 …51
(2) 최고경영자의 마음을 움직여라 _안전보건담당자는 문제 보고와 제언의 정보 발신 기지 …53
(3) 안전보건활동은 모든 분야로 접근할 수 있다 …57
(4) 활기차고 밝은 성격도 안전보건담당자의 자질이다 …58
(5) 정보는 하류에서 상류로 흐른다 …59
(6) 판단이 애매할 때는 현장에서 결정하라 …62
(7) 안전보건활동은 그 결과로 이익에 공헌한다 …63

제 2 장 사람 만들기, 교육, 그리고 직장풍토 만들기
1. 안전을 키워드로 사람 만들기
(1) 사람 만들기 없이는 안전도 없다 _물건 만들기는 사람 만들기 …67
(2) 가르치고 배우는 풍토를 만들자 …70
(3) 현장에 필요한 과장을 키워라 …72
(4) 끊임없이 개선하는 사람과 조직을 만들자 …75
(5) 팀워크의 성과는 개개인의 능력을 합한 것보다 크다 …76
(6) 기본 자세와 기본 행동에 대해 알아보자 …77
(7) 사람이 물건을 만들기 때문에 사람을 만들지 않으면 일도 시작되지 않는다_<도요타 웨이 2001> …79
(8) 소집단활동에 의한 교육을 활용하라 …80
(9) 인사제도가 안전보건활동에도 큰 영향을 준다 …82


2. 실효성을 높이는 교육의 포인트
(1) 교육은 기업의 기본적인 활동이다 …85
(2) 교육은 '공유하기'다 …86
(3) 강사는 사전에 준비하고 자료를 만들어라 …87
(4) 바람직한 강의법에 대해 알아보자 …90
(5) 현지현물에서 OJT를 실시하라 …96

3. 안전풍토 만들기
(1) 안전풍토는 기업과 직장의 풍토가 된다 …97
(2) 최고경영자의 의지와 솔선수범이 중요하다 …99
(3) 탑다운과 바텀업의 균형을 맞춰라 …101
(4) 방침을 바꾸지 않는 집념이 필요하다 …104
(5) 환경이 바뀌고 사람이 바뀌어야 문화가 된다 …105

제 3 장 사고를 방지하는 구조 만들기와 구체적 실천 포인트
1. 안전보건활동의 토양을 만드는 노동안전보건 관리시스템(OSHMS)
(1) 체제 구축은 지속적 활동의 기본이다 _안전보건담당자의 유용한 도구, 시스템 만들기 …109
(2) 시스템만 갖추면 재해가 사라질까? …111
(3) 사람과 시간이 변해도 계승되는 구조를 만들어라 …112
(4) 회사의 상황에 맞는 시스템을 만들자 …113
(5) 현장에서의 실천이 중요하다_ 진단력의 향상 …117
(6) 먼저 환경을 만들고 나서 사람과 풍토를 만들어라 …120

2. 재해의 극복과 활용 방법
(1) 현장은 변화점의 연속이다 123
(2) 재해 발생 가능성을 파악하는 감각을 익혀라 _가능한 대책부터 실행하기 …125
(3) 실패를 활용하면 교훈이 된다 _100퍼센트 재발하는 재해를 딛고 성장하기 …128
(4) 반 발 앞서 서있다가 한발 앞서 움직여라 …130
(5) 의식을 개혁하자_ 내용을 중요시하는 활동하기 …132
(6) 대책은 심각하게 검토하고 구체적으로 세우자 _사고자 비난은 개선에 무용지물 …133
(7) 재해를 활용하는 선두에 서서 움직여라 …135
(8) 재해를 활용한 사례를 보자 …137

3. 리스크 평가
(1) 리스크 평가는 안전보건활동의 핵심이다 …143
(2) 안전보건활동, 과거와 무엇이 달라졌나? …145
(3) 환경 만들기가 가장 기본이다 …146
(4) 상류에서 개선하는 일이 먼저다 …147
(5) 본질안전화로 전개되다 …152
(6) 안전보건부서는 예산이 없다 …156
(7) 리스크 평가와 위험예지에 대해 알아보자 …157
(8) 활동의 축과 프로세스를 만들어라 …161

4. 사전 방지의 기둥 만들기 _기준 설정과 대상에 집중하는 일의 중요성
(1) 목표를 설정할 때의 중점을 짚어보자 …163
(2) 생산·안전활동의 기본은 4S다 …166
(3) 기준을 설정하고 현재화(顯在化), 공유화, 구체화하라 …167
(4) 대상을 선택하고 집중해야 한다 …172
(5) 자공정 완결을 목표해야 한다 …174
(6) 묵인은 사태를 악화시킨다 …175
(7) 활동하는 마음을 인수인계하자 …176
(8) 말하는 현장을 만들어라 …178

5. 끼임(협착)재해의 방지
(1) 제조업에서 빈발하는 끼임재해를 막아라 …181
(2) '정지'란 무엇인가? _STOP과 WAIT의 차이 …182
(3) 지명업무제도란 무엇인가? …184
(4) '정지, 호출, 대기'의 마음가짐을 가져라 …187
(5) 정지할 수 없는 작업을 찾아내자 …189
(6) 문제 개선으로 설비를 단순화하다 …191
(7) 생명카드와 록아웃에 대해 알아보자 …194
(8) 표준서는 만들고 끝나는 것이 아니다 …196
(9) 표준은 100퍼센트 지킬 수 없다 …197
(10)'지킬 수 없는' 작업과 '지키기 어려운' 작업을 가려내라 …199

제 4 장 커뮤니케이션, 순회점검, 그리고 안전보건위원회
1. 커뮤니케이션과 순회점검
(1) 마음이 통해야 한다 …203
(2) 인사가 모든 일의 시작이다 …209
(3) 지적에서 지도로 나가자 …211
(4) 흔들리지 않는 기준을 세워라 …212
(5) 감독자는 남을 일깨우는 사람이다 …213
(6) 커뮤니케이션은 쌍방향으로 진행하자 …215
(7) 거대한 축적도 첫 한 줌에서 시작된다 …217
(8) 효과적인 순회점검 방법은 무엇일까? _정점관찰과 상호관찰 …218
(9) 작업표준과 현장관찰에 대해 알아보자 …221
(10) KYM·TBM과 중점 주제 설정에 대해 알아보자 …222

2. 안전보건위원회
(1) 위원회는 지식과 의식을 공유하는 장이다 …223
(2) 의견을 모으는 데 다른 활동을 활용하라 …224
(3) 연간 주제를 설정하고 표명하라 …225
(4) 위원회 운영에 관한 요점을 살펴보자 …226
(5) 활력 있는 사람을 만들자 …230

3. 중소기업의 안전보건활동
(1)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차이와 공통점은 무엇인가? …231
(2) 현장 실시형 교육을 활용하라 …232

맺음말 …235

저자소개

후루사와 노보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요타자동차㈜의 안전보건추진부 담당 부장을 거쳐 2003년 료에이 공업기계㈜로 전직한 뒤 그곳의 전무이사와 기감(技監)을 지내고 2011년 3월에 퇴사했다. 같은 해 4월부터는 외부 고문 역할을 맡아 활동하면서, 독자적으로 '안전과 사람 만들기 지원센터'를 설립했다. 오랜 경험으로 입증한 실천론을 토대로 여러 기업과 단체에서 강연과 현장지도를 하는 등 안전보건활동을 통한 활력 있는 사람 만들기, 직장 만들기를 실천하고 있다. 아이치(愛知)노동국장공로상, 중앙노동재해방지협회 녹십자상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이면헌 (옮긴이)    정보 더보기
울산대학교에서 산업공학 학사 학위를 받고, 일본 아오야마학원(靑山學院) 대학에서 경영공학 석사 과정을 마쳤다. 한국생산성본부에서 공공·민간기업을 대상으로 생산, 품질, 표준화, 현장 개선 등의 컨설팅을 수행했으며, 2005년부터 대·중소기업 간 성과공유제를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이후 동반성장위원회 출범(2011)과 함께 동반성장문화 확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지원 사업 등을 추진했다. 현재 대·중소기업협력재단에서 근무하고 있다. 주요 번역서로는 《비즈니스 성공을 위한 21세기 표준전략》, 《안전 의식 혁명》, 《당신의 직장은 안전합니까》, 《사고는 왜 반복되는가》, 《작업 현장의 안전관리》 등이 있다.
펼치기
조병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한국생산성본부에서 산업구조조정, 생산성 측정 및 향상 방안, 제조업 균형경쟁력 평가(BSC) 및 관리, 브랜드가치 측정, 패션산업 부가가치 향상 부문에 대한 정책 연구 및 컨설팅을 수행하였다. 현재 경희대학교에서 다국적기업론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종합생산성지표로 분석한 기업내부진단법≫(편저), ≪투명성이 사회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안전 의식 혁명≫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부상과 질병은 단순한 재해가 아니라 그 현장이 가진 문제의 표출

부상과 질병은 직장 내 문제점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특성이라는 게 내 기본적인 생각이다. 잦은 설비 고장, 불충분한 설비대책, 높은 품질 불량률, 좋지 않은 인간관계, 교육훈련의 부족, 빈번한 교통사고, 시스템 부재 등과 같은 직장 문제가 재해의 근본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결국에는 이러한 문제점들이 부상이나 질병이라는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즉 안전보건 측면에서 직장의 근본적인 문제를 진단하여 개선(Kaizen)하면, 직장의 체질 개선으로 이어져 부상이나 질병도 방지할 수 있다.


모든 업무의 기본은 현장에 있다. 이 ‘현장’이란 제조현장뿐만 아니라 설계에서도 영업에서도 업무의 성과가 나오는 곳을 말한다. 현장에서는 개개인의 능력을 이끌어내는 활동이 중요하다. 나는 “현장을 보았는가?”“현재 상황의 원인은 무엇인가?”라고 묻고 그 과정에서 작업자의 역량을 육성했다. 이런 질문은 3무(무리, 무라:불균형, 무다:낭비)를 찾아서 개선하는 계기가 된다. 그리고 답을 찾아 성취감을 맛보려는 사람은 성장하고, 결과적으로 회사가 성장한다.


진정한 재해대책은 ‘이상적인 기준’을 세우고 준수하는 것

재해가 발생하면 원인을 규명하고 대책을 강구하는 일이 당연한 듯 논의된다. 그러나 여러 회사의 재해 보고서를 보았지만, 진정한 원인 규명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자칫하면 문제를 일으킨 당사자를 비난하는 식이다. 또 규정을 지키지 않았다, 위험예지가 불충분했다, 지식이 부족했다고 하면서 사람에게서 원인을 찾는 경우가 많다. 이러면 재해는 절대로 없어지지 않는다. 분명히 재해를 일으킨 사람에게 책임은 있지만, 재해를 유발하려고 일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오히려 최선을 다해 일하는 사람이 재해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한다. 중요한 것은 사람, 물건, 관리 측면에서 어떻게 하면 재해를 막을 수 있는지 규명하고 연구하는 일이다. 즉 ‘이상적인 기준’이 관리자부터 작업 제일선에 이르는 공통적 인식으로 자리잡고 있었는지가 원인 규명의 중심이 되지 않으면 진정한 대책은 나올 수 없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