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악부시집·고취곡사

악부시집·고취곡사

곽무천 (지은이), 주기평, 이지운, 서용준, 김수희, 홍혜진, 임도현, 이욱진 (옮긴이)
학고방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0,000원 -0% 0원
2,500원
47,500원 >
45,000원 -10% 0원
0원
4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4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악부시집·고취곡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악부시집·고취곡사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중국문학론
· ISBN : 9791169955768
· 쪽수 : 556쪽
· 출판일 : 2025-02-20

책 소개

한대 이후 수당대에 이르기까지 고대 타악기와 취주악기를 반주로 삼은 악곡의 가사들이 수록되어 있다. 고취곡은 한대 군대의 음악에서 기원한 것으로, 이후 위진남북조 시기에 들어오면서 연주 방식과 악기의 정비 및 신악곡의 창작 등을 통해 황제의 의장이나 치세의 선양 등을 목적으로 황실이나 조정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되면서 아악화雅樂化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목차

1. 한요가 漢鐃歌 18수 고사古辭 40
1-1. 주로 朱鷺 41
1-2. 사비옹 思悲翁 43
1-3. 예이장 艾如張 44
1-4. 상지회 上之回 46
1-5. 옹리 翁離 48
1-6. 전성남 戰城南 49
1-7. 무산고 巫山高 50
1-8. 상릉 上陵 52
1-9. 장진주 將進酒 55
1-10. 군마황 君馬黃 57
1-11. 방수 芳樹 58
1-12. 유소사 有所思 60
1-13. 치자반 雉子斑 63
1-14. 성인출 聖人出 65
1-15. 상야 上邪 66
1-16. 임고대 臨高臺 67
1-17. 원여기 遠如期 69
1-18. 석류 石留 70
2. 한요가 漢鐃歌 72
2-1. 주로 朱鷺 6수 72
2-2. 예이장 艾如張 2수 78
2-3. 상지회 上之回 7수 81
2-4. 전성남 戰城南 7수 90
2-5. 무산고 巫山高 21수 98
2-6. 장진주 將進酒 4수 121
2-7. 군마황 君馬黃 3수 128
2-8. 방수 芳樹 13수 134
2-9. 유소사 有所思 26수 153
2-10. 치자반 雉子斑 6수 183
2-11. 임고대 臨高臺 11수 192
2-12. 원기 遠期 2수 208
2-13. 현운 玄雲 210
2-14. 황작행 黃雀行 211
2-15. 조간 釣竿 3수 213
2-16. 조간편 釣竿篇 4수 216
3. 위고취곡 魏鼓吹曲 12수 224
3-1. 초지평 楚之平 224
3-2. 전형양 戰滎陽 227
3-3. 획여포 獲呂布 230
3-4. 극관도 克官渡 231
3-5. 구방 舊邦 233
3-6. 정무공 定武功 235
3-7. 도류성 屠柳城 238
3-8. 평남형 平南荊 240
3-9. 평관중 平關中 243
3-10. 응제기 應帝期 245
3-11. 옹희 邕熙 248
3-12. 태화 太和 250
4. 오고취곡 吳鼓吹曲 12수 253
4-1. 염정결 炎精缺 253
4-2. 한지계 漢之季 257
4-3. 터무사 攄武師 260
4-4. 벌오림 伐烏林 262
4-5. 추풍 秋風 265
4-6. 극완성 克皖城 267
4-7. 관배덕 關背德 270
4-8. 통형문 通荊門 273
4-9. 장홍덕 章洪德 277
4-10. 종역수 從曆數 279
4-11. 승천명 承天命 283
4-12. 현화 玄化 287
5. 진고취곡 晉鼓吹曲 22수 290
5-1. 영지상 靈之祥 291
5-2. 선수명 宣受命 295
5-3. 정요동 征遼東 297
5-4. 선보정 宣輔政 299
5-5. 시운다난 時運多難 302
5-6. 경룡비 景龍飛 303
5-7. 평옥형 平玉衡 306
5-8. 문황통백규 文皇統百揆 308
5-9. 인시운 因時運 311
5-10. 유용촉 惟庸蜀 313
5-11. 천서 天序 316
5-12. 대진승운기 大晉承運期 317
5-13. 금령운 金靈運 321
5-14. 오목아황 於穆我皇 325
5-15. 중춘진려 仲春振旅 329
5-16. 하묘전 夏苗田 331
5-17. 중추선전 仲秋獮田 334
5-18. 순천도 順天道 337
5-19. 당요 唐堯 340
5-20. 현운 玄雲 343
5-21. 백익 伯益 347
5-22. 조간 釣竿 351
6. 진개가 晉凱歌 2수 356
6-1. 명장출정가 命將出征歌 356
6-2. 노환사가 勞還師歌 359
7. 송고취요가 宋鼓吹鐃歌 3수 362
7-1. 상야곡 4해 上邪曲四解 362
7-2. 만지곡 9해 晩芝曲九解 363
7-3. 예이장곡 3해 艾如張曲三解 363
8. 송고취요가 宋鼓吹鐃歌 15수 364
8-1. 주로편 朱路篇 365
8-2. 사비공편 思悲公篇 367
8-3. 옹리편 雍離篇 370
8-4. 전성남편 戰城南篇 374
8-5. 무산고편 巫山高篇 377
8-6. 상릉자편 上陵者篇 380
8-7. 장진주편 將進酒篇 383
8-8. 군마편 君馬篇 386
8-9. 방수편 芳樹篇 391
8-10. 유소사편 所思篇 393
8-11. 치자유원택편 雉子遊原澤篇 396
8-12. 상야편 上邪篇 399
8-13. 임고대편 臨高臺篇 402
8-14. 원기편 遠期篇 406
8-15. 석류편 石流篇 408
9. 제수왕고취곡 齊隨王鼓吹曲 10수 412
9-1. 원회곡 元會曲 412
9-2. 교사곡 郊祀曲 414
9-3. 균천곡 鈞天曲 416
9-4. 입조곡 入朝曲 419
9-5. 출번곡 出藩曲 420
9-6. 교렵곡 校獵曲 422
9-7. 종융곡 從戎曲 424
9-8. 송원곡 送遠曲 425
9-9. 등산곡 登山曲 426
9-10. 범수곡 泛水曲 428
10. 제고취곡 齊鼓吹曲 3수 431
10-1. 입조곡 入朝曲 431
10-2. 송원곡 送遠曲 433
10-3. 범수곡 泛水曲 435
11. 양고취곡 梁鼓吹曲 12수 437
11-1. 목기사 木紀謝 438
11-2. 현수산 賢首山 441
11-3. 동백산 桐柏山 445
11-4. 도망 道亡 447
11-5. 침위 忱威 450
11-6. 한동류 漢東流 452
11-7. 학루준 鶴樓峻 454
11-8. 혼주자음특 昏主恣淫慝 457
11-9. 석수국 石首局 459
11-10. 기운집 期運集 463
11-11. 오목 於穆 465
11-12. 유대량 惟大梁 468
12. 수개악가사 隋凱樂歌辭 3수 470
12-1. 술제덕 述帝德 470
12-2. 술제군용명 述諸軍用命 473
12-3. 술천하태평 述天下太平 477
13. 당개악가사 唐凱樂歌辭 4수 480
13-1. 파진악 破陣樂 482
13-2. 응성기 應聖期 483
13-3. 하성환 賀聖歡 484
13-4. 군신동경악 君臣同慶樂 485
14. 당개가 唐凱歌 6수 486
15. 당고취요가 唐鼓吹鐃歌 12수 495
15-1. 진양무 晉陽武 496
15-2. 수지궁 獸之窮 500
15-3. 전무뢰 戰武牢 504
15-4. 경수황 涇水黃 507
15-5. 분경패 奔鯨沛 511
15-6. 포얼 苞枿 514
15-7. 하우평 河右平 518
15-8. 철산쇄 鐵山碎 521
15-9. 정본방 靖本邦 524
15-10. 토욕혼 吐谷渾 526
15-11. 고창 高昌 530
15-12. 동만 東蠻 534

저자소개

곽무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곽무천에 대한 기록은 거의 전해지지 않아 그의 일생에 대해 자세히 알 수가 없다. ≪사고전서총목(四庫全書總目)≫에는 “≪건염이래계년요록(建炎以來系年要錄)≫에서 곽무천은 시독학사 곽포의 손자며 곽원중의 아들이라 한다. 그의 관직 생활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원래 혼주 수성[지금의 산둥성(山東省) 둥핑현(東平縣)] 사람이다(≪建炎以來系年要錄≫載茂?爲侍讀學士郭褒之孫, 源中之子. 其仕履未詳, 本渾州須城人)”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 육심원(陸心源)의 ≪의고당속발(儀顧堂續跋)≫[호옥진(胡玉縉)의 ≪사고전서총목제요보정(四庫全書總目提要補正)≫ 인용]에는 “무천의 자는 덕찬이고, 동평 사람이며, 음률에 정통했고, 서예에 뛰어났다. 원풍 7년 하남의 법조참군이 되었다(茂?字德粲, 東平人, 通音律, 善篆隸. 元豊七年河南法曹參軍)”라는 기록이 전할 뿐이다.
펼치기
이지운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 강의전담교원, 성균관대학교 전임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방송통신대학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역서로 ≪이청조 사선≫, ≪온정균 사선≫, ≪이상은≫, ≪글쓰는 여자는 잊히지 않는다≫(공저), ≪당시삼백수≫(공역), ≪사고전서총목제요의 주해와 해설≫(공역), ≪송시화고≫(공역), ≪협주명현십초시≫(공역), ≪사령운 사혜련 시≫, ≪이의산시집≫(공역),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모호한 아름다움, 몽롱미-이상은 시의 난해함에 대한 시론>, <단절된 공간, 불온한 시선-당대 여성시인 어현기의 삶과 시>, <당시에서의 호희형상으로 본 당대의 이문화 인식>, <명말청초 여성의 문학 활동에 대한 시론-≪오몽당집≫을 중심으로->, <송대 여성작가 주숙진과 그의 시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서용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울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역서로 ≪사시전원잡흥≫, ≪협주명현십초시≫(공역), ≪사령운 사혜련 시≫(공역), ≪진자앙시≫(공역), ≪악부시집·청상곡사 1, 2≫(공역) 등이 있으며, 악부시 관련 논문으로 <이백 악부시 ‘오서곡’ 연구-시의 화자를 중심으로>, <고악부 ‘오야제’와 ‘오서곡’의 기원과 계승 연구-육조시기 악부시를 중심으로>, <악부시 ‘오야제’와 ‘오서곡’의 계승과 변화에 대한 연구-당대부터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주기평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책임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의 객원연구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와 서울시립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육유시가연구≫, ≪조선 후기 유서와 지식의 계보학≫(공저), 역서로 ≪정선육방옹시집≫, ≪향렴집≫, ≪천가시≫, ≪육유사≫, ≪육유시선≫, ≪잠삼시선≫, ≪고적시선≫, ≪왕창령시선≫, ≪당시삼백수≫(공역), ≪송시화고≫(공역), ≪악부시집·청상곡사 1, 2≫(공역), ≪유원총보 역주≫(공역), ≪제주한시 300수≫(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김수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강의하였고, 현재 중앙대학교 아시아문화학부 중국어문학전공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역서로 ≪악부시집·청상곡사 1, 2≫(공역), ≪이제현 사선≫(공역), ≪풍연사 사선≫(단독), ≪심의수 사선≫(단독)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동귀기사’로 본 명대 여성여행과 여행의식>, <宋代 여행문화와 詞의 공간인식 변화>, <北宋 文人詞의 희극성 고찰>, <사대부 은일의 전형: 北宋 蘇軾의 은일 고찰>, <채련곡의 공연방식과 그 문학화 고찰>, <唐代 〈霓裳羽衣〉 樂舞와 문학의 상관적 고찰>, <宋代 隊舞와 문학의 상관적 고찰-鄮峰眞隱大曲 수록 採蓮舞의 戲劇化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임도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와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 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여대 중문과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 영남대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역서로 ≪건재 한시집-오리는 잘못이 없다≫, ≪쫓겨난 신선 이백의 눈물≫, ≪당시삼백수≫, ≪이태백시집 1-7≫(공역), ≪하늘이 내린 내 재주 반드시 쓰일 것이니 - 이백의 시와 해설≫, ≪시의 신선 이백 글을 짓다-이태백문집≫(공역), ≪한유시집(상, 하)≫(공역), ≪한유시선 - 고래와 붕새를 타고 돌아오리라≫, ≪두보전집초기시역해 1, 2≫(공역), ≪두보전집기주시기시역해 1, 2, 3, 4≫(공역), ≪시의 성인 두보 글을 짓다-두보문집≫ 등이 있다.
펼치기
이욱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해군사관학교 중국어교관 및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전문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충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 ≪시언지변≫, ≪협주명현십초시≫(공역), ≪악부시집·청상곡사 1, 2≫(공역)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시경≫ 자연 경물 모티프의 은유>, <친족에서 정적까지 ― ≪시경≫ ‘붕우(朋友)’의 성격>, <전고 사용의 은유와 환유-교연 ≪시식≫의 용사관> 등이 있다.
펼치기
홍혜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단국대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현재 서울대와 동국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역서로 ≪진자앙시≫(공역), ≪악부시집·청상곡사 1, 2≫(공역)이 있으며, 주요논문으로 <시학 전문서 ≪수원시화≫의 기능>, <강남도시와 원매 전기류 작품의 상관성>, <계보에서 취향으로-袁枚의 <不飮酒二十首>를 중심으로>, <袁枚의 시가창작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 고찰>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