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떠나보자, 저 끝 묻지 말고

떠나보자, 저 끝 묻지 말고

(우리 문화유산 여행 : 서울.경기도편)

김재봉 (지은이)
정은출판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떠나보자, 저 끝 묻지 말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떠나보자, 저 끝 묻지 말고 (우리 문화유산 여행 : 서울.경기도편)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88958243939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19-07-24

책 소개

김재봉의 우리 문화유산 여행 <떠나보자, 저 끝 묻지 말고> 서울.경기도편.

목차

머리말 • 6

Part 1. 우리 문화유산 서울편
봄 벚꽃놀이 환상의 꿈 창경궁 • 14
일곱 여인 한(恨) 맺힌 묘당 칠궁 • 20
조선 왕조를 “이씨 왕가”라고 창덕궁 • 26
한양. 조선왕조 법궁 경복궁 • 32
속계와 불계 경외로움 삼천사 마애여래입상 • 38
정조의 꿈 낙엽 되어 뒹굴고 동궐후원 • 43
종묘에 없는 광해군 중건 아이러니 종묘 • 48
탕평비. 단 한쪽 한줄 못 지키는지 성균관 • 53
사대외교와 독립자강 영은문 주초와 독립문 • 58
무학대사와 정도전 일화 선바위 국사당 • 62
자하문 밖 흥선대원군 별서 석파정 • 66
蕩春臺 탕춘대 어디에 탕춘대성과 홍지문 • 71
칼(劍)을 씻은(洗) 곳 세검정(洗劍亭) • 74
하얀 호분 잔뜩 덧칠한 보도각 백불 • 78
한성백제 굴실돌방무덤 방이동 고분군 • 82
고구려계 기단식 돌무지무덤 석촌동 고분군 • 85
오늘, 국궁 화살은 날고 황학정 • 88
사라진 궁궐. 살아 있다는 것 감사 경희궁 • 92
弼雲杏花. 꿈에서라도 잠시 필운대 • 96
종묘사직을 보존하시옵소소 사직단 • 100
한양 도성. 하루 시작과 끝 보신각 • 104
국보 2호. 원각사지십층석탑 탑골공원 • 107
운현(雲峴). 구름이 넘는 재 운현궁 • 111
황제가 하늘에 제사를 조선호텔 환구단 • 116
영욕의 역사 돌담길을 거닐며 덕수궁 • 119
석촌호수는 축제 중 송파 삼전도비(三田渡碑) • 124
나는 돌아갈 수 없나요? 국립중앙박물관 • 127
수표교 “김두한 생각난다” 장충단 공원 • 132
움집터와 빗살무늬토기 암사동 선사유적지 • 137
판전과 수해구제공덕비 봉은사 • 141

Part 2. 우리 문화유산 경기도편
목어. 무수리 숙빈최씨 한(恨) 파주 보광사 • 146
용꼬리 삶의 터전 파주 용미리 석불입상 • 151
중국 사신 위세와 횡포 고양 벽제관 지 • 154
“동종” 아프다고 소리라도 강화 고려궁 지 • 157
동서양 조화로운 만남 성공회 강화성당 • 161
농삿꾼 강화도령 임금 살던 집 강화 용흥궁 • 164
정조. 어진 어디로 갔나? 화령전과 낙남헌 • 168
정조. 르네상스 개혁정치 수원 화성 행궁 • 172
수원팔경 무릉도원 화홍문과 방화수류정 • 176
세계 최초 계획 신도시 수원 화성 • 180
몽고. 송문주장군 승전보 안성 죽주산성 • 185
사역 면제 친서교지 사찰 안성 석남사 • 188
고려 태조 진영(眞影) 모신 안성 봉업사 지 • 192
미륵당 용화전 청기와 누가? 태평미륵 • 195
“시무외 여원” 인(印) 기솔리 쌍미륵 • 198
꼭두쇠 바우덕이 고향 안성 청룡사 • 202
산왕신상(山王神像) 산령각 남양주 묘적사 • 207
간절함. 복합신앙 수도 도량 안양 삼막사 • 211
동자승. 말을 거는데 안양 석수동 마애종 • 216
국내 유일 조성 명문. 당간지주 안양 중초사 지 • 218
원효대사 “해골물” 깨닮음 화성 당성 • 221
혜소 일곱 도적 깨우치다 안성 칠장사 • 224
명성황후탄강구리 비 여주 명성황후 생가 • 230
到此門來 莫存知解 화성 용주사 • 236
“병자호란” 오늘 우리들 남한산성 • 241
흰쌀로 목욕하는 말(馬) 독산성 세마대 • 246
아슐리안 주먹도끼 연천 전곡리 선사유적 • 249
요석공주 슬픈사랑 소요산 자재암 • 253
서거정 동방 제일 사찰 운길산 수종사 • 258
함왕성지 “함왕혈” 용문산 사나사 • 263
삼배구고두례 “반석”(磐石) 남한산성 행궁 • 267
마의태자 은행나무와 정지국사 용문산 용문사 • 270
석씨원류 응화사적 목판 불암산 불암사 • 275
원종대사 부도비 및 부도탑 여주 고달사 지 • 279
한글 현판 “큰법당” 교종 수사찰 봉선사 • 283
낙가 보문의 나한석굴 석모도 낙가산 보문사 • 288
나녀상(裸女像) 보는 도깨비 정족산 전등사 • 292
꽃창살 과 툇마루 함허동천 정수사 • 296
금삼의 피 연산군 강화 교동도 • 300
벽계구곡과 노산팔경 화서 이항로 선생 생가 • 304
여주 계신리 마애여래입상 석불암 • 308
맷돌 그리고 화장실 양주 천보산 회암사 지 • 311
선각왕사비와 무학대사 부도 회암사 • 316
여주팔경 마암어등 여주 “마암” • 320
다산 정약용 “중용” “실학” 다산 생가 여유당 • 324
샤스타데이지 하얀꽃 이천 설봉산 영월암 • 328
민초의 마음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좌상 • 333
“무망루 편액”과 “서흔남 묘비” 남한산성 • 335
하남 교산동 마애 약사여래좌상 선법사 • 338
백제 위례성 어디인지 하남 춘궁동 ‘동사’ 지 • 341
나옹선사의 처연함 묻은 여주 신륵사 • 344
정말 소소한 말년의 삶. 과천 과지초당 • 349

에필로그 • 353

저자소개

김재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秀> 시부문 등단, 신인문학상(제3호) 전 KB국민은행 지점장 전 법정관리기업 대표이사 현 (주)희망설계 스타트업 컨설턴트 저서- 우리 문화유산 여행 《떠나보자 저 끝 묻지 말고》
펼치기

책속에서

<창덕궁>

한양 천도 후 태종 5년 궁궐 완공
법궁 경복궁과 함께 양궐체제 완성한
이궁 창덕궁(昌德宮)
“덕의 근본을 밝혀 창성하라”

법궁 경복궁 약 270년 폐허로
실제 약 250년 사용하고
이궁 창덕궁 약 520년 궁궐 기능 수행
조선왕조와 운명을 같이한 궁궐
그 중심 무대가 바로 창덕궁이었다

창덕궁과 후원 영역 그리고 낙선재 포함
사적 창덕궁으로
그리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록
지금 우리 앞에 당당히 서 있다

그런데 원래 창덕궁, 창경궁, 후원 일원
동궐이라 불리었다
지지고 볶고. 일제에 의해 다 망가진 후
정비 복원하여 처연히 서 있는 것
그런데 일본은 말이 없다

오늘 일본 관광객에게 해설하는 가이드
이씨 왕가.라고 설명한다
가이드 자격증 회수하고 싶지만
일본말이 잘 안되어… 슬프다
-조선왕조를 '이씨 왕가'라고


<종묘>

조선왕조의 왕과 왕비 신위 봉안
국가 상징적 유교 공간 및 최고 사당 건축
국가적 제사 지내는 곳 종묘(宗廟)

조선왕조의 기틀을 세우기 위하여
가장 먼저 세운 건축물
유교적 관점에서 좌묘우사(左廟右社)
정궁 경복궁에서 바라보는 방향
좌측에 종묘 우측에 사직단을 건설

한양도성 천도로 인한 개창시
궁궐 및 성곽을 건설하기 전 가장 먼저
태조 4년에 종묘가 완성된다
그 후 수차례의 증축 등 보완을 하고
종묘와 별묘인 영녕전 제도 정착

임진왜란으로 하루아침에 잿더미
여기 없는 광해군에 의해 중건 아이러니
그 후 증개축. 현재 종묘 약 56,000평
원래 종묘는 창덕궁, 후원, 창경궁 함께
동궐이라고 불리었다
일제시대 창덕궁과 종묘 가로 지르는
율곡로 관통시키고. 기어이
지금 다시 한창 복원 작업 중이다

종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종묘에 없는 광해군 중건 아이러니


<경희궁>

서울의 5대 궁궐체제 속 서궐
5대 궁궐 중 흔적 없이 사라졌다
오히려 “경희궁 터”라고
그나마 어렵게 유지하고 있다가
일제에 의하여 철저히 사라진 궁궐

경희궁. 아무것도 없는 폐허화
일제시절 총독부 중학교, 경성중학교
해방 후 서울중·고등학교 학교부지
일부 경희궁 전각 뿔뿔이 매각 처분
경희궁. 사라지고 없었다

임진왜란 후 광해군 법궁 재 완성 후
새문동 왕기설. 이궁 경덕궁 건립
그 경덕궁 영조 때 경희궁으로 개명
“서궐도안” 보면 120여 궁궐 전각
지금 서울역사박물관 일부 자리 내주고
정전 숭정전 영역 복원 다시 우리 앞

흥화문. 모 호텔 정문에서 돌아오고
숭정전. 모 대학 “정각원” 못 돌아오고
황학정. 아예 자리 옮겨 새로운 곳
그나마 살아 있다는 것 감사. 이 뭘까?

일제시대도 하나의 역사
경희궁 돌아 나가며 마음가짐 되새겨
구멍 뚫린 보호수
그 구멍 안. 부끄러운 역사
이제, 구멍 안 뚫리게 해야지…
-사라진 궁궐. 살아 있다는 것 감사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