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57337257
· 쪽수 : 656쪽
· 출판일 : 2021-05-04
책 소개
목차
권두언
제1장 들어가기
제2장 불경의 옥책
1. 옥책이란?
2. 준풍(峻豊) 3년의 <부모은중경> 옥책
3. 가희(嘉熙) 2년의 <예불대참회문> 옥책
4. 마무리
제3장 <월인석보>의 옥책
1. 개성(開城)의 불일사(佛日寺)
2. <월인석보>의 신편(新編)과 구권(舊卷)
3. 정통 12년의 <월인석보> 옥책
4. 현전하는 <월인석보> 제8권과 옥책
5. 옥책의 과학적 검증
제4장 <월인석보> 제8권과 옥책
1. <월인석보> 제8권과 옥책의 명문(銘文)
2. 정통 12년의 옥책으로 본 <월인석보>의 구권
3. 옥책에 보이는 여러 오류
4. <월인석보> 제8권의 신편과 구권
5. 마무리
제5장 <월인석보>와 훈민정음의 <언해본>
1. 훈민정음의 <한문본>과 <언해본>
2. 고려대본 훈민정음의 <언해본>
3. 왜 <월인석보>의 구권은 무시되었는가?
4. <월인석보>의 구권과 신편의 협주
5. <월인석보> 권두의 훈민정음 <언해본>
6. 마무리
제6장 훈민정음의 제정과 주변 문자
1. 원대(元代) 파스파 문자
2. 범자(梵字)와 훈민정음
3. 실담(悉曇)의 마다(摩多)와 훈민정음의 중성(中聲)
4. 마무리
제7장 세종의 새 문자 창제와 <월인석보>
1. 세종의 훈민정음 제정
2. 언문(諺文)과 반절(反切)
3. <언문자모>의 속소위(俗所謂) 반절 27자
4. 새 문자의 공표와 <월인석보>
제8장 마치면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