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당퇴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당시삼백수..에는 저자가 형당퇴사(..塘退士)라고만 되어 있는데 후대인이 그가 손수(孫洙)임을 고증해내었다. 손수는 청(淸) 강희(康熙) 50년(1711)에 무석(無錫)에서 출생하였는데, 자(字)는 임서(臨西), 혹은 영서(..西)이고, 호는 형당(衡塘)이며, 만호(晩號)는 퇴사(退士)이다. 조적(祖籍)은 안휘(安徽) 휴녕현(休寧縣)이다. 그는 일찍이 경사국자감(京師國子監)에 들어가 학습하였고, 건륭(乾隆) 9년(1744)에 과거에 합격하여, 건륭(乾隆) 11년에 강소(江蘇) 상원현(上元縣; 지금의 강녕(江寧)) 학교유(學敎諭)로 벼슬을 시작하였다. 건륭 16년에 진사에 급제한 후 순천부대성현지현(順天府大成縣知縣), 직례노룡현지현(直..盧龍縣知縣), 산동추평현지현(山東鄒平縣知縣), 강녕부학교수(江寧府學敎授) 등의 벼슬을 지냈다. 그는 민중의 고통에 관심을 갖고 있었고, 나랏일을 성실하게 수행한 것으로 전해진다. 지현(知縣)으로 재직할 때에 민간에 깊이 들어가 가난하고 고통 받는 이들을 찾아다녔고, 역병과 재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은을 내어 수리시설을 보수하기도 하였다. 또한 관직생활이 청렴하여 백성들의 사랑과 존경을 깊이 받았다. 건륭 43년(1778) 무석(無錫)에서 죽었으니 향년 67세였다. 그는 시문을 잘해 <형당만고(..塘漫稿)>, <배민록(排悶錄)>, <이문록(異聞錄)> 등의 저작이 전한다.
펼치기
류종목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대구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와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주요 저서 및 역서로 《소식사연구(蘇軾詞硏究)》, 《당송사사(唐宋詞史)》, 《여산진면목(廬山眞面目)》, 《논어의 문법적 이해》, 《송시선(宋詩選)》, 《범성대 시선(范成大詩選)》, 《팔방미인 소동파》, 《육유 시선(陸游詩選)》, 《소동파 시선(蘇東坡詩選)》, 《소동파 사(蘇東坡詞)》,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 1, 2》, 《중국고전문학정선?시가 1, 2》, 《정본완역소동파시집 1, 2, 3, 4, 5》, 《중국고전문학정선?시경 초사》, 《소동파 산문선》, 《중국고전문학정선?사곡(詞曲)》, 《소동파 문학의 현장 속으로 1, 2》, 《송사삼백수 천줄읽기》, 《유종원 시선(柳宗元詩選)》, 《소식의 인생 역정과 사풍(詞風)》, 《한시 이야기》, 《소동파 전기 명시》, 《소동파 후기 명시》, 《유종원 산문선》 등이 있다.
펼치기
이지운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 강의전담교원, 성균관대학교 전임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방송통신대학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역서로 ≪이청조 사선≫, ≪온정균 사선≫, ≪이상은≫, ≪글쓰는 여자는 잊히지 않는다≫(공저), ≪당시삼백수≫(공역), ≪사고전서총목제요의 주해와 해설≫(공역), ≪송시화고≫(공역), ≪협주명현십초시≫(공역), ≪사령운 사혜련 시≫, ≪이의산시집≫(공역),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모호한 아름다움, 몽롱미-이상은 시의 난해함에 대한 시론>, <단절된 공간, 불온한 시선-당대 여성시인 어현기의 삶과 시>, <당시에서의 호희형상으로 본 당대의 이문화 인식>, <명말청초 여성의 문학 활동에 대한 시론-≪오몽당집≫을 중심으로->, <송대 여성작가 주숙진과 그의 시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주기평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책임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의 객원연구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와 서울시립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육유시가연구≫, ≪조선 후기 유서와 지식의 계보학≫(공저), 역서로 ≪정선육방옹시집≫, ≪향렴집≫, ≪천가시≫, ≪육유사≫, ≪육유시선≫, ≪잠삼시선≫, ≪고적시선≫, ≪왕창령시선≫, ≪당시삼백수≫(공역), ≪송시화고≫(공역), ≪악부시집·청상곡사 1, 2≫(공역), ≪유원총보 역주≫(공역), ≪제주한시 300수≫(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