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57337196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1-01-04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동아시아의 지혜가 담긴 천년의 고서
1부 교육과 학습의 중요성
1.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
2. 자식 교육의 사례
3. 교육에서 스승과 어른의 책임
4. 배움의 의미와 목표
5. 가르침의 실천: 효도와 겸양
2부 수와 사물의 분류
1. 박학博學·근지勤知
2. ‘수數’의 세계: 십진법의 원리
3. 삼: 삼재三才·삼광三光·삼강三剛
4. 사: 사계四季·사방四方
5. 오: 오행五行·오상五常
6. 육: 육곡六穀·육축六畜
7. 칠: 칠정七情
8. 팔: 팔음八音
9. 구: 구족九族
10. 십: 십의十義
3부 고전의 지혜
1. 문자학습의 순서
2. 〈사서四書〉
3. 독서의 순서: 『효경孝經』과 〈사서〉·〈육경〉
4. 〈육경六經〉
5. 〈제자백가諸子百家〉
6. 오자五子: 다섯 선생
4부 역사의 흐름
1. 독서의 범주 확대: 철학에서 역사로
2. 고대 문명의 창시자: 삼황三皇·이제二帝
3. 고대 국가의 형성과 성왕: 삼왕三王·삼대三代
4. 제후의 시대: 춘추春秋·전국戰國
5. 고대 제국의 형성: 진秦·한漢 왕조
6. 제국의 분열과 북방 민족의 약진
7. 중세의 통일 왕조: 수隋·당唐 왕조
8. 분열과 할거의 시대: 오대십국五代十國
9. 학술과 문화의 시대: 북송北宋·남송南宋
10. 치란과 흥망
[중정본 읽기 1] 몽골족의 제국 수립: 원元 왕조
[중정본 읽기 2] 한족의 번영: 명明 왕조
[중정본 읽기 3] 만주족의 중국: 청淸 왕조
[중정본 읽기 4] 역사를 읽는 순서
[중정본 읽기 5] 유학의 대학자
[중정본 읽기 6] 유명한 문학가
5부 어떻게 살 것인가
1. 독서의 방법
2. 바다 같은 학문의 세계
3. 역경을 이기고 독서에 힘쓴다
4. 가난에 굽히지 않는 향학열
5. 늦게 시작하면 후회한다
6. 82세의 장원급제
7. 어린 영재의 성공
8. 여성교육의 성과
9. 뛰어난 역량을 본받다
10. 사람다움은 배움으로 완성된다
11. 배운 것은 실천하라
12. 자식에게 돈이 아니라 『삼자경』을 남겨준다
[부록 1] 삼자경 모아 읽기
[부록 2] 중정삼자경 모아 읽기
주석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1부 교육과 학습의 중요성
처음 시작 부분 40구가 여기에 해당된다. 이 부분은 『삼자경』의 서두이면서 전체를 아우르는 대주제를 제시하고 있다. 즉 인간다움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덕성의 함양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이어서 덕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어린 시절 배움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제2부 수數와 사물의 분류
서두의 40구를 빼고, 그 이후 66구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 부분은 서두의 ‘배움과 가르침’의 하부 구조에 해당하는데, 구체적인 학습 내용으로서 수라는 개념을 통해 사물을 이해하는 원리를 제시한다. 따라서 이 부분은 ‘숫자로 보는 중국문명’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인간으로서의 덕성을 갖추었다고 해도 사회 속에서 소통하면서 조화로운 인간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문화를 읽는 코드를 이해할 줄 알아야 한다.
제3부 고전의 지혜
107구부터 시작해서 175구까지의 68구가 여기에 해당한다. 중국인의 중요 고전을 개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 『삼자경』은 단지 고전의 이름을 제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고전의 독서 순서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한다. 초학자는 먼저 『소학小學』 및 『효경孝經』에서 시작하여 기초를 다지고, 그 다음에 <사서四書>와 <육경六經>으로 점진적으로 나아간 후, 그 토대 위에 제자백가 및 중요한 사상가의 저작을 읽어나가도록 유도한다. 또한 각 고전을 읽을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을 간략하게 언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