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공공간을 위하여

공공공간을 위하여

(어떻게 우리의 공적 공간을 회복-지속ㅡ확장할 것인가)

김동완, 김현철, 한윤애, 김동일, 지주형, 김경만, 황진태 (지은이), 서울대학교 SSK동아시아도시연구단 (기획)
동녘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공공공간을 위하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공공간을 위하여 (어떻게 우리의 공적 공간을 회복-지속ㅡ확장할 것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72978817
· 쪽수 : 327쪽
· 출판일 : 2017-06-28

책 소개

2016년 가을, 다시 광장이 열렸다. 대통령의 무능과 측근 비리 등을 규탄하며 많은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열린 공간으로 모여들었다. 촛불 시민들이 모인 곳은 우리가 광장이라고 부르는 장소다. 광장은 그저 그곳에 있었을 뿐이나, 시민들이 모여 목소리를 냄으로써 비로소 공공공간, 공적 공간으로 되살아났다.

목차

머리말

1부 공공공간의 이상과 실천 전략

1장 공적 공간의 이상과 가상 | 김동완
2장 공적인 것의 간략한 역사 | 김동완
3장 반영토 기획의 실천 전략: 전유하기 | 김현철, 한윤애

2부 반영토의 정치 실천

4장 한국의 문화장과 사회공간의 환류 효과에 대한 연구: 국립현대미술관, 리움, 대안공간을 중심으로 | 김동일, 지주형, 김경만
5장 국가가 만드는 환대의 공간: 런던 로열 페스티벌 홀 | 김동완
6장 성적 반체제자와 공공공간: 2014 신촌 퀴어퍼레이드를 중심으로 | 김현철
7장 하루만 여는 노점, 핀란드 레스토랑 데이 | 한윤애
8장 2008년 촛불집회시위를 사례로 살펴본 공공공간의 (탈-)영역화 | 황진태


참고문헌

저자소개

지주형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남대학교에서 사회학과 경영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영국 랭커스터대학교에서 밥 제솝과 앤드류 세이어Andrew Sayer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 경제위기 이후의 구조조정 과정을 사회학적·정치경제학적으로 분석했고, 사회이론과 비판적 정치경제학 외에도 한국의 국가, 신자유주의, 정치사회운동, 지역불균등 발전을 주제로 연구해왔다. 주요 저술로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형성』,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공저), 『발전국가: 과거, 현재, 미래』(공저), 『사회학: 비판적 시선』(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동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연구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과 런던대학교 객원연구원을 지냈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획이론과 도시계획사를 전공하여 개발연대 국가의 공간 생산, 근대 도시계획의 기원과 한국적 수용과정 등을 연구 중이다. 〈규모의 지리 측면에서 바라본 창조적 계급과 도시 창조성: 도시 창조성의 재구성과 도시 정책적 시사점〉 등 다수의 논문과 《중소 도시의 산업 재구조화와 제도적 역량》, 《산업경관의 탄생》, 《국가와 지역》(공저) 등을 썼다.
펼치기
김동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가톨릭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교수다. 서강대학교 사회학과 학부, 석사, 박사 과정을 졸업했다. 한국사회학회 논문상(2009), 월간미술대상 학술평론 부문(2011)을 수상했다. 『상징투쟁의 사회학』이 2021년 대한민국학술원 사회과학 분야 우수학술도서에 선정되었다. 예술 현상을 사회학적으로 개념화하는 작업에 관심을 두고 있다. 부르디외를 중심으로 하우저, 단토, 라투르 등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비평적 글쓰기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황진태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8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동국대(학사), 서울대(석사), 독일 본Bonn대학(박사)에서 지리학을 전공했다. 자기만의 독특한 사회-공간 변증법적 시선과 지리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사랑스런 고양이를 비롯한 비인간nonhuman부터 사회운동, 자연재난, 수자원, 기후변화, 에너지, 인류세, 북한 도시, 젠더, (탈)발전주의, 국가 이론, 행성적 도시화 등에 이르는 주제를 연구한다. 그만큼 관심 영역이 넓다. 도시 및 환경 분야의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실린 50여 편의 논문과 『도시와 권리』,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 하기』, 『위험도시를 살다』 등의 책에 사유의 흔적이 새겨져 있다. 현재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에서 연구하고, 서울대, 이화여대 등에서 강의한다. 제1회 한국지역지리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지금도 서울 어딘가를 배회하며 ‘머리 안 쓰는 공간’(www.instagram.com/iswasarewere)에 서울의 감각을 기록하고 있을 것이다.
펼치기
김현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토론토대학교 지리학과 박사과정 재학.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석사논문에서 2014년 서울/대구 퀴어퍼레이드 경합을 급진적 공공공간의 관점으로 논의하였다. 박사과정 진학 후 동아시아 근대도시공간의 형성과정 중 비규범적 몸들이 통치 및 관리되어온 역사적 궤적을 살펴보고 있다. 특히 신체/정신장애, 비규범적 섹슈얼리티, 비노동 담론과 결합된 구금과 억류, 치유적 폭력curative violence, 도시학살urban genocide의 역사에 관심이 많다.
펼치기
한윤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리학 연구자.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에서 일한다. 권리, 위계, 공간에 대해 부지런히 질문하며 관점을 다듬어가고 있다.
펼치기
김경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30여 년간 서강대학교에서 사회이론, 사회과학철학, 과학지식사회학을 가르쳐왔고, 《Philosophy of the Social Sciences》, 《Theory, Culture & Society》, 《Journal for the Theory of Social Behavior》 등 세계적으로 저명한 사회과학과 철학저널에 수십 편의 논문을 실었으며, 『Explaining Scientific Consensus: The Case of Mendelian Genetics』(New York: Guilford Press, 1994), 『Discourses on Liberation: An Anatomy of Critical Theory』(London: Routledge, 2005), 『Bourdieu’s Philosophy and Sociology of Science: A Critical Appraisal』(London: Routledge, 2023) 등 세 권의 책을 미국과 영국에서 출간하였다. 가장 최근의 저작인 『Bourdieu’s Philosophy and Sociology of Science: A Critical Appraisal』은 세계과학철학학회의 학회지인 《History of Philosophy of Science》에서 “부르디외를 연구하는 학자 모두가 주목해야 하는 책”이란 극찬을 받았다. 국내에서 펴낸 책으로는 『과학지식과 사회이론』 (한길사, 2004), 『담론과 해방: 비판이론의 해부』 (궁리, 2005), 『글로벌 지식장과 상징폭력: 한국사회과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문학동네, 2015), 『진리와 문화변동의 정치학: 하버마스와 로티의 논쟁』 (아카넷, 2015) 등이 있다. 미국 국무성 초청 풀브라이트 스칼러(Fulbright Scholar)에 2회 선정되었고, 2008년엔 한국사회학회 저술상을 수상했으며, 2009년엔 한국 최고 권위의 학술상인 경암학술상(인문사회 부문)을 수상하였다. 2014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의 정회원으로 선출되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공적 공간 혹은 공공공간은 공공성을 지닌 공간이다. 공공성은 공공공간의 존재 이유로 여겨진다. 그러나 그 광장에 촛불이 없다면 어떻게 될지 생각해보라. 촛불의 가호 아래에서만 광장인 것은 아닌가? 혹시 우리가 알고 있는 공공공간은 죽어 있지 않은가? 촛불로 상징되는 시민의 참여와 발언이 없다면 광장은 그저 그런 콘크리트 덩어리일 뿐이다.


한국의 도시에서 공적 공간은 국민이거나 소비자여야 누릴 수 있는 죽은 공간이었다. 공적 공간을 결핍한 도시에서 우리는 발언하지도, 행위하지도 못했다.


시대가 바뀌고 민주주의와 개성의 시대가 도래한 듯했다. 하지만 우리가 걷고 쉴 공간은 좀체 찾아볼 수 없었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 전반까지 유일한 해방구였던 거리는 이제 자본에 잠식되기 시작했다. (…) 자본은 신자유주의의 세례 속에서 상상 가능한 모든 공간을 상품화시켜 임대할 권리를 부여받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