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55967470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6-02-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현장안전관리자를 위한 어드바이스
1. 시대 변화에 따른 대응
2. 현장안전관리자를 위한 어드바이스 24
(1) 현장안전관리자란?
(2) 작업 현장의 안전활동
(3) 현장안전관리자의 마음가짐
(4) 안전교육
(5) 행동하는 안전활동
(6) 안전주간
(7) 작업 현장의 5S(4S)
(8) 작업 현장의 실태를 파악한다.
(9) 작업의 표준화
(10) 작업 현장 내 관리 라인에서의 안전활동 - 그 첫 번째
(11) 작업 현장 내 관리 라인에서의 안전활동 - 그 두 번째
(12) 관리 방침과 연간 활동 계획
(13) 연간 활동 계획의 유지
(14) 작업 현장 순시
(15) 안전점검
(16) 살아있는 안전교육
(17) 안전위원회
(18) 안전 통계
(19) 안전활동에 묘약은 없다.
(20) 비정상 작업의 안전 확보
(21) 작업 현장 안전활동의 수치 평가
(22) 안전표식
(23) 자동화기기의 안전 확보
(24) 국제화 시대의 안전 관리
제2장 비정상 작업의 안전 관리
1. 비정상 작업의 정의와 표준화
2. 하드.소프트.하트 측면의 안전 대책
3. 안전교육 & 훈련
4. 사전의 일책은 사후의 백책을 능가한다
제3장 4M+'M'의 관리를 강화한다
1. 작업 현장의 안전활동에 대한 제언
2. 'M'의 관리를 강화한다
제4장 발상의 전환
1. 안전의 확보를 통해 리스크 저감으로
2. 조직 개혁에 대한 제안
제5장 재해제로운동이 한층 더 발전하기를
1. 재해제로운동 30년
2. 재해제로와 'PDCA'
3. KYT와 리스크 어세스먼트
4. 재해제로운동의 발전을 기원하며
맺음말
참고문헌
책속에서
또 하나 유의해야 할 것은 "이전의 공장에서는…."이라는 말은 삼가야 한다는 점이다. 각각의 작업 현장에는 오랫동안 축적된 그들만의 문화가 존재한다. 그것을 충분히 이해하지 않은 채 전 근무지의 방식을 말하는 것은 당치도 않을 일이다. 각각의 특징을 이해하고 각각의 환경을 전제로 한 개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하드웨어적인 측면의 대책은 확실히 진보하였다. 이러한 설비들을 움직이게 하는 것은 대부분이 컴퓨터이며, 이를 통해 시스템화되고 있다. 그렇지만 하드웨어를 만들고, 소프트웨어를 만들며, 이를 조작하는 것 역시 사람이다. 이는 단순히 작업자의 교육이나 예의범절 같은 것으로 간단하게 결론지을 수 없다. 작업자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생각해볼 때 따뜻한 배려를 포함한 '마음'의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산업재해를 살펴보면 진정한 숙련자라고 할 수 있는 현장감독자가 사고를 내는 사례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자신이 책임지고 있는 작업 현장 내에 공정 전체의 흐름을 저해하고 싶지 않은 체면 혹은 부끄러운 마음 때문에 기계가 작동 중임에도 불구하고 수리를 실시하여 불행하게도 사고에 빠지는 것이다. 현장안전관리자도 어떻게 그와 같은 베테랑 작업자가 사고에 말려들었는지 불가사의한 일이라 생각한다. 너무 익숙한 나머지 방심하여 발생하는 사고와 지나치게 충실하거나, 체면을 지키려고 하거나, 또는 부끄러움을 감추려고 하는 사고를 동일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그 대책 또한 다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