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56029009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07-12-14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한승주 고려대 총장
존 햄르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 회장
머리말 이제 싱크탱크의 숲을 키워야 할 때
1 싱크탱크의 숲, 치열하게 경쟁하는 정책공장들
2 '미래 세대를 위한 건물', 누가 싱크탱크를 키우나
3 싱크탱크의 힘은 이사회에서 나온다
4 유능한 관료 출신들이 싱크탱크를 만들다
5 군출신들이 만든 외교안보 싱크탱크
6 정책생태계의 저수지, 의회·행정부로 통하는 회전문
7 의회가 만든 싱크탱크
8 대학이 주도하는 국가적 정책프로젝트
9 저비용 싱크네트
10 브루킹스 콤플렉스에서 벗어나라 작고 날렵한 싱크탱크도 있다
11 미국 우파 싱크탱크의 성공전략에서 배운다
12 싱크탱크의 독립성, 그리고 돈
13 미디어가이드, 메모, 브리프 그리고 토킹 포인트
14 재단 파워 vs. 소액 기부자
15 싱크탱크 경쟁의 생태계
16 싱크탱크의 성패, 의제를 선도하라
17 케이스 스터디 1_ 삼성경제연구소
18 케이스 스터디 2_ 코리아연구원과 동아시아연구원
19 케이스 스터디 3_ 시민참여형 싱크탱크, 희망제작소
맺음말 싱크탱크 운동을 위해서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메모 VS. 토킹 포인트
보수 싱크탱크의 혁명을 불러일으켰다는 헤리티지의 가장 큰 무기는 메모였다. 의원이나 보좌진들이 이동시간에도 금방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핵심아이디어 페이퍼인 셈이다.
헤리티지의 전략은 사실 컨설팅회사에서도 발견된다. 세계 최고수준의 컨설팅 회사인 맥킨지도 '고객회사의 최고경영자가 엘리베이터를 타고 이동하는 1분 동안 감동을 줄 수 있는 프리젠테이션'을 강조한다.-본문 108p 중에서
싱크탱크는 공공정책 인재들을 위한 저수지라고 할 수 있다. 싱크탱크에서 정부나 의회를 위해 필요한 인재들이 나가고 다시 싱크탱크로 들어와서 그 경험을 환류시키는 피드백 시스템인 셈이다. 천수답 같은 한국의 정책지식 생태계가 정책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시스템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도 싱크탱크의 활성화는 필수적이다.-본문 50~51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