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가

조선가

(일본에 울려퍼진 조선 도공의 망향가)

정광 (지은이)
김영사
16,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120원 -10% 0원
840원
14,2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620원 -10% 530원 9,020원 >

책 이미지

조선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가 (일본에 울려퍼진 조선 도공의 망향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 ISBN : 9788934992745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0-08-15

책 소개

'도자기전쟁'이라 불린 임진왜란에서 잡혀간 조선 도공들의 잊혔던 역사를 생생히 되살려낸 획기적 연구서. <조선가>는 피랍 조선 도공들이 가고시마 지방에 정착해 대를 이어 불렀던 망향의 노래다.

목차

권두언

1장 들어가기

2장 교토대학에 소장된 〈조선가〉
1. 〈조선가〉 연구 자료
2. 나에시로가와 피랍인 연구 자료

3장 사쓰마의 피랍 조선인
1. 임진왜란·정유재란에서 납치된 조선인
2. 피랍된 조선인 수효
3. 왜군은 왜 조선인을 납치했을까?
4. 피랍인의 쇄환과 사쓰마의 피랍 조선인
5. 쇄환에 응하지 못한 조선 피랍인

4장 사쓰마의 고려인 마을
1. 고려인 마을의 유래
2. 도자기 제작
3. 나에시로가와 정착

5장 피랍 조선인과 그 후예의 생활
1. 나에시로가와에서의 생활
2. 조선인의 씨명
3. 조선어 통사와 조선어 학습
4. 조선인의 표착과 통사 역할
5. 피랍 조선인의 명칭 호고려인

6장 〈조선가〉와 〈학구무의 노래〉
1. 〈조선가〉는 무엇인가?
2. 옥산묘의 〈신무가〉
3. 〈신무가〉의 가사
4. 〈학구무의 노래〉

7장 조선 전기의 가요 〈오나리〉와 〈조선가〉
1. 안상 《금합자보》의 〈오나리〉
2. 《양금신보》의 속칭 〈심방곡〉
3. 〈조선가〉의 제1연과 《금합자보》의 〈오나리〉
4. 〈조선가〉의 나머지 구
5. 가나 표기에 보이는 문제점
6. 한자 표기

8장 맺음말

한국어판을 내면서
찾아보기

저자소개

정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문학석사, 국민대학 문학박사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미국 Columbia University at New York 동아언어문화과 방문학자 미국 Illinois University at Urbana-Champaign 언어학과 초청강사 일본 京都대학 문학부 초빙 외국인 학자 일본 東京외국어대학 외국인 연구원 일본 早?田대학 문학부 교환교수 일본 富山대학 인문학부 초청강사 일본 關西대학 東西硏 초청교수 중국 北京 中央民族大學 초청강사 저서 『몽고자운 연구』, 서울: 박문사, 중문판 北京: 중국 民族出版社, 일문판 東京: 大倉 『삼국시대 한반도의 언어 연구』, 서울: 박문사 『조선시대의 외국어 교육』 서울: 김영사, 일문판 京都: 臨川書店 『역주 원본 노걸대』, 서울: 김영사 『한글의 발명』, 서울: 김영사 『동아시아 여러 문자와 한글』, 서울: 지식산업사 『조선가―일본에 울려 퍼진 조선 도공의 망향가―』, 서울: 김영사 외 대수
펼치기

책속에서

조선시대 후기의 문화가 전기에 비해 훨씬 침체되었던 것은 이러한 인적 자원의 손실이 하나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일본은 조선을 침략하며 얻은 인적 자원으로 여러 부문, 특히 도자기와 활자 인쇄술, 건축 기술, 철기 제조 등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하여 근대화의 기초를 다졌다. 본서에서 다룬 도자기에 관한 것만을 보더라도 임진왜란 때 납치해간 도공들이 발전시킨 일본 도자기가 서양에 알려져 대량 수출되며 많은 자금을 벌어들였다. 이렇게 벌어들인 자본이 바로 일본의 근대화를 촉진하는 밑천이 된 것으로 필자는 본다.


교토대학 문학부 언어학연구실에 소장되어 있는 나에시로가와 전래의 조선어 학습 자료 중에 〈조선가〉라고 제목을 붙인 한 책의 필사본이 있다. 이 책에는 조선 이두식 표기법을 혼합하여 한자로 쓴 4연의 가요가 있고 각 구의 왼쪽에는 언문, 오른쪽에는 가타카나로 조선어가 표기되어 있다.


사쓰마의 피랍 조선인의 수효는 전게한 시마즈 마타하치로의 도해면허에 나와 있는 분로쿠 4년(1595) 4월 16일에 납치된 24명과 《성향집》에 기록되어 있는 100여 명, 그리고 게이초 3년(1598) 말에 시마즈군이 철수할 때 연행한 80여 명, 합 200여 명만이 기록에 남아 있다. 이 중에 일부는 쇄환되었지만 남은 포로는 나에시로가와에 옮겨져 그곳에서 영주하게 된다. 밤에 바다로 나아가서 귀국하려고 몰래 배를 띄우려 했지만 모두 사쓰마 영주의 철저한 감시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저 돌아가고 싶어도 돌아갈 수 없는 처지를 한탄하며 산에 올라 고국을 향하여 망향의 노래를 목이 터져라 부를 수밖에 없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34986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