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88956265964
· 쪽수 : 548쪽
· 출판일 : 2011-08-2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_근대의 바벨탑, 번역이라는 유령
일러두기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표와 의의
1) 근대 소설사 연구의 시각
2) 번역 및 번안 소설 연구의 가치
2. 연구 대상과 범위
1) 논의의 성격과 초점
2) 논의 전개의 방향
제2장 근대 소설의 양식과 매체, 그리고 언어
1. 번역 및 번안 소설사 연구의 좌표
1) 번역 및 번안의 태도와 방법
2) 매체 혁신과 근대 소설의 모험
3) 언문일치와 ‘순 한글의 한국어 문장’이라는 것
2. 번역 및 번안 소설과 근대 문학의 언어
1) 소설이라는 번안어와 언어 경합
2) 문체 분할의 감각과 소설의 상상력
3) 신문 연재소설과 근대 소설 언어의 비가역성
제3장 단행본 번역 소설의 상상력
1. 단행본 소설 출판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1) 단행본 소설의 출판 경향
2) 동양서원과 추리 소설의 번역
2. 신문관과 세계 문학의 관념
1) 문학 출판의 외연 확장과 역사적 성격
2) 세계 문학 기획의 허실
3. 『불여귀』 번역의 독자성과 번안 모형의 창안
1) 가테이쇼세츠와 부부라는 제도의 운명
2) 가정 소설의 이념과 신문 연재소설의 모형
제4장 신문 연재 번안 소설의 세 단계
1. 『매일신보』와 가정 소설의 상상력
1) 신소설의 단명과 번안 소설의 등장
2) 번안 소설의 시대정신과 연애의 이념
2. 재번안의 방법론적 우위와 소설 유형의 다변화
1) 번안 경로의 일원화와 소설 유형
2) 번안 소설의 역사적 상상력
3. 신문 연재소설과 세계 문학의 시대
1) 소설 번안의 다중성과 역사성
2) 양대 일간지 연재소설의 경쟁과 번안 소설
제5장 결론
1. 번역 및 번안의 시대정신과 상상력
2. 한국 근대 소설사의 안과 밖
참고 문헌
표 찾아보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