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57319307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5-04-24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ESV 성경 해설 주석〉에 대하여
약어표
역대기 서론
역대상 주석
역대상 1:1-9:34 개관
역대상 2:3-4:23 개관
역대상 9:35-역대하 9:31 개관
역대상 11:1-92:30 개관
역대상 11:1-16:43 개관
역대상 15:1-16:43 개관
역대상 17:1-29:30 개관
역대상 23:1-27:34 개관
역대상 28:1-29:30 개관
성경구절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삶은 진부하고 약속들의 성취는 더딘 것처럼 보일 때, 역대기 저자는 청중에게 그들이 열방 가운데서 하나님의 백성 이스라엘로서 계속 동일한 정체성을 지니고 있음을 강조한다. 다윗이 확립하고 계속 이어진 레위인 중심의 구조와 함께, 성전은 이스라엘에게 예배를 위한 중심 위치를 차지한다. 이는 하나님의 왕 되심과 하나님에 대한 백성들의 충성을 확증한다. 하나님의 백성은 또한 오랜 세월 동안 하나님이 그분께 겸손히 의지하는 사람들을 얼마나 복 주셨는지 상기하면서 격려를 받을 수 있다
“역대기 서론” 중에서
간단히 말해, 계보가 처음에는 셋에게 이어서 아브라함에게 그다음에 이삭에게 그리고 (대상 2:1에서) 이스라엘에게 초점을 맞추면서, 온 인류에 대한 보편적 관점과 인류의 다양성 및 특이성 둘 다를 결합시킨다. 그 시점으로부터 이 책은 여호와의 언약 백성에게 초점을 맞출 것이다.
“역대상 1:28-54 주석” 중에서
역대기는 아침저녁으로 “제단 위에” 드리는 “번제”(16:40; 21:26, 29; 23:13; 대하 8:12-13 등)와 “향”(대상 28:18; 대하 2:4; 13:11 등) 을 자주 언급하는 반면, 웃시야 왕은 제사장의 역할을 빼앗아 자신이 “향단에 분향[하려]” 했을 때 심판을 받았다(대하 26:16, 19). 제물은 죄를 위한 것이 될 수도 있으나(대하 29:21-24), 또한 감사와 헌신, 날마다 하나님께 관대하게 드리는 것을 표현한다. 제사장의 임무는 “지성소”와 관련된 모든 것으로, “이스라엘을 위하여 속죄”한다는 구체적인 언급이 함께 나온다. 대제사장의 이 핵심 역할(레 16장)은 아무리 중요하게 생각해도 지나치지 않다. “속죄[함]”이라는 말은 역대기 다른 곳에서는 역대하 29:24에만 언급되지만, 그 가장 중대한 행사는 히스기야 치하의 성전 예배의 회복과 개혁의 일부였으며 “온 이스라엘을 위[한]” 것이었다. 그 결과는 “하나님께서 백성을 위하여 예비하셨으므로 [히스기야가] 백성과 더불어 기뻐[한]” (대하 29:36) 것이었다.
“역대상 6:49-53 주석”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