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티베트 불교 > 티베트 불교 일반
· ISBN : 9788957464984
· 쪽수 : 752쪽
· 출판일 : 2017-09-12
책 소개
목차
팔동녀八童女의 문수사리 예찬문 5
서문 9
일러두기 19
문수진실명경 해설
1. 들어가는 말 23
2. 문수진실명경의 본이름 25
3. 문수진실명경의 판본의 종류와 상이점 27
4. 문수진실명경 170게송의 품명品名의 결정 31
5. 문수진실명경의 설법 목적 36
6. 문수진실명경의 출처인 대환망속과 마하요가 딴뜨라의 대의 40
7. 문수진실명경의 결집과 금강수보살 50
8. 문수진실명경의 인간계 출현과 전파 57
9. 문수진실명경의 결집자結集者 금강수보살의 의미와 역할 72
10. 문수진실명경의 결집자 법왕 쑤짠드라(月賢法王)와 금강수보살의 관계 93
11. 문수진실명경의 위상과 중요성 96
12. 문수진실명에서 설하는 성불법成佛法 103
13. 문수사리의 갖가지 형상 108
14. 문수사리의 진언의 종류 112
15. 문수진실명경을 염송하는 방법 118
16. 문수진실명경의 관수유가觀修瑜伽 만다라 121
17. 문수사리와 관련된 현밀의 전적들 124
18. 문수사리의 발심성불과 화신의 거처 오대산의 연기 127
1) 성문수사리보살이 최초로 보리심을 발한 내력 128
2) 성문수사리보살의 청정한 불토가행佛土加行의 발원 132
3) 성문수사리보살의 성불의 명호 139
4) 성문수사리보살이 성불하는 국토의 이름 140
5) 성문수사리보살의 불국토의 불가사의한 공덕장엄 141
6) 성문수사리보살의 명호를 염송하는 공덕 142
7) 성문수사리보살의 화신의 거처인 중국 오대산五臺山의 연기 144
19. 문수사리의 이름의 본질과 교리적 회통 151
20. 문수진실명 주석서들의 주요한 해설의 관점 166
1) 문수진실명에서 설하는 바인 소전所詮의 핵심을 인지함 168
2) 문수진실명의 교의를 강설하는 주석서들의 숫자에 대하여 171
3) 문수진실명속文殊眞實名續을 해설한 주석서들의 논지의 핵심 176
4) 문수진실명을 깔라짜끄라와 일치하게 해설해야 하는 필요성 177
5) 구루 빠드마쌈바와(蓮花生)의 찌띠요가(總極瑜伽)의 관점에 의한 이해 180
21. 문수진실명의 온전한 이해를 위한 진언밀교의 핵심 184
문수진실명경 역해
길상지혜묘덕찬吉祥智慧妙德讚 197
문수진실명경文殊眞實名經 역해 200
제1 청법품 십육송第一請法品十六頌 211
제2 회답품 육송第二回答品六頌 243
제3 종성관찰품 이송第三種姓觀察品二頌 254
제4 대환망속현증보리품 삼송第四大幻網續現證菩提品三頌 260
제5 금강법계대만다라보리심설품 십사송第五金剛法界大曼茶羅菩提心說品 十四頌 271
제6 청정법계지찬탄품 이십오송第六淸淨法界智贊嘆品二十五頌 302
제7 대원경지찬탄품 십송第七大圓鏡智贊嘆品十頌 358
제8 묘관찰지찬탄품 사십이송第八妙觀察智贊嘆品四十二頌 377
제9 평등성지찬탄품 이십사송第九平等性智贊嘆品二十四頌 459
제10 성소작지찬탄품 십오송第十成所作智贊嘆品十五頌 517
제11 오지여래찬탄품 오송第十一五智如來贊嘆品五頌 553
제12 독송공덕품第十二讀誦功德品 567
제13 진언품 삼송第十三眞言品三頌 601
제14 수희찬탄품 오송第十四隨喜贊嘆品五頌 607
부록 619
부록1. 법계어자재만다라法界語自在曼茶羅 621
부록2. 금강법계만다라金剛法界曼茶羅 631
부록3. 참고문헌 635
부록4. 용어 해설 641
부록5. 한글 문수진실명경의 티베트 원문 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