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글로벌 지식장과 상징폭력

글로벌 지식장과 상징폭력

(한국 사회과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김경만 (지은이)
문학동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500원
500원
20,0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글로벌 지식장과 상징폭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글로벌 지식장과 상징폭력 (한국 사회과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54636292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15-05-21

책 소개

세계 학계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쳐온 사회학자 김경만 서강대 교수의 논쟁적인 책이 문학동네에서 출간되었다. 이번 책에서는 한국 사회과학계, 나아가 학술문화와 지적 풍토 전반에 대한 신랄한 비판의 칼을 들이댄다.

목차

나는 이 책을 왜 썼는가
― 미래 한국의 피에르 하버마스들에게

제1부| ‘한국적’ 사회과학이라는 신기루
1장| 수입도매상 대 독창적 한국이론? … 19
2장| 여우와 신포도 … 47
3장| 또 유학사상인가? … 86
4장| 글로벌 지식장과 상징폭력 … 103

제2부 글로벌 지식장 안으로
1장| 우리에게 ‘학자 경력’은 있는가? … 141
2장| 자기민속지로 살핀 글로벌 지식장의 동학 … 147

책을 마치며
―방관자에서 참여자로 … 245

감사의 글|참고문헌|찾아보기

저자소개

김경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30여 년간 서강대학교에서 사회이론, 사회과학철학, 과학지식사회학을 가르쳐왔고, 《Philosophy of the Social Sciences》, 《Theory, Culture & Society》, 《Journal for the Theory of Social Behavior》 등 세계적으로 저명한 사회과학과 철학저널에 수십 편의 논문을 실었으며, 『Explaining Scientific Consensus: The Case of Mendelian Genetics』(New York: Guilford Press, 1994), 『Discourses on Liberation: An Anatomy of Critical Theory』(London: Routledge, 2005), 『Bourdieu’s Philosophy and Sociology of Science: A Critical Appraisal』(London: Routledge, 2023) 등 세 권의 책을 미국과 영국에서 출간하였다. 가장 최근의 저작인 『Bourdieu’s Philosophy and Sociology of Science: A Critical Appraisal』은 세계과학철학학회의 학회지인 《History of Philosophy of Science》에서 “부르디외를 연구하는 학자 모두가 주목해야 하는 책”이란 극찬을 받았다. 국내에서 펴낸 책으로는 『과학지식과 사회이론』 (한길사, 2004), 『담론과 해방: 비판이론의 해부』 (궁리, 2005), 『글로벌 지식장과 상징폭력: 한국사회과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문학동네, 2015), 『진리와 문화변동의 정치학: 하버마스와 로티의 논쟁』 (아카넷, 2015) 등이 있다. 미국 국무성 초청 풀브라이트 스칼러(Fulbright Scholar)에 2회 선정되었고, 2008년엔 한국사회학회 저술상을 수상했으며, 2009년엔 한국 최고 권위의 학술상인 경암학술상(인문사회 부문)을 수상하였다. 2014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의 정회원으로 선출되었다.
펼치기

책속에서

“건국 이래 해외 유학의 역사가 50년이 넘는 우리는 왜 아직도 유학을 가서 서구의 학문을 배워올 수밖에 없는가?” 프랑스 사회학자 부르디외가 자본주의 사회의 계급 재생산을 비판한 것처럼, 나는 이 책에서 한국 사회과학의 ‘서구 종속성 재생산’을 비판하고자 한다. 그러나 사회과학의 서구 종속성 재생산을 바라보는 나의 시각은 한국의 사회과학자들 대부분이 공유하는 시각과 전혀 다르다. 이들 한국의 사회과학자 대다수는 서구 종속성 재생산 고리를 끊어내기 위해 ‘우리 전통을 되살리는 토착적 한국 사회과학’을 만들어야 한다는 데 이견이 없다. 그러나 나는 이른바 ‘토착적 이론’ ‘한국적 이론’ ‘탈식민지 이론’이 그들이 만들어낸 ‘허구’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원로 인류학자이자 사회학자인 강신표 교수가 1980년대 초 서울대 사회학과 동기인 원로 사회학자 김경동 교수를 외국 지식을 수입해서 팔아먹는 “문화적 제국주의 시대의 매판사회학자”라고 몰아붙인 사건이 있었다. 강신표 본인의 말에 따르면, 자신의 비판은 한국 사회과학에 새로운 바람, 즉 비판적 바람을 불어넣으려던 “실험적 시도”였지만, “아무런 반향도 일으키지 못한” 개인적 에피소드로 끝나고 말았다.


나 역시 ‘비판적 풍토’를 조성하려는 강신표의 노력과 좌절에 공감하지만 요점은 궁극적으로 ‘어떻게’ 비판해야 하는가라는 숙제가 남아 있다는 것이다. 강신표는 비판해야 한다는 당위적 의식은 있었지만 어떻게 비판하고 답해야 하는가의 문제를 풀지 못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먼저 김경동이 왜 ‘문화제국주의 시대의 매판 사회학자’인지 그의 저작을 정교히 독해하고 분석함으로써 밝혀야 한다. 둘째, 한완상의 작업이 왜 김경동의 그것보다 더 전망이 있고 독창적인 연구인지 논해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