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58200406
· 쪽수 : 362쪽
· 출판일 : 2005-09-20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서문
1장 서론 | 이론과 실천을 다시 생각하며
2장 시간성의 관리 | 실천적 행위에 대한 역사적.이론적 재구성으로서의 민속방법론
3장 부르디외의 비판이론은 우리를 상징폭력으로부터 해방시킬 수 있는가?
4장 비판받은 비판이론 | 기든스의 이중해석학과 언어놀이 변환의 문제
5장 좌초한 하버마스의 해석학적 재구성주의
6장 사회이론은 상호작용적 범주(interactive kind)에 속하는가?
7장 권력의지에 대한 리처드 로티의 비판
8장 에필로그 | 비판이론가들은 누구를 향해서 말하고 있는가?
부록 | <담론과 해방: 비판이론의 해부>에 대한 비판과 그에 대한 반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일상행위자들의 생활세계에 대한 이론적인 비판을 통해 두 개의 상이한 삶의 형태를 매개하려는 이들의 시도는 실패할 수밖에 없다. 그 이유는 이들이 두 개의 서로 다른 삶의 형태를 성공적으로 매개하는 데 중요한 다음의 세 가지 질문에 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1. 비판사회이론가들은 어떻게 일상행위자들로 하여금 생활세계에 대한 그들의 이론에 관심을 갖게 하고, 그 결과 일상행위자들과 대화를 시작할 수 있는가?
2. 이론가들이 일상행위자들과 대화하는 데 성공했다 하더라도, 어떻게 그들은 일상행위자들에게 그들의 이론적 주장을 이해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일상행위자들이 그런 이론적 비판에 기초해서 그들이 지금까지 가지고 있다고 가정된 사회제도에 대한 '왜곡된 이해'를 수정하도록 할 수 있을까?
3. 만일 일상행위자들이 이론가들이 제공한 이론적 비판을 받아들이길 거부한다면, 비판이론가들은 이런 경우를 어떻게 다뤄야 하는가?
이 질문들은 단순히 부르디외, 기든스, 하버마스뿐만 아니라 비판이론에 관한 다른 저자들의 논의에서도 전혀 다뤄지지 않고 있다. 이들의 저작에는 이론적 비판이 일상행위자들의 생활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이론가들의 주장에 대한 비판적 평가가 없다. - 본문 39~40쪽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